•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periodontal index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조사연도에 따른 흡연 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분석: 제4기,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the Survey Year Using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김명희;윤미숙;임연희;이새롬;김소연;박선주;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7-494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와 제5기(2007년~2012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강검진 조사자료가 제공되지 않은 2011년 자료를 제외하고, 20세 이상의 성인 11,643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흡연 유형별 치주질환의 추이를 살펴보고, 치주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5개년도를 통합한 자료에서는 비흡연자에 비해 직접흡연자는 단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두에서 치주질환이 있을 aOR이 1.78, 1.77이었으며(p<0.001), 연도별 경향성을 보았을 때, 여자에 비해 남자가 치주질환이 있을 aOR은 1.12로 나타났다(p<0.001). 연도별 흡연 유형에 따라 치주질환 유병률은 치주질환이 있는 집단에서 직접흡연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추세를 보였다. 또한 주요인자를 보정한 연도별 흡연 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에 비해 직접흡연자의 치주질환이 있을 aOR은 2007년도에 1.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간접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치주질환이 있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임상적 변수를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결과, 2007년도를 제외하고는 치주질환 발생에 있어 직접흡연자의 위험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반면 치주질환 발생에 있어 간접흡연의 영향력은 2010년도에서만 1.68의 aOR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32).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연도에 따라 간접흡연의 노출이 증가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직접흡연자에 비해 통계적 영향력의 크기는 뚜렷하지 않지만 치주질환에 있어 위험인자로서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대구강병인 치주질환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측면에서 간접흡연과 치주질환의 명확한 기전과 영향력 크기를 밝히기 위한 근거자료 마련이 지속화되어야 할 것이다.

간접흡연과 치주건강의 관련성: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 결과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Health: Finding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 김진경;백혜진;이영은;송근배;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1
    • /
    • 2014
  • 본 연구는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직장 및 가정 내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성별, CPI 및 간접흡연 노출여부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간접흡연 노출자는 남성 380명, 여성 1,519명으로 조사되었으며,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코티닌 농도는 노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둘째, 치은염(CPI 1, 2)과 간접흡연의 관계는 남성은 치과방문횟수(p<0.001), 여성은 연령(p<0.001) 및 치과방문횟수(p<0.001)와 관계가 있었다. 셋째, 치주염(CPI 3, 4)와 간접흡연의 관계는 남성은 연령(p<0.001), 여성은 연령(p<0.001), 간접흡연 노출여부(p<0.001)와 관계가 있었다. 넷째, 치주상태에 따른 치주상태별(CPI 1~4) 코티닌 농도 차이는, 남성은 CPI 1, CPI 4에서, 여성은 모든 CPI 군에서 노출여부에 따른 큰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접흡연 노출여부가 여성의 치주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효과적인 치주치료는 물론 국민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간접흡연 위해성을 확대 고취시키고 비흡연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Prevalence of osteonecrosis of the jaw and or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treated with bisphosphonates at the General Hospital of Mexico

  • Cuevas-Gonzalez, Maria Veronica;Diaz-Aguirre, Celia Minerva;Echevarria-y-Perez, Enrique;Cuevas-Gonzalez, Juan Carlo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65-369
    • /
    • 2016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or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bisphosphonates in the oncology and maxillofacial prosthesis departments of the General Hospital of Mexico between 2011 and 2013.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patients who received prior treatment with bisphosphonates; an intraoral examination was performed by 2 standardized examiners. Results: The prevalence of bisphosphonate-related necrosis in 75 patients was 2.6%; the most common malignancy was breast cancer (84.0%), followed by prostate cancer (16.0%). Exostosis was present in 9.3% of patients and the mean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was 4.64; 44.0% of the study group had a Community Periodontal Index value between 2 and 2.9 (mean, 0.60). Conclusion: A detailed intraoral assessment must be performed before initiating treatment with bisphosphonate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osteonecrosis.

구강건강상태와 감지 건강상태(EuroQol-5D)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Perceived General Health (EuroQol-5D))

  • 심선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4-370
    • /
    • 2014
  • 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감지 건강상태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강건강상태지표인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지역사회치주지수를 조사하였고 감지 건강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인 EQ-5D를 조사하여 위 변수들의 연관성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신 움직임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1.18배 높았으며 동통 및 불편감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의 우식경험영구지지수가 1.16배 높았고 감지 건강상태와 치주병은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감지 건강상태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지 건강상태(EQ-5D)는 구강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지표로 추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객관적인 도구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일부 만성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Oral Health Status of Some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Korea)

  • 서혜연;전현선;박수경;박기창;정원균;문소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3-500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에 크게 증가하고 있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문제에 주목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강원도 소재의 정신보건센터 한 곳의 주간 프로그램 참여대상자(23명)와 정신병원 한 곳의 입원 대상자(69명) 전체 92명을 편의집락추출하여 구강건강상태와 치주건강상태, 구강위생상태를 사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실치아(MT)는 병원 대상자(6.42)가 센터 대상자(1.83)보다 더 높았으나, 충전치아(FT)는 센터 대상자(4.78)가 병원 대상자(2.52)보다 높았다(p<0.05). DMFT index는 정신질환자(12.80)가 전국표본(6.22)에 비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의료급여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가 더 나빴다(p<0.05). 2. 구강위생상태는 PHP index 3.41로 자가구강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였다(p<0.05). 3. 치주건강 상태는 병원 대상자(81.7%)가 센터 대상자(47.6%)에 비해 치주요양필요자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40대와 60대, 학력이 낮을수록, 가족이 없을수록 더 나빴다(p<0.05). 치주요양불필요자율(CPITN0)은 병원 대상자(18.3%)가 전국표본(27.4%)에 비해 낮았으며, 치주조기병치료필요자율(CPITN3)은 병원 대상자(13.3%)가 전국표본(5.7%)보다 더 높았다. 4.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치과위생사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증진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이에 앞서 해당 집단 안에서 연령과 학력, 결혼유무, 가족 형태, 경제적인 상태 등을 선행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질환 종류와 심도별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교육매체와 교육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고안해야 한다. 한편 치과계에서는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점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주기적인 구강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5. 본 연구는 접근이 어려운 정신질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구강건강상태를 측정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나, 표본을 단일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Oral Health Status of Deaf and Mute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 in Anand-Wan, Warora, India

  • Rawlani, Shivlal;Rawlani, Shobha;Motwani, Mukta;Bhowte, Rahul;Baheti, Rakhi;Shivkuma, Shivkumar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2호
    • /
    • pp.20-25
    • /
    • 2010
  • Aim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deaf and mute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 Materials and Methods :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37 deaf and mute children with ages ranging from 7 to 18 years. A total of 76 males (55.47%) with mean age of $14.2{\pm}4.5$ and 61 females (44.53%) with mean age of $13.8{\pm}4.2$ years and studying in a school for deaf and mute children in Warora were consider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andard method recommended by WHO for the oral health survey in 1977. Oral health status was assessed using OHIS, Loe and Sinless, and CPI Index along with DMFT and DMFS Index. Gingival position was considered for measuring attachment lo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17.0). Results : The mean DMFT was found to be $2.53{\pm}1.72$, and mean DMFS, $3.37{\pm}3.16$.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was pegged at 35.32%, with mean OHIS score at $1.49{\pm}0.76$. Overall gingival index among deaf and mute children was $0.81{\pm}1.4$, whereas that for the upper arch and lower arch was $0.92{\pm}0.84$ and $1.19{\pm}0.95$, respectively. The mean score for the CPI Index among deaf and mute children was found to be $0.42{\pm}0.32$. Gingival clinical attachment loss was found to be $0.26{\pm}0.15mm$.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hearing disabilities can also have good oral hygiene comparable to normal individuals of the same age group. These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tudy sample was taken from a single school of a private organization with a well-equipped dental setup.

  • PDF

흡연이 치은열구액 내 Matrix Metalloproteinase-9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oking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 황수정;김영권;양승주;조현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9-344
    • /
    • 2011
  • 본 연구는 흡연군, 흡연중단군, 비흡연군의 치은열구액 내 MMP-9을 측정하여 흡연과 치은열구액 내 MMP-9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2009년부터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 연구에 동의한 332명을 대상으로 기초설문조사와 치면세균막지수, 치주낭측정 등을 실시하고 치은열구액을 상악전치부 치간 사이 채취하여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연령대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평균 MMP-9의 농도는 10대 7.54ng/ml, 20대 15.98 ng/ml, 30대 28.47ng/ml, 40대 36.78ng/ml, 50대 이상은 45.06ng/ml로 집단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p<0.001). 2. 치은지수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평균 MMP-9의 농도는 0점 16.15ng/ml, 1점 20.97ng/ml, 2점 48.79ng/ml로 치은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3. CPI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평균 MMP-9의 농도는 0점 14.74ng/ml, 1점 6.57ng/ml, 2점 10.29ng/ml, 3점 29.71ng/ml, 4점 56.52ng/ml였으며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4. 흡연여부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MMP-9의 평균 농도는 흡연군이 30.86ng/ml, 흡연중단군이 29.82ng/ml, 11.33ng/ml이었으며 연령, 치은지수, CPI을 공변량으로 보정한 전, 후 모두에서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흡연, 흡연중단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치은열구액내 MMP-9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흡연은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MMP-9은 치조골 파괴 및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므로 흡연자에서 치주질환 발생 및 발생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 (Tooth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e of Immigrant Workers)

  • 남인숙;윤성욱;김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나라에서 우리나라에 이주해 온 외국인 노동자 4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 칫솔질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하루 3회 이상 칫솔질 빈도는 여성이 63.0%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교육수준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칫솔질 빈도가 높았다. 체류기간은 국내에 체류기간이 어느 정도 지난 경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은 전반적으로 건강보험이 가입된 경우 빈도가 높았다.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 50.0%로 가장 높았고, 친구 또는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칫솔질 빈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칫솔질 부위 중 치아, 잇몸, 혀를 전체적으로 잘 닦는 경우는 연령이 적을수록, 미혼인 경우가 전체적으로 잘 닦고 있었으며 수입은 보통인 경우가 잘 닦고 있었고,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잘 닦고 있었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소요시간 3분 이상인 집단은 미혼인 경우와 건강보험에 가입된 경우가 칫솔질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칫솔질 교육유무에서는 국내 체류기간이 5년 초과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가 칫솔질 교육을 많이 받았다. 구강위생용품은 성별은 여성, 학력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은 3~5년 사이가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DMFT index의 평균은 6.98, CPITN의 평균은 3.03으로 우리나라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서 성인 18세에서 44세의 DMFT index 5.9, CPITN은 1.6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DMFT index가 여성이 높았고, CPITN은 남성이 높았다. 연령, 결혼여부, 학력의 CPITN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낮았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낮았다.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DMFT index가 높았고, CPITN은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2.97로 낮았다. 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8.17로 DMFT index가 가장 높았고, CPITN은 100만원 미만이 2.75로 가장 낮았다. 건강보험이 있는 경우 DMFT index는 높았고, CPITN은 낮았다(p<0.05). 칫솔질 행태에 따른 DMFT index와 CPITN의 결과는 칫솔질 빈도 3회 이상에서 DMFT index가 8.34로 가장 높았으며, CPITN은 2.96으로 가장 낮았다. DMFT index는 칫솔질 행태가 좋을수록 높았으며 CPITN은 칫솔질 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DMFT index에서 칫솔질 빈도와 칫솔질 부위, CPITN에서는 칫솔질 부위와 칫솔질 소요시간이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법으로 가장 기본인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칫솔질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ttern analysis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sulting from unilateral mastication due to chronic periodontitis

  • Jeon, Hye-Mi;Ahn, Yong-Woo;Jeong, Sung-Hee;Ok, Soo-Min;Choi, Jeomil;Lee, Ju-Youn;Joo, Ji-Young;Kwon, Eun-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4호
    • /
    • pp.211-21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erform a pattern analysi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resulting from unilateral mastication due to chronic periodontitis.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ith signs or symptoms of TMD who engaged in unilateral mastication due to periodontitis-related discomfort (test group) were selected. Another 30 subjects exhibiting signs or symptoms of TMD resulting from unilateral mastication not due to chronic periodontitis (control group) were also recruited. An interview-bas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an examin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with determination of periodontal status was performed. Results: The duration of unilateral mastica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es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unilateral mastication and th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score. Using the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MD (RDC/TMD) axis I algorithms, all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3 main groups. The tes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a higher diagnostic distribution of group III (arthralgia, osteoarthritis, or osteoarthrosis), and in both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number of diagnoses was larger for the non-chewing side.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iagnostic distribution of group I (myofacial pain), and in both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number of diagnoses was larger for the chewing sid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unilateral mastication due to chronic periodontitis could induce not only pain but also structural TMJ changes if adequate treatment is not administered and supported within a short time from the onset of the condition. Therefore, immediate treat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is recommended to prevent not only the primary progress of periodontal disease, but also secondary TMJ-related problems. Furthermore, subjects who have suffered chronic long-term periodontitis without treatment should be urged to undergo a TMJ examination.

당뇨상태에 따른 구강상태 및 행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Oral health and behavior by diabetic statu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한여정;한미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3-240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in Korean diabetic adul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1,840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2). Diabetic status was defined by doctors and fasting blood sugar(FBS) level. Oral health status was assessed by decayed-missing-filled teeth(DMFT), community periodontal index(CPI), periodontal disease, denture needs, limitation of oral function, and chewing difficulty. The oral health behavior was evaluated by oral examination within a year, brushing times a day, and use of auxiliary oral produc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doctor and FBS was 8.3% and 10.2%, respectively. The prevalence rate of periodontitis was 25.4%. The proportions of $DMFT{\geq}20$, $CPI{\geq}3$, periodontal disease, denture needs, oral function limitation and chewing difficulty in the confirmed diabetic group by doct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diabetic group(p<0.05).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djusted odds ratio(aOR) for periodontal disease(aOR=1.73, 95% CI=1.41-2.12), presence of denture needs(aOR=1.40, 95% CI=1.06-1.84), limited oral function(aOR=1.43, 95% CI=1.15-1.78) and chewing difficulty(aOR=1.41 95% CI=1.13-1.77) in diabet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diabetic subjects. There were similar associations between diabetes defined with FBS and oral health. In oral health behavior, diabetic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s for oral examination(aOR=0.76, 95% CI=0.60-0.98), brushing time ${\geq}2$ times(aOR=0.73, 95% CI=0.57-0.93), and auxiliary oral products(aOR=0.74, 95% CI=0.59-0.94).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in Korean diabetic adul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oral health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