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win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용 진균 발효제와 알콜발효 효모의 선발 및 최적 발효조건 (Screening of Fungal Nuruk and Yeast for Brewing of Gugija-Liriope tuber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 송정화;백승예;이대형;정재홍;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8-84
    • /
    • 2011
  • 구기자와 맥문동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리기능성 전통주를 개발하고자 항고혈압 활성이 보고된 구기자 3품종과 항통풍성을 가진 맥문동 2품종과 시판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류와 시판 2종류의 발효제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에 적합한 알콜 발효 효모로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당화효소를 생성하는 진균 발효제로 SJ누룩을 최종 선발 하였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발효 최적조건으로 구기자-맥문동 첨가량과 발효 최적시간 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장명 구기자와 맥문동 1호를 덧밥에 각각 3%씩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SJ 누룩으로 $2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켜 고품질의 기호도가 높고 항고혈압 활성과 항통풍성을 가진 새로운 구기자-맥문동 전통주를 개발하였다.

브랜드 인지여부 및 친밀도가 시판 약주의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and Recognition and Familiarity on Consumer Preferences for Commercial Rice Wines (yakju))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3-29
    • /
    • 2011
  • 서울시내 거주의 20대에서 40대 남녀 104명을 대상으로 시판 약주 10종에 대해 브랜드 친밀도를 조사하고, 브랜드정보 비노출 및 노출시의 소비자 기호도와 구매의사 정도를 파악하였다. 브랜드 친밀도 조사에서는 'baekse' 제품이 가장 높은 브랜드 친밀도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cheongo', 'chrys', 'sooguk' 제품이 60% 이상이 "들어본 적 있다" 이상으로 응답하여 중간 정도의 인지도를 나타냈다. 그 외의 제품은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브랜드와 제조사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 전반적으로 브랜드 친밀도가 높은 제품에서 유의적인 점수 상승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제품의 경우 브랜드 노출여부가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전반적인 약주제품의 기호도가 낮게 나타난 점을 감안하여 향후 약주 관련 제품의 기호도 제고를 위한 제품 최적화 연구 및 브랜드 인지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Aspergillus 속 곰팡이에 오염된 포도로 제조된 포도주 및 시판 포도주의 Ochratoxin A 함량 (Ochratoxin A Contents in Wine Made with Aspergillus sp. Infected Grapes and in Commercial Wines)

  • 정성민;장은하;박서준;노정호;허윤영;류명상;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2-227
    • /
    • 2011
  • The Aspergillus sp. is well known as a fungus that causes black mold disease and secretes ochratoxin A (OTA). Our study found that infection by this fungus via inoculation onto grapes produced more severe symptom in wounded berries than in fresh berries. Furthermore, OTA contents were higher on the grape skins than in the fleshy portions of the grapes. OTA accumulated during the first 3 days after inoculation, but then gradually decreased. The OTA contents in wine made from 5 kg of grapes which included 400 g of infected grapes ranged from 0.17 to 0.37 ${\mu}g/mL$. An investigation of 25 marketed commercial wines showed the OTA contents were <1.2 ${\mu}g/mL$ which is lower than the limit of 2 ${\mu}g/mL$ established by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 박미화;이정옥;김은정;김종원;이효형;김희훈;이상인;김영훈;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1-926
    • /
    • 2008
  •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circ}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g/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g/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pm}0.01$, 산도 $0.96{\pm}0.01%$, 알코올 함량 $12.20{\pm}0.01%$, 총당 $60.00{\pm}1.15\;mg/mL$, polyphenol 함량 $79.50{\pm}0.55\;mg/mL$, tannin 함량 $7.40{\pm}0.05\;mg/mL$ 및 resveratrol 함량 $5.00{\pm}0.11\;mg/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 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디 착즙액을 이용한 와인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Wine Fermented from Mulberry Juice)

  • 김강일;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3-570
    • /
    • 2010
  • 본 연구는 여름철에 집중 생산되는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종료시점 오디과즙의 pH는 3.2~3.6, 총산 함량은 0.40~0.53%, 당도는 발효 6일째 $9.5{\sim}14.5^{\circ}brix$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효 36일 이후에는 $3^{\circ}brix$ 부근에서 더 이상의 당 소모는 없었다. 알콜 함량은 발효 6일째 급격히 증가하여 $16^{\circ}C$$18^{\circ}C$는 4.5%, $20^{\circ}C$는 6.5%, $25^{\circ}C$는 8.0%로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48일째 10.5~11.5%로 측정되었다. 오디와인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와 oxalic acid는 발효 후 감소하였으며, malic acid는 증가하였다. 당의 종류로는 fructose, glucose, malt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오디 발효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당은 glucose와 maltose 이었다. 알콜 생성량이 가장 높은 조건은 $20^{\circ}C$$25^{\circ}C$이었으며, 두 온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자공여능은 40%(v/v) 농도에서 오디와인은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v/v) 농도에서 오디과즙, 오디와인이 각각 80.1% 및 72.1%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100%(v/v) 농도에서 오디과즙과 오디와인은 각각 86.2%, 85.2%의 소거능을 보였다. 오디와인 보다 오디과즙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에 기능성이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밸런스는 오디와인이 5.00로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어 오디를 이용한 발효주의 산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reening Wild Yeast Strains for Alcohol Fermentation from Various Fruits

  • Lee, Yeon-Ju;Choi, Yu-Ri;Lee, So-Young;Park, Jong-Tae;Shim, Jae-Hoon;Park, Kwan-Hwa;Kim, Jung-Wa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33-39
    • /
    • 2011
  • Wild yeasts on the surface of various fruits including grapes were surveyed to obtain yeast strains suitable for fermenting a novel wine with higher alcohol content and supplemented with rice starch. We considered selected characteristics, such as tolerance to alcohol and osmotic pressure, capability of utilizing maltose, and starch hydrolysis. Among 637 putative yeast isolates, 115 strains exhibiting better growth in yeast-peptone-dextrose broth containing 30% dextrose, 7% alcohol, or 2% maltose were selected, as well as five ${\alpha}$-amylase producer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26S rDNA gene classified the strains into 13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Pichia anomala was the most prevalent (41.7%), followed by Wickerhamomyces anomalus (19.2%), P. guilliermondii (15%), Candida spp. (5.8%), Kodamaea ohmeri (2.5%), and Metschnikowia spp. (2.5%). All of the ${\alpha}$-amylase producers were Aureobasidium pullulans. Only one isolate (NK28)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had all of the desired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ept ${\alpha}$-amylase production, and fermented alcohol better than commercial wine yeasts.

발효공정 자동제어를 위한 포도주 발효 중 포도당 농도 온라인 측정 (On-line Monitoring of a Glucose Concentration on a Fermentation Process of Wine for an Automatic Control of a Fermentation Process)

  • 송대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4호
    • /
    • pp.276-281
    • /
    • 2008
  • A flow injection analysis method (FIA), which analyzes sample conditions after injecting a sample and reagents into a continuous stream, are recognized as the most adequate analyz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ampling frequency, the decrease of measuring time and the diversity of measuring targets. Specially, the FIA is considered to be used effectively for the control of a fermentation process to produce fermentation food and useful microbial production by activation of a fermentation industry for development of biological materials. In this study, a flow injection analysis sensor unit was developed for on-line monitoring of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by on-line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of the fermentation process of wine. The glucose concentration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every 12 hours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process and compared with those by a HPLC. The concentration relative errors of glucose o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wine showed below 30% within 72 hours and over 50% after the 72 hours. The sensor unit had potential to on-line monitoring of the fermentation process but some problems to overcome for an commercial application.

Estimation of Korean Adult's Daily Intake of Ethyl Carbamate through Korean Commercial Alcoholic Beverages Based on the Monitoring

  • Ha, Mi-Sun;Hu, Soo-Jung;Park, Hee-Ra;Lee, Hyo-Min;Kwon, Ki-Sung;Han, Eun-Mee;Kim, Kyung-Mi;Ko, Eun-Jung;Ha, Sang-Do;Bae,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12-116
    • /
    • 2006
  • Levels of ethyl carbamate, by-product produced naturally during fermentation,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de (GC/MS/SIM), and their daily intake by Korean adult group was estimated. In GC/MS/SIM analysis 0.8-10.1, 0.5-0.8, 0.4-0.9, 3.5-689.9, 8.4-30.3, 13.9-30.0, and 1.7-11.7 ppb of ethyl carbamate were detected in soju, beer, takju, fruit wine, cheongju, whiskey, and grape wine, respectively. Maximum daily exposure of ethyl carbamate through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was 7.41 ng/kg body weight/day for average Korean male, with one soju brand and two fruit wine brands showing high ethyl carbamate level.

Impact of Fermentation Rate Changes on Potential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in Wine

  • Butzke, C.E.;Park, Seung-K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5호
    • /
    • pp.519-524
    • /
    • 2011
  • The correlation between alcoholic fermentation rate, measured as carbon dioxide ($CO_2$) evolution, and the rate of hydrogen sulfide ($H_2S$) formation during wine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oth rates and the resulting concentration peaks in fermentor headspace $H_2S$ were directly impacted by yeast assimilable nitrogenous compounds in the grape juice. A series of model fermentations was conducted in temperature-controlled and stirred fermentors using a complex model juice with defined concentrations of ammonium ions and/or amino acids. The fermentation rate was measured indirectly by noting the weight loss of the fermentor; $H_2S$ was quantitatively trapped in realtime using a pre-calibrated $H_2S$ detection tube which was inserted into a fermentor gas relief port. Evolution rates for $CO_2$ and $H_2S$ as well as the relative ratios between them were calculated. These fermentations confirmed that total sulfide formation was strongly yeast strain-dependent, and high concentrations of yeast assimilable nitrogen did not necessarily protect against elevated $H_2S$ formation. High initial concentrations of ammonium ions via addition of diammonium phosphate (DAP) caused a higher evolution of $H_2S$ when compared with a non-supplemented but nondeficient juice. It was observed that the excess availability of a certain yeast assimilable amino acid, arginine, could result in a more sustained $CO_2$ production rate throughout the wine fermentation. The contribution of yeast assimilable amino acids from conventional commercial yeast foods to lowering of the $H_2S$ formation was marginal.

소국주(小麴酒)와 시판약주(市販藥酒)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 장기중;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7-313
    • /
    • 1981
  • 한국(韓國) 고래주(古來酒)인 소국주(小麴酒)와 시판약주(市販藥酒)의 성분(成分)이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1차 담금에 찹쌀 반숙미(半熟米)를 사용(使用)하여 양조(釀造)한 소국주(小麴酒)에 있어서 알코올과 추출물(抽出物)의 함유량(含有量)이 높았으며 다량(多量)의 pyruvic acid가 검출(檢出)되 었다. 2. 타르타르산과 시트르산은 시판(市販) 약주(藥酒)에서만 검출(檢出)되었으며 소국주(小麴酒)의 주된 유기산(有機酸)은 락트산$(7{\sim}10\;mg/ml)$ 및 푸마르신과 숙신산$(0.3{\sim}0.65\;mg/ml)$이였다. 3. 소국주용(小麴酒用) 누룩에는 락트산이 7.8 mg/g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시판(市販) 약주용(藥酒用) 누룩에서는 말산이 0.47 mg/g으로 다량(多量)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관능(官能) 검사(檢査) 결과(結果) 참쌀 반숙미(半熟米)를 사용(使用)하여 양조(釀造)한 소국주(小麴酒)가 다른 약주(藥酒)보다 품질(品質)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