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strum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수유기간에 따른 모유 중 Indicator PCBs 분석을 통한 영유아의 인체노출평가 (Estimation of Indicator PCBs Exposure in Infants via Breast-Feeding Period)

  • 위성욱;윤조희;민병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5
    • /
    • 2012
  • Indicator PCB의 농도 수준은 2006년에 세계보건기구(WHO) 프로토콜에 따라 수집된 132개의 모유(초유, 출산 후 30일째 모유, 출산 후 60일째 모유)로 분석하였다. Indicator PCBs의 농도는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방법은 국제적 경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정확하고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모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균일일섭취량(ADIs)이 계산되었다. 총 indicator PCBs의 중앙값은 14 ng/g lipid로, 다른 나라에서 검출된 농도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PCBs 138, 153, 180은 분석한 지표 이성질체 합의 약 65%를 차지하였다. 가장 기여율이 높은 PCB 153은 총 indicator PCBs 농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PCBs 농도는 산모의 아이수가 증가할수록 확연히 감소하였고, 산모의 PCBs 축적과 배출에 있어 출산경력과 수유기간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6개월 모유수유 기간 동안 총 indicator PCBs의 평균일일섭취량의 중앙값은 $0.077{\mu}g/kg{\cdot}bw/day$이었다. 초산부 모유 중 PCB 118의 농도는 1998년에 비해 25~35% 정도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KI-180과 KI-188 칼슘조성물이 어린쥐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I-180 and KI-188 Calcium Formula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ats)

  • 박승만;성기승;이종석;이옥환;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8-3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KI-188 칼슘과 KI-180 조성물이 성장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기간중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성장률과 평균 식이섭취량은 증가하였다. 체장은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 3.55 mm 더 길었고, 등뼈길이는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0.5 mm 더 길었다. 대퇴골 무게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무거웠으며, 대퇴골길이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평균 0.89, 1.09 mm 더 길었다. 혈당,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차이가 없었고, 칼슘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 보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백혈구와 혈소판수는 차이가 없었고, 적혈구, 혈색소 및 헤마토크릿치는 대조군이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ALP활성은 KI-180 식이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osteocalcin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testosterone 농도는 KI-188 칼슘과 KI-180 식이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IGF-1과 IGFBP-3 농도는 KI-180 조성물이 대조군 보다 각각 20%, 11% 정도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검토할 때 KI-188 칼슘과 KI-180 조성물은 어린쥐의 성장과 골격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성장호르몬의 분비능을 양적으로 유도하여 전반적인 성장발육에 유효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모유의 철분,아연 및 구리 함량과 모유 영양아의 모유와 미량원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ron, Zinc and Copper Contents in Human Milk and Trace Element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 최미경;안흥석;문수재;이민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42-449
    • /
    • 1991
  • 한국인 수유부 21명 의 모유에 함유된 철분, 아연, 및 구리의 함량을 경시적으로 초유부터 12주의 성숙유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세분하여 비교 검토하고, 생후 6~7주 된 14명의 모유영양아에 대한 1일 모유 및 미량원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모유에 함유된 이 세가지 미량원소들의 함량은 수유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며 모유의 평균 철분 함량은 초유에서 0.33$\mu\textrm{g}$/$m\ell$, 이행유에서 0.31$\mu\textrm{g}$/$m\ell$ 그리고 성숙유에서 0.2$\mu\textrm{g}$/$m\ell$이었고, 아연 농도는 각각 4.15$\mu\textrm{g}$/$m\ell$, 3.51$\mu\textrm{g}$/$m\ell$과 2.8$\mu\textrm{g}$/$m\ell$이었으며 초유와 이행유 그리고 성숙유의 평균 구리 농도는 각각 0.21$\mu\textrm{g}$/$m\ell$, 0.34$\mu\textrm{g}$/$m\ell$ 및 0.26$\mu\textrm{g}$/$m\ell$로 측정 되었다. 모유영양아의 평균 1일 모유 섭취량은 768g이었으며 모유를 통한 미량원소의 1일 평균 섭취량은 철분 0.19mg, 아연 2.10mg, 그리고 구리는 0.15mg 이었다. 앞으로 수유기간에 따른 모유내 미량원소 함량의 감소가 영아의 성장 발달 및 급식과 어떻게 관련되는가에 관한 연구와, 모유 영양아와 인공 영양아의 체내 미량윈소 영양 상태 비교가 이루 어져야 하겠으며 한국인 영아를 위한 영양 권장량은 성장이 양호한 모유 영양아의 영양소 섭취량을 기준하여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 PDF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섭취상태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Feeding Method during Infant Peri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명화;최미경;김현진;배윤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7-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모유영양군, 인공영양군, 혼합영양군으로 분류하여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아기 영양법이 이후의 식사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9.7세였으며,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각각 139.0 cm, 34.6 kg, $17.8kg/m^2$로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아기 영양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초유를 섭취한 비율은 모유영양군 97.2%, 혼합영양군 92.7%로 인공영양군의 40.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이유 시기 및 첫 이유 식품에서 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식습관 조사 결과 간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는 비율은 모유영양군 10.0%, 인공영양군 9.4%로 혼합영양군의 3.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사 및 외식빈도 등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식습관 점수와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은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장기 아동에서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간식섭취 빈도, 우유 유제품 및 채소 섭취 정도 등과 같은 식습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성장, 건강, 식습관 및 식사섭취상태 등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욕초기 초산모의 모성 정체성과 영아돌보기 활동 자신감에 관한 연구 (Primipara's maternal Identity &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 During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 김혜원;황문숙;홍경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4-102
    • /
    • 1998
  • In this study the levels and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maternal identity and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 were identified during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114 primiparous women who delivered vaginally normal baby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August 1 to October 31, 1996. SD scale was to measure maternal identity which consisted of 11 items for mother and 6 items for baby. Likert scale was to measure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 (38 items). Cronbach's alphas for evaluating internal consistency as follows : .86 for maternal identity and .96 for self confidence scale for caring the baby. The study showed these results : 1. Mean score of maternal identity(82.03 : 52.65 for mother, 29.38 for baby) was considered relatively low. 2. Mean score of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113.91) was considered relatively low. 3.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rimiparous to maternal identity : age(total ; F=3.53, p=.0329, for mother ; F=2.60, p=.0719, for baby ; F=3.12, p=.0481), prenatal infant care preparation(total ; t=2.31, p=.0306, for mother ; F=2.62, p=.0160), knowledge about infant care during the hospitalization(for baby ; F=3.94, p=.02222), colostrum feeding(total ; t=1.95, p=.0541, for baby ; t=2.71, p=.0080), frequency of breast feeding during the hospitalization(for baby ; F=3.91, p=.0228)and feeding type after discharge(for baby ; F=3.18, p=.0456). 4.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rimiparous to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 : routine husband support(F=6.09, p=.0031), prenatal infant care preparation(t=2.04, p=.0574), knowledge about infant care during the hospitalization(F=3.15, p=.0467), education of breast feeding during the hospitalization(t=-1.79, p=.0850). 5.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identity and self confidence for caring the baby was r=.37608(p=.0001). This study implies that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primipara are needed. For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role variables need to be monitored through the home visiting follow up. Also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prenatal care, discharge education, home visiting follow up need to be developed and then evaluated their effectiveness.

  • PDF

Effects of selenium source and level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reproductive performance, serum Se level and milk composition in gestating sows

  • Jin, Xing Hao;Kim, Cheon Soo;Gim, Min Jin;Kim, Yoo Y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948-195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lenium (Se) source and level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reproductive performance, serum Se level, and milk composition in gestating sows. Methods: A total of 54 multiparous sows (Yorkshire×Landrace) with average body weight (BW), backfat thickness (BF), and parity were assigned to one of five treatments with 10 or 11 sows per treatment using a 2×2 factorial arrangement with one additional treatmen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organic or organic Se (IS or OS) sources were added to the diet at 0.30 ppm and 0.50 ppm Se. A non-Se-fortified corn-soybean meal basal diet served as a negative control.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Control: corn-soybean based diet, ii) IS30: control+inorganic Se 0.30 ppm, iii) IS50: control+inorganic Se 0.50 ppm, iv) OS30: control+ organic Se ppm, and v) OS50: control+organic Se 0.50 ppm. Results: At day 21 of lactation, piglet weight and weight gain in the OS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IS treatments (p<0.05). Meanwhile, adding 0.5 ppm Se also resulted in the sa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iglet BW and weight gain (p<0.05). Colostrum and milk Se concentrations increased (p<0.05) with Se level for both Se sources but were greater when sows were fed organic Se (p<0.05). Except for 24 hours postpartum, the Se concentrations were higher when sows were fed organic Se (p<0.05). Sow serum Se content was greater as Se levels increased from 0.3 ppm to 0.5 ppm at day 110 of gestation, 24 hours postpartum and day 21 of lactation (p<0.05). The pig serum Se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dietary Se level increased (p<0.05) and was higher when the sow dietary Se source was organic (p<0.05). Organic Se 0.5 ppm also had the highest serum Se level at two measured points (p<0.05). Conclusion: Consequently, supplementation with organic Se or 0.5 ppm Se in a gestating diet could improve piglet performance, the Se status of sows and piglets and milk composition, but organic Se at 0.5 ppm is optimal.

Effects of peripartal glucose precursor supplementation on lactation performance and metabolic health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dairy cows

  • Muhammad Uzair Akhtar;Hifzulrahman;Talat Naseer Pasha;Muhammad Avais;Nauman Khan;Ghazanfar Ali Chishti;Mubashar Ali;Muhammad Imran;Muhammad Naeem Tahir;Muhammad Naveed-ul-Haque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69-878
    • /
    • 2023
  • Objective: Hyperketonemia remains a major metabolic issue of serious milk production and a major health concern in early lactation cows. Oral supplementation of glucose precursors (GP) can be used to prevent hyperketonemia in dairy cow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eneficial effects of orally supplementing a mixture of GP on metabolic health indicators and milk production status of primiparous (PP) and multiparous (MP) dairy cows. Methods: Twenty-eight Holstein cows were blocked by expected date of parturition, previous lactation yield, and parity. The cow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ur treatment groups (n = 7 cows/group) based on their parity and GP supplementation: i) PP cows fed basal diet only (PP-CON), ii) PP cows with oral supplementation of GP (PP-GP), iii) MP cows fed basal diet only (MP-CON), and iv) MP cows with oral supplementation of GP (MP-GP). Glucose precursor (glycoline liquid) was orally drenched (300 mL/d) in GP cows from 7 days prepartum through 7 days postpartum. Other than GP supplementation, all cows were fed similar pre- and postpartum basal diets. Results: In both pre- and postpartum periods,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hereas β-hydroxybutyrate and free fatty acids were decreased in GP cows compared with the CON cows. Milk yield and milk components were statistically not different between GP and CON cows over the first 9 week of lactation. The yield of actual milk, energy-corrected milk, 63-days cumulative milk, colostrum yield, and calf birth weight remained higher in MP cows compared with PP cows. Conclusion: Oral drenching of GP around calving can be recommended to successfully improve the metabolic health and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hyperketonemia not only in MP but also in PP dairy cows.

유우 Lactoferrin 효소가수분해물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zates of Lactoferrin Derived from Bovine Colostrum)

  • 한수연;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52-67
    • /
    • 1998
  • 본 연구는 포유동물의 젖에 함유되어 있는 lactoferrin(LF)의 생리적 특성을 밝혀 기능성 식품 특히 항균작용을 이용한 식품제조업에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젖소의 초유로부터 lactoferrin을 분리 정제하여, 소화부위에 따른 lactoferrin의 항균활성을 분석하고자 pepsin, trypsin 및 chymotrypsin으로 분해하여 lactoferrin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gel-filtration으로 분리 정제된 각각의 fraction별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접종하여 항균효과를 지니는 각 효소별 fraction의 분자량과 peptide fragment를 검토하였다. 1. 젖소의 초유로부터 분리 정제된 lactoferrin(LF)을 단백질 분해 효소인 pepsin, trypsin 및 chymotrypsin으로 분해한 결과 bovine lactoferrin은 SDS-PAGE를 수행하여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pepsin으로 분해된 lactoferrin은 분자량 14KDa까지에서도 band를 확인할 수가 없었으며, trypsin과 chymotrypsin으로 분해한 lactoferrin은 분해되지 않은 lactoferrin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33KDa에서도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Sephadex G-50 column을 사용하여 bovine lactoferrin를 효과적으로 정제하였다.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 한 결과 bovine lactoferrin은 Tris-HCl사이에서 용출되었으며, pepsin, trypsin 및 chymotrypsin으로 분해한 lactoferrin은 각각 2, 3, 2 개의 peak를 보였고, HPLC 분석결과 첫번째 peak는 주로 분해되지 않은 lactoferrin 수용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trypsin과 chymotrypsin처리에서 항균효과도 유사점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효소처리한 lactoferrin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를 접종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효소에 대하여 pepsin으로 처리한 lactoferrin을 접종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생장율을 보여 현저한 항균활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trypsin과 chymotrysin에 의한 분해물도 미생물 배양 8시간까지는 효소 처리전 bovine lactoferrin보다는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 Sephadex G-50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 정제된 bovine lactoferrin fraction별로 SDS-PAGE를 실시한 결과 lactoferrin fraction의 경우는 chromatography 수행 결과와 비교하여, pepsin과 chymotrypsin 분해물은 저분자량임을 알 수 있었고, trypsin에 의한 lactoferrin만이 단일 band를 보임으로서 단백질 분해의 특징을 볼 수 있었다.

  • PDF

Ad libitum Pasture Feeding in Late Pregnancy Does Not Improve the Performance of Twin-bearing Ewes and Their Lambs

  • Corner-Thomas, R.A.;Back, P.J.;Kenyon, P.R.;Hickson, R.E.;Ridler, A.L.;Stafford, K.J.;Morris, S.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360-368
    • /
    • 2015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ntrolled ryegrass-white clover herbage availability from day 128 until day 142 of pregnancy in comparison to unrestricted avail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twin-bearing ewes of varying body condition score (BCS; 2.0, 2.5, or 3.0) and their lambs. It was hypothesised that under conditions of controlled herbage availability, the performance of lambs born to ewes with a greater BCS would be greater than those born to ewes with a lower BCS. During the period that the nutritional regimens were imposed, the pre- and post-grazing herbage masses of the Control regimen ($1,070{\pm}69$ and $801{\pm}30$ kg dry matter [DM]/ha) were lower than the ad libitum regimen ($1,784{\pm}69$ and $1,333{\pm}33kg\;DM/ha$; p<0.05). The average herbage masses during lactation were $1,410{\pm}31kg\;DM/ha$. Nutritional regimen had no effect on ewe live weight, BCS and back fat depth or on lamb live weight, indices of colostrum uptake, maximal heat production, total litter weight weaned or survival to weaning (p>0.05). The difference in ewe BCSs and back fats observed among body condition groups was maintained throughout pregnancy (p<0.05). At weaning, ewes from the BCS2.0 group had lower BCS and live weight ($2.4{\pm}0.2$, $74.3{\pm}2.6kg$) than both the BCS2.5 ($2.6{\pm}0.2$, $78.6{\pm}2.4kg$) and BCS3.0 ewes ($2.7{\pm}0.2$, $79.0{\pm}2.6kg$; p<0.05), which did not differ (p>0.05). Ewe BCS group had no effect on lamb live weight at birth or weaning or on maximal heat production (p>0.05). Serum gamma glutamyl transferase concentrations of lambs born to BCS3.0 ewes were higher within 36 hours of birth than lambs born to BCS2.0 ewes and BCS2.5 ewes ($51.8{\pm}1.9$ vs $46.5{\pm}1.9$ and $45.6{\pm}1.9IU/mL$, respectively [p<0.05]). There was, however, no effect of ewe body condition on lamb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p>0.05). Lamb survival was the only lamb parameter that showed an interaction between ewe nutritional regimen and ewe BCS whereby survival of lambs born to BCS2.5 and BCS3.0 ewes differed but only within the Control nutritional regimen ewe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farmers can provide twin-bearing ewes with pre- and post-grazing ryegrass-white clover herbage covers of approximately 1,100 and 800 kg DM/ha in late pregnancy, provided that herbage covers are 1400 in lactation, without affecting lamb performance to weaning. The present results also indicate that under these grazing conditions,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we performance within the BCS range of 2.0 to 3.0 and therefore they do not need to be managed separately.

인유(人乳)와 우유(牛乳) 중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Secretory Immunoglobulin A의 Salmonella속(屬) 성장억제(成長抑制)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rowth Inhibition of Salmonella by Secretory Immunoglobulin A in Human and Bovine Milk)

  • 배형철;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2-132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초유(初乳) 중(中)에 다량(多量) 존재하면서, 국소면역(局所免疫)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Secretory immumoglobulin A (SIgA)를 분리(分離)하여 사람에게 급성위장병 및 집단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독소형(腸毒素型) Salmonella속(屬) (S. enteritidis, S. typhimurium)의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하였다. 우유(牛乳) 초유(初乳) 중(中)에서 분리한 SIgA를 각각 $0.1{\sim}5.0mg/m{\ell}$의 수준이 되도록 stock solution을 제조하여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한편 항균성물질(抗菌性物質로)로 알려진 egg lysozyme을 $0.5mg/m{\ell}$의 수준으로 단독(單獨) 첨가(添加) 및 SIgA와 혼합(混合) 첨가(添加)하면서, 그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1. 우유(牛乳) 초유(初乳) 중(中)에 존재(存在)하는 SIgA는 gel filtration 및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순수하게 분리(分離)할 수 없었으며, 또한 SIgA rich fraction 중(中)에는 dimeric-$IgG_1$이 상당히 혼재(混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2. Human SIgA는 $0.5{\sim}1.0mg/m{\ell}$의 농도(濃度)에서 효과적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濃度)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의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Bovine SIgA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였으며, 특히 $2.0mg/m{\ell}$이상의 농도(濃度)에서는 뛰어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여 주었다. Bovine IgG는 Salmonella속 (屬) 2균주(菌株)에 대하여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이지 않았다. Egg lysozyme의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는 bovine SIgA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농도(濃度)를 증가시킬수록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3. Human SIgA와 egg lysozyme을 단독(單獨) 또는 혼합첨가(混合添加)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한 결과, 2균주(菌株) 모두에서 egg lysozyme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월등한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나타내는 반면 human SIgA 단독(單獨) 및 egg lysozyme과 혼합처리구(混合處理區)에는 경미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4. Bovine SIgA와 egg lysozyme을 단독(單獨) 또는 혼합(混合) 첨가(添加)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한 결과, S. enteritidis의 경우 세처리구 모두 월등한 성장억제(成長抑制)를 보였으며, S. typhimurium의 경우 egg lysozyme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만 뛰어난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