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paste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6초

Digital Ink-jet Printing for Chitosan-treated Cotton Fabric

  • Choi P. S. R.;Yuen C. W. M.;Ku S. K. A.;Kan C. W.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3호
    • /
    • pp.229-234
    • /
    • 2005
  • In this paper, chitosan was suggested for using as a replacement for sodium alginate in the pretreatment print paste for digital ink-jet printing for cotton fabric. Pretreatment print pastes prepared from the mixture of chitosan and acetic acid with the appropriate viscosity gave satisfactory prints on the cotton fabric. Chitosan-treated cotton fabrics were digitally ink-jet printed with four different colors and the color fastness rating of the printed fabrics was satisfactory.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ossibility of pre-treating the cotton with chitosan to replace the sodium alginate normally present in the pretreatment print paste recipe.

복숭아 막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ch Makphyun)

  • 심은경;김현정;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24-1730
    • /
    • 2014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복숭아 통조림을 선택하여 복숭아 페이스트를 만든 후 0, 5, 10 또는 20%를 첨가한 막편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복숭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아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P<0.05). 복숭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막편의 환원당이 증가하였다(P<0.05). 색도는 복숭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총페놀 함량은 복숭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복숭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C_{50}$ 값이 낮아져 항산화능이 높았다. 기호도는 복숭아를 첨가할수록 외관, 향미, 맛,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적 기호도는 복숭아 20%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복숭아 첨가가 떡의 항산화능과 기호도를 증가시켜 저장성이 낮은 복숭아의 활용도를 높이고 설기떡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숭아 20%를 첨가하여 복숭아 막편을 제조할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와 항산화능에서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복숭아 통조림과 막걸리 제품을 이용한 비교 분석으로 최대 가치를 창출하는 복숭아 막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생청고추 페이스트의 저장 과정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 Green Pepper Paste during Storage)

  • 정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6-220
    • /
    • 1998
  • 생청고추의 풍미와 색깔을 유지하기 위하여 염과 산을 첨가한 뒤 가열 처리하여 생청고추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가공 공정을 검토하였고, 상온 및 저온에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청고추 페이스트는 꼭지를 제거하지 않고 쵸핑하여 95%의 수율을 얻었으며, 고추씨를 제고하여 제조하였을 때 86%의 수율을 얻어 비경제적이었으며 제품의 품질면에서도 차이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고추씨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고 사려 되었다. 생청고추 과피의 pH는 4.5~5.0으로 나타났다. 생청고추에 10%의 염, 5%의 포도당과 0.1%의 사과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청고추 페이스트는 5$^{\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할 때 6개월 이상 풍미, 성상 및 품질의 변화를 거의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염, 포도당, 사과산 등을 첨가하고 8$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를 하여 제조한 청고추 페이스트는 생청고추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5$^{\circ}C$이하에서 보관시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었다.

  • PDF

오만둥이 함유 어묵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plicata)

  • 박선민;서혜경;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56-1260
    • /
    • 2006
  • 식품 제조에서 부재료로 맛과 향을 제공하며 항산화능과 항암력이 보고된 오만둥이(Styela plicata)를 세절한 후 각각 0, 5, 10, 15, 20% 첨가하여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오만둥이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명도 L값은 15%에서 제일 낮은 값을 보였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15%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오만둥이의 첨가량에 상관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는 오만둥이가 첨가될수록 어묵의 강도,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능검사에서는 15%가 첨가되었을 때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리학적 기능성이 알려진 오만둥이의 적당량 첨가는 관능적으로 우수한 어묵을 제조할 수 있어 고품질 어묵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illus natto 가 된장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acillus natto on the Soybean Paste)

  • 이갑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3-168
    • /
    • 1973
  • 1) 숙성(熟成)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보다 빠르고 13일간(日間)이면 충분(充分)하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 품질(品質) 및 냄새와 색깔은 15% 납두(納豆)된장이 다른 것보다 가장 좋은 영향을 주었다. 3) 총 질소량의 변화는 담금한 후 13일(日)까지는 점차로 감소되었으나 amino acid양(量)과 암모니아태 질소량은 증가되었다. 4)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13일(日)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5) Amino acid양(量)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것보다 많았다. 6) 총산과 환원당량의 변화는 숙성 $9{\sim}15$일(日)까지 급증가 하였으며 그 후(後)부터는 서서히 증감하였다. 7) 총산과 환원당은 koji된장보다 납두(納豆)된장이 약간 많았으며, 납두(納豆) 첨가량의 상이(相異)에 의(依)한 큰 차이(差異)는 없었다. 8) 환원당량과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protease 역가(力價)에 비례하였다. 9) 15% 납두(納豆)를 첨가하여 13일간(日間) $30^{\circ}C$에서 속양(速釀)하면 좋은 된장을 만들 수 있다.

  • PDF

고등어육 단백질 가열겔 물성에 대한 알카리 전해수세수 효과 (Effects of Electrolytic Alkali Water Washing on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 Protein Heat Gel Rheology)

  • 이남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3-240
    • /
    • 2012
  • In this study, the alkiline water washing condition of mackerel(Scomber japonicus) dark meat was investigated to improve processing conditions of red muscle fish meat paste heating gel. Chemical alkaline water(CWM) and electrolytic alkiline water(EWM, pH 12) were used for washing the mackerel raw meat. Washed meats were minced with 2.5% salt and heated at $90^{\circ}C$/15 min to testing texture profile analysis. Moisture of CWM and EWM was increased with both washing times(p<0.05). Crude lipids and protiens were decreased with washing times. Lightness of chemical alkaline water washed mackerel heated paste gel(CWHPG) was higher than electrolytic alkaline water washed mackerel heated paste gel(EWHPG). Redness and yellowness were more decreased than control meats. Jelly strength of CWHPG and EWHPG was not increased more than 2 times wased meat and was increased with protein decrease. Texture profile analysis, max force1 of CWHPG and EWHPG was higher hardeness than the control meat except gel strain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electric alkialine water washing is also effective in advance the red meat paste heating gel process of kamaboko industry.

효소에 의한 열처리 생대추 조직의 수용화 (Enzymatic Solubilization of Thermally Treated Jujube Tissues)

  • 최정선;황재관;김종태;정강현;이동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83-687
    • /
    • 1996
  • Jujube paste was prepared by autoclaving the fresh jujube at 1.2 atm and $120^{\circ}C$ for 30 min and removing the skin and cores. In order to increase the juice yield, the paste was treated with pectinase, cellulase and their combinations. The soluble fractions of enzymatically treated jujube paste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yield, pH, titratable acidity, color, Bx, transmittance and sugar compositions. The original paste exhibited the water soluble fraction of 57.3%. Of various quality factors, the clarity was the most significantly distinguished between pectinase and cellulase treatments. The cellulase treatment produced the cloudy juice with the yield of 83.60%. On the other hand, the clear juice was produced by the pectinase and combined treatments due to degradation of pectins, whose yields were 79.47% and 85.39%, respectively.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pectinase treatments improved the solubilization efficiency and clarity.

  • PDF

자가중합 임시치관용 레진의 표면 처리에 따른 색 안정성 (Color Stability of Self-Cured Temporary Crown Resin according to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 박지원;배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6
    • /
    • 2016
  • 이번 연구는 자가중합 임시치관용 레진의 표면 처리와 음식에 따른 색 안정성 확인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ethyl methacrylate형의 SNAP 시편에 denture bur polishing, silicone bur polishing, pumice polishing의 3단계 표면 처리 후 커피와 콜라, 된장과 고추장, 레드 와인과 맥주에 침전한 블럭을 분광광도계로 관찰하여 초기 값과 비교한 ${\Delta}E^*$값을 알아보았다. 모든 시편에서 침전 시간과 표면 처리에 따라 나타난 착색의 차이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색 변화가 관찰되었다(p<0.001). 커피는 1일($2.59{\pm}1.08$), 5일($3.89{\pm}0.83$), 7일($4.53{\pm}0.22$) 모두 pumice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다. 콜라는 1일($2.53{\pm}0.55$)과 5일($4.75{\pm}0.94$) pumice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고, 7일($5.28{\pm}0.25$)은 denture bur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다. 고추장은 1일($6.38{\pm}0.61$)과 5일($10.4{\pm}7.58$) silicone bur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고 7일($12.44{\pm}2.82$)은 denture bur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다. 반면 pumice polishing에서는 1일($6.09{\pm}1.03$), 5일($4.9{\pm}2.37$), 7일($5.33{\pm}0.64$) 모두 색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된장은 1일($1.37{\pm}0.35$)과 7일($4.98{\pm}0.55$)은 pumice polishing이 색 변화가 많았으며, 5일($2.61{\pm}0.38$)은 denture bur polishing이 색 변화가 가장 많았다. 레드 와인은 denture bur polishing이 1일($4.78{\pm}1.10$), 5일($12.69{\pm}3.06$), 7일($13.48{\pm}2.08$) 모두 색 변화가 가장 많았고, pumice polishing에서 1일($2.66{\pm}0.39$), 5일($8.56{\pm}0.16$), 7일($8.77{\pm}0.22$) 모두 색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맥주는 pumice polishing이 1일($4.15{\pm}0.47$), 5일($4.12{\pm}0.37$), 7일($4.53{\pm}0.89$) 모두 색 변화가 가장 많았으며 반면 silicone bur polishing이 1일($1.27{\pm}1.1$), 5일($2.3{\pm}0.32$), 7일($2.48{\pm}0.46$) 모두 색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가중합 레진의 임시치관 색 안정성 제공을 위해 음식 섭취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선호 음식의 종류에 따라 표면 처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임시치관 사용 시 주기적인 재제작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제조 및 특성 (Making Fish Paste with Yam(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정선;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9
    • /
    • 2009
  •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마의 섭취를 증대와 식품 제조에의 마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재료의 첨가가 쉽고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은 어묵 제조에 활용하여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을 제조하였다.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수분함량은 마 분말의 첨가 여부 및 첨가 비율에 관계없이 각각 79.53~80.4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L값(Lightness)은 마 분말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마 분말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마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와 1%, 2% 첨가구는 A로 측정되었으며, 3~5% 첨가구는 AA로 측정되었다. 어묵의 조직감의 특성 중 강도(Strength), 껌성(Gummi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ness)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마 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 특성 중 갈색의 정도(외관)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갈색의 정도가 강해졌으며, 윤기의 정도는 5.00~5.47의 범위로 보통 정도의 윤기를 나타내었다. 냄새의 항목 중 마 냄새의 정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생선 비린내는 마 분말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선 비린내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수한 냄새의 정도는 2%의 마 분말 첨가 어묵이 구수한 냄새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맛의 항목 중 구수한 맛의 정도는 2% 마 분말 첨가 어묵이 가장 강한 것(6.00)으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맛의 정도는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묵이 5.74로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조직감의 항목 중 강도(Strength)는 마 분말 첨가 어묵이 무 첨가 어묵보다 높은 강도로 평가되었으며, 껌성(Gummi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의 정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어묵의 관능적 선호도는 전체 어묵 반죽 중량대비 2%의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이 색, 맛, 전체적인 선호도의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조직감 또한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은 어묵의 주요 품질 요인인 탄력성을 증가시키고 관능검사에서도 우수한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대중적인 가공 제품으로써의 제조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 중에서도 어묵 반죽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의 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마 분말 첨가 어묵 제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치원 급식에 적용하기 위한 국ㆍ찌개의 Steam Convection Oven 및 Cook/Chill System용 레시피 개발 및 미생물적, 관능적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 -미역국, 쇠고기무국 및 쇠고기된장찌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Recipe and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Various Soups for Steam Convection Oven and Cook/Chill System for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For the Focus on Miyuck-gook, Soup of beef and radish and Chige of beef and soybean paste))

  • 강현주;김은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84-592
    • /
    • 2000
  • Standard recipes of various Korean soups for cook/chill system were developed to provide foodservice managers in kindergarten with mor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Three kinds of soup, Miyuck-gook (Korean sea mustard soup), Soup of beef and radish and Chige of beef and soybean paste (Korean thick soup made of beef and soybean paste) were selected as menu items in this study, and the standard recipes for these soups were developed through sensory evaluation,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ure the quality of soup. The microbial counts of the soups which were chilled at 0-3$^{\circ}C$ and stored for 10 days in refrigerator were as follows: Aerob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Miyuck-gook; however, those in Soup of beef and radish were 0.00-1.32${\pm}$0.28 log CFU/g and those in Chige of beef and soybean paste were 3.36${\pm}$0.10- 4.67${\pm}$0.08 log CFU/g. Coliform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any soups. All the item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day of storage, except the flavor, tenderness, chewiness, feeling after swallowing of Soup of Beef and Radish and color of Chige of Beef and Soybean Past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of chilled stored foods in the first and third day were 6.40:t0.83 and 6.07 :to.46 in Miyuck-gook, 6.93 ${\pm}$0.80 and 6.27${\pm}$1.16 in Soup of beef and radish, and 6.40${\pm}$1.40 and 6.07${\pm}$1.44 in Chige of beef and soybean past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