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lor histogram

Search Result 50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wo camera based touch screen system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을 위한 2개의 카메라 기반의 터치 스크린 시스템)

  • Kim, Jin-Kuk;Min, Kyung-Won;Ko, Han-Seo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319-320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ion based system employing two cameras to provide effective touch screen function. The two main processes - determining touch (or no-touch) and contact location of screen plane - are essential for enabling touch screen function. First region of interest is found by using color characteristic and histogram for determining the contact mode. Second, if the hand touches the mirror, the fingertip point in image is foun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mirror attribute. Subsequently, the fingertip coordinate in image is transformed to the location in mirror plane by using four predefined points (termed as four-point method) and bilinear transform.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is suited to touch screen.

  • PDF

Creating highlights of Soccer video (축구 비디오 하이라이트 생성)

  • Jeon, Geun-Hwan;Sin, Seong-Yun;Lee, Yang-Won;Ryu, G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4
    • /
    • pp.411-418
    • /
    • 2001
  • 비디오 하이라이트(highlights)는 원래의 비디오 보다 짧고 많은 양의 의미를 갖는다. 기존의 파노라마 형태의 추상화 기법은 여러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모자이크하는 형태이었고, TV 드라마 하이라이트 방법은 카메라의 이동이나 특수효과에 의존하기 때문에 스포츠 비디오에 적용은 부적합하다. 이 논문에서는 축구 비디오를 대상으로 시각정보와 자막을 이용하는 새로운 비디오 하이라이트 생성 방법과 이벤트 기반 비디오 인덱싱 방법을 제안한다. 하이라이트 생성은 하이라이트 생성 규칙에 따라 자막에 의해 추출된 TIT을 중심으로 시각정보에 의해 추출된 샷을 합성하여 생성하였고, 인덱싱은 자막으로 추출된 샷은 주요소로, 시각정보에 의해 추출된 샷은 부가적 요소로 구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샷 추출기법 중 대표적인 컬러히스토그램과 $\chi$$^2$히스토그램과의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한 하이라이트 기법이 다른 방식보다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 PDF

A Study on Image Retrieval Using Space Information of Color Histogram (컬러 히스토그램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영상 검색에 관한 연구)

  • Yoon, Ho-Sub;Bae, Young-Lae J.;Yang, Young-Ky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0.10b
    • /
    • pp.867-870
    • /
    • 2000
  • 영상에서 나타난 컬러 정보를 이용해 검색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어진 방법 중 하나로 컬러 히스토그램의 유사성을 이용한 매핑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쉽게 영상에서 나타난 컬러 정보를 그룹화하여 매핑 할 수 있게 해주나, 전체 영상에서 나타난 컬러의 양 정보만을 제공할 뿐, 각각의 컬러에 대한 공간적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즉, 동일한 컬러가 한 곳에 집중해서 나타난 영상과 분산되어 나타난 영상이 동일한 컬러 정보로 매핑되므로 원치 않는 검색 결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은 컬러 히스토그램에서 얻어진 컬러 정보와 별개의 공간 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결합(fusion)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히스토그램의 빈(bin)들에 컬러에 대한 양 정보만이 아니라 컬러의 중심점과 분산 값 정보를 구하여 이를 영상 검색을 위한 매핑 정보로 사용한다.

  • PDF

Discriminatory Projection of Camouflaged Texture Through Line Masks

  • Bhajantri, Nagappa;Pradeep, Kumar R.;Nagabhushan, P.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v.9 no.4
    • /
    • pp.660-677
    • /
    • 2013
  • The blending of defective texture with the ambience texture results in camouflage. The gray value or color distribution pattern of the camouflaged images fails to reflect considerable deviations between the camouflaged object and the sublimating background demands improved strategies for texture analysi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implementation of an initial enhancement of the image that employs line masks, which could result in a better discrimination of the camouflaged portion. Finally, the gray value distribution patterns are analyzed in the enhanced image, to fix the camouflaged portions.

Scene Change Detection Using Local $X^2$ (지역적 $X^2$를 이용한 장면전환검출 기법)

  • Shin, Seong-Yoon;Baik, Seong-Eun;Pyo, Seong-Bae;Rhee, Yang-Won
    • KSCI Review
    • /
    • v.15 no.1
    • /
    • pp.203-20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의 분할을 위하여 먼저 기존에 제안되었던 차이 값 추출방법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급진적 장면전환부터 점진적 장면전환까지 모두 예측할 수 있는 강건하고 복합적인 차이 값 추출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이 방법은 지역적 $X^2$-테스트로서 기존의 컬러 히스토그램과 $X^2$-테스트를 결합한 방법이다. 본 논문을 위하여 기존의 히스토그램 기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X^2$-테스트를 변형하였고, 컬러 값의 세분화 작업에 따른 검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명암도 등급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지역적 $X^2$-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복잡하고 다양한 시세계의 영상 변화를 가장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할하며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존의 $X^2$-테스트와 제안된 지역적 $X^2$-테스트 방법의 비교는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 PDF

Cut Detection Using Color Histogram and Energy Vector in Wavelet Transform Domain (웨이블릿 변환영역에서 칼라 히스토그램과 에너지 벡터를 이용한 컷 검출)

  • 김수정;정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67-469
    • /
    • 2000
  • 본 논문은 웨이블릿 변환영역 하에서 칼라 히스토그램과 에너지 벡터를 이용한 컷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컷 검출 방법들은 대부분 공간영역과 변환영역 각각에 대한 특징을 이용해 컷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영역 하에서도 공간영역 특성을 유지하는 LL밴드 상의 칼라 히스토그램과 LH와 HL밴드의 에너지 값을 변환영역 특성으로 함께 고려하였다. 최근 영상 압축 표준에 웨이블릿을 이용한 압축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제안한 방법은 웨이블릿 압축 영상에서 압축을 해제할 필요 없이 검출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광고, 뉴스, 스포츠, 영화 등 5개 분야의 다양한 TV 프로그램에서 약 10,000개의 프레임으로 실험한 결과, Recall에서는 약 90%, Precision에서는 약 94%의 컷 검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Scene Change Detection of Video Data Using Color Histogram and Entropy (칼라 히스토그램과 엔트로피를 이용한 동영상 장면전환 검출)

  • Song, Hyun-Seok;An, Myung-Seok;Ahn, Kang-Sik;Cho, Seok-J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1.10a
    • /
    • pp.809-812
    • /
    • 2001
  • 내용에 기반한 동영상 검색에서, 하나의 장면을 나타내는 대표 프레임을 자주 이용한다. 이를 위해 동영상의 장면전환을 검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칼라 히스토그램 비교방법이 많이 쓰인다. 그러나 이는 급격한 밝기변화에 민감하고 칼라 히스토그램 분포가 비슷한 부분의 장면전환을 놓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 히스토그램 비교방법과 엔트로피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칼라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motion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 using the Hybrid Feature Extraction (혼합형 특징점 추출을 이용한 얼굴 표정의 감성 인식)

  • Byun, Kwang-Sub;Park, Chang-Hyun;Sim, Kwee-B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2-134
    • /
    • 2004
  • Emotion recognition between human and human is done compositely using various features that are face, voice, gesture and etc. Among them, it is a face that emotion expression is revealed the most definitely. Human expresses and recognizes a emotion using complex and various features of the face. This paper proposes hybrid feature extraction for emotions recognition from facial expression. Hybrid feature extraction imitates emotion recognition system of human by combination of geometrical feature based extraction and color distributed histogram. That is, it can robustly perform emotion recognition by extracting many features of facial expression.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Weigh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ominant Colors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지배적인 색의 영상 공간 분포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 Park, Du-Sik;Han, Jun-Hu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3
    • /
    • pp.285-29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객체의 색 분포 모델링으로부터 얻어지는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지배적인 색의 영상공간 분포특성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특정한 객체의 예로 사람 얼굴을 선택했고, 그것의 색 분포를 u*-v* 색도 공간에서 모델링 했으며, 모델의 정규화된 부피를 균등 양자화된 색도 공간의 각 빈(bin)의 히스토그램 값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가중치를 히스토그램 정합 과정에 적용하였다. 또한 색 히스토그램 값이 큰 특정한 수의 빈으로 정의되는 지배적인 색의 영상 공간 분포를 가중 색 히스토그램과 함께 유사성의 측정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검색 방법을 500여개의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질의로 주었을 때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우선적으로 찾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Automatic Hand Tracking System using Skin Color Histogram (피부색 히스토그램 검출을 통해 향상된 자동 손 추적 시스템)

  • Kim, Beom-Joon;Shin, Byeong-Seo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477-1479
    • /
    • 2015
  • 기존의 연구와 같이 정확한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색상공간을 조절하는 방식은 조명이나 주변환경의 영향에 따라 잘못된 결과를 낼 수 있다. Cam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추적을 할 때에도 대상에게 맞춰진 피부색 히스토그램을 이용해서 추적하지 않으므로 범용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amshift 알고리즘의 최초추적 윈도우를 결정하고 히스토그램을 결정하여손 피부색 추적성능을 향상시켰다. 보편적인 피부색 필터를 이용하여 인체 전경을 추출하고, haar like feature detection (특징검출)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검색한다. 이후 피부색 필터를 통해 이진화 된 이미지를 이용해 원 영상을 마스킹 한 후 사용자 고유의 피부색의 히스토그램을 결정한다. 이 방법으로 얻은 히스토그램을 Camshift알고리즘에 적용하면 기존방식 으로 생성한 히스토그램을 사용할 때보다 좋은 추적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