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distribution

검색결과 1,227건 처리시간 0.032초

컬러와 블록영역 특징을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 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and Block Region Features)

  • 최기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C호
    • /
    • pp.610-61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질러 공간과 블록영역 정보에 기반한 새로운 화상검색 방법을 제시한다. 각 화상에 대한 컬러 공간 정보는 컬러 이진세트에 의해 구해지고 블록영역 정보는 영역 세그멘테이션에 의해서 구해진다. 화상 검색 과정에서, 질의 화상과 데이터베이스 화상들의 컬러 및 화상 이진세트들을 비교하여 검색될 후보 화상의 집합을 결정한다. 특히, 유사도 측정 시 컬러 공간 분포와 객체의 블록영역 특징에 가중치를 고려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하고 6,000개의 화상들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컬러 공간 및 블록영역특징을 이용한 화상 검색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였다.

Development of Dye Natural Batik Based on Fiber Coconut Waste and Leaf Avocado through Extraction Method in Supporting Green Business

  • Agung UTAMA;Anita MUSTIKASARI;Nur KHOLIFAH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1호
    • /
    • pp.15-22
    • /
    • 2024
  • Purpose: The development of natural batik dyes based on a combination of coconut fiber waste and avocado leaves using the extraction method is important to support the green economy and reduce chemical waste in Indonesi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explores the use of coconut fiber and avocado leaf waste extraction as a natural batik dye and conducts market testing to assess consumer satisfaction. Results: Indonesian batik exports are growing, but synthetic dye practices are causing a decline in demand. To address this, natural dyes are being explored, including coconut fiber waste and avocado leaf waste. Conclusion: Test results from washing at 40 degrees Celsius in terms of color changes and color staining, from sweat in terms of changes in acid color and changes in base color, to sunlight in terms of color fastness value, to heat to iron in terms of color change and color staining shows a value of 3-4 (quite good) and 4-5 (good), meaning that coconut fiber and avocado leaves waste can be used as natural batik dye.

피부색 모델 기반의 효과적인 얼굴 검출 연구 (Efficient Face Detection based on Skin Color Model)

  • 백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6호
    • /
    • pp.38-43
    • /
    • 2008
  • 피부색 정보는 컬러영상에 포함된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피부색 정보로 부터 생성된 통계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컬러영상에서는 일반적인 통계 피부색 모델만으로 정확한 얼굴영역 검출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컬러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YCbCr 피부 컬러 모델기반의 피부색 가우시안 분포를 적용하여 얼굴 후보영역 설정 하였고, 영상내의 잡음 부분과 얼굴 영역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학적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Haar-like 특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얼굴 검출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목이나 팔과 같이 유사한 피부색을 포함한 영상과 다양한 크기의 영상에서도 효과적인 얼굴영역 검출하는 우수함을 보였다.

다중 비디오카메라에서 색 정보를 이용한 특정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듬 (The Interesting Moving Objects Tracking Algorithm using Color Informations on Multi-Video Camera)

  • 신창훈;이주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3호
    • /
    • pp.267-274
    • /
    • 2004
  • 본 논문은 다중 비디오카메라에서 색 정보를 이용한 특정 이동물체 추적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중 비디오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RGB 칼라 좌표계를 HSI 칼라 좌표계로 변환한 후, 영상의 색조 영역만을 가지고 배경영상과 물체가 존재하는 영상에서 차영상 기법과 가산투영 기법을 사용하여 이동물체를 검출한다. 검출된 이동물체 영역의 색조는 0도부터 360도 사이에서 24단계로 정규화 된다. 정규화된 이동물체의 색조 분포도를 구한 후, 가장 높은 분포를 갖는 3개의 정규화 레벨과 3개의 정규화 레벨 사이의 간격을 이동물체의 특징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각 카메라간의 이동물체 동일성 관별은 이동물체 특징파라미터를 가지고 판별하고, 추적 감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에 각기 다른 장소에 4대의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여 이동물체의 대상을 사람으로 놓고, 특정사람을 감시한 결과 각 카메라에서 검출된 특정사람의 색조분포도 변화는 10%내를 유지함을 보였고, 특징 파라미터로 4대의 카메라에서 특정사람이 자동 추적감시 됨을 확인하였다.

설색의 분포 및 설색과 임상병리검사 결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ongue Colors and the Correlation of Tongue Colors with the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 임제민;남우진;윤용재;이상민;강유경;김원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85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tongue color and the correlation of the tongue colors with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Methods : Statistical analysis on the frequency of each tongue color and the results of the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in each tongue color group. Results : Tongue color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were 702c, 695c, 493c, 694c, 701c, 500c, 7432c, 7431c, 7634c, 7419c in that order. Following them, 494c and 507c were rarer colors, and 501c, 673c, 687c, 693c, 696c, 703c, 7418c were equally rarest colors. Among each tongue color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sult of complete blood cell count (CBC). The level of red blood cell (RBC) of 7432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except 694c group. The level of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of 7432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ll the other groups. The level of RBC of 7431c group was lowest a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94c, 7432c group. In results of the other tes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was higher in 695c, 694c, 500c group, and the level of triglyceride was higher in 500c, 7431c, 694c group. Those four colors have a low chroma and 7431c, 695c take blue violet color. Conclusions : The tongue color is distributed throughout following colors by order of frequency: 702c, 695c, 493c, 694c, 701c, 500c, 7432c, 7431c, 7634c, 7419c, 708c, 494c, 507c, 501c, 673c, 687c, 693c, 696c, 703c, 7418c. Some parameters of CBC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e tongue colors. Other results including lipid profile, renal function test, and liver function tes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ongue color. However, the colors which have low chroma or take blue violet color tented to be higher in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에지 기반의 공간 기술자 (Edge-based spatial descriptor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 김낙우;김태용;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5호
    • /
    • pp.1-10
    • /
    • 2005
  • 오늘날 급격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증가에 따라 영상에서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내용 기반 영상 검색 기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영상 검색을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edge correlogram과 color coherence vector를 이용한 에지 기반의 공간 기술자를 제안한다. 우선 color vector angle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영상을 고주파 성분과 저주파 성분의 영상으로 나눈다. 저주파 성분의 영상에서는 color coherence vector를 이용하여 평탄 화소의 공간적인 색상 분포를 추출함으로써 이를 평탄 영역에서의 특징 정보로서 활용한다. 반면, 고주파 성분의 영상에서는 edge correlogram으로부터 에지 화소들 간의 분포를 추출하여 이를 에지 영역에서의 특징 정보로 이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색상 간의 지엽적인 특성과 전체적인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상 간의 비교에 있어서 영상의 모양과 크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오검출 등에 매우 강건하다. 또한, 영상에서의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영상에 대해서도 간단하고 유연한 특징을 제공한다. 실험 결과는 영상 색인 및 검색에 있어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최근의 여러 히스토그램 정밀화 기법에 비하여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데이터베이스 내 영상의 색인을 위해서는 R*-tree 구조를 이용하였다.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the 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Subunit Alpha-s in Mice Skin Tissues and Its Association with White and Black Coat Colors

  • Yin, Zhihong;Zhao, Xin;Wang, Zhun;Li, Zhen;Bai, Rui;Yang, Shanshan;Zhao, Min;Pang, Quan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392-1397
    • /
    • 2016
  • 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subunit alpha-s ($Gn{\alpha}s$) is a small subunit of the G protein-couple signaling pathway, which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coat color. The expression level and distribution of $Gn{\alpha}s$ were detected by quantitative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oat color in white and black skin tissues of mice. qPCR and western blot results suggested that $Gn{\alpha}s$ was expressed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black mice compared with that of white mice, and transcripts and protein possessed the same expression in both colors. Immunohistochemistry demonstrated $Gn{\alpha}s$ staining in the root sheath and dermal papilla in hair follicle of mice ski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n{\alpha}s$ gene was expressed in both white and black skin tissues, and the expression level of $Gn{\alpha}s$ in the two types of color was different. Therefore, $Gn{\alpha}s$ may be involved in the coat color formation in mice.

한국 전통 조각보 소재에 따른 배색 연구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Colors According to Korea Tradition Jogak-bo Materials)

  • 이연순;이정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fabrics, colors, and arrangement of color in Jogak-bo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It is expected that from the analysis of the number, distribution and arrangement of colors of Jogak-bo in the late Chosun we can suggest various color arrangements thoset can be applied to modern fash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number of colors of Jogak-bo according to material, silk fabrics Jogak-bo used a variety of colors whereas hemp fabrics Jogak-bo mostly used one color showing contrast between silk fabrics Jogak-bo and hemp fabrics ones. Second, as for the distribution of colors of silk Jogak-bo and hemp fabrics ones, warm colors were used most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fewer achromatic colors were used to silk fabrics Jogak-bo, and they were more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As for the use of cold colors, fewer cold colors were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compared to silk fabrics Jogak-bo. Third, as for the arrangement of colors, various colors were used in silk fabrics Jogak-bo, but a single color or not more than 1 color was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It well demonstrates brilliance and glamour of silk Jogak-bo and stability and unity of hemp fabrics Jogak-bo. As for the arrangement of colors of Jogak-bo, most of Jogak-bo showed contrasting colors and shades, and similar colors and shades were hardly found in silk fabrics Jogak-bo whereas they were frequently found in hemp fabrics Jogak-bo.

  • PDF

적응적 피부영역 검출을 이용한 얼굴탐지 (Face Detection using Adaptive Skin Region Extraction)

  • 황대동;박영재;김계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35-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에서 적응적으로 피부색상 모델을 생성하여 얼굴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절차는 먼저 눈의 특징을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눈 후보를 찾은 후, 그 주변의 색상을 이용하여 피부영역의 색상값 분포를 찾는다. 그 다음은 피부영역으로 검출된 색상값 분포를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산출하고, 해당 얼굴영역 내에서 입 후보를 찾아 눈 후보와 입 후보의 구조적인 관계가 얼굴 구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영역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방법은 눈을 찾아서 피부영역을 적응적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얼굴탐지 방법들의 문제인 피부색상의 왜곡으로 인한 오검출을 해결하였다. 실험은 눈 탐지와, 피부 탐지, 입 탐지, 얼굴탐지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주요 방법들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색상과 모양 정보를 이용한 2단계 영상 검색 기법 (The 2-Phase Image Retrieval Technique using The Color and Shape Information)

  • 김봉기;오해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73-182
    • /
    • 1998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데이터 검색올 위한 영상 특정 추출 방법으로 색상 정보와 모양 정보를 고려하는 2 단계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1 단계에서는 색상 정보를 위해서 Striker 등이 제시한 색상 분포 특성올 이용한 색인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지역 색상 분포 특성을 고려한 색인 방법을 사용하여 1차로 영상을 개략 분류한다. 2 단계에서는 1 단계에서 분류된 집단 영상들에 대하여 2차로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최종적으로 검색한다 모양 정보를 위해서는 기존 불변 모멘트의 문제점인 많은 연산량과, Jain 퉁이 제시한 방향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에서 제기된 회전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체의 윤곽선에 해당하는 화소들만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향상된 불변 모멘트(Improved Moment Invariants : IMI)를 이용한다. 실험 영상으 로 300개의 자동차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방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향상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