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d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디지털 전통색채이미지를 이용한 배색유형 개발 (A Development of Color Prototypes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Analysis)

  • 이현수;김준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40-2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duce color harmony code based on color harmony prototype in terms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 This paper proposes ways of categorizing more accurate color harmony prototype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by the computer program called the Color Syntax. The method of analysis adopted in this paper is pixel based color image processing. The study suggests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are categorized by a color harmony angles. These angles represented internal relations between colors. This study describ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is a basis for creating color harmony cod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schema consists of color analysis, color codes generation and color selection. Also, how to analyze color images and to chose suitable harmony color codes among various codes are main research issues. As a final result, 109 color harmony codes have been obtained. These code numbers are suggested through rotating 2 color pairs in a 360-degree arc in the same color harmony angles, the codes which is applicable to the color harmony schema previously developed. This color harmony codes will produce better color environment in a sense that it will help designers to maximally reduce their time consumption, and the results of their designs will also be related to the use of proper color for regional environments.

색 및 패턴 정보 다중화를 이용한 칼라 QR코드의 비트 인식률 개선 (Improvement of Bit Recognition Rate for Color QR Codes By Multiplexing Color and Pattern Information)

  • 김진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012-1019
    • /
    • 2021
  • Currently, since the black-white QR (Quick Response) codes have limited storage capacity, color QR codes have been actively being studied. By multiplexing 3 colors, the color QR codes can allow the code capacity to be increased by three times, however, the color multiplexing brings about the possibility of crosstalk and noises in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final image, incurring the decrease of bit-recognition rate. In order to improve the bit recognition rate, while keeping the storage capacity high, this paper proposes a new type of color QR code which uses the pattern information as well as the color information, and then analyzes how to increase the bit recognition rate. For this aim, the paper presents an efficient system which extracts embedded information from color QR code and then, through practical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color QR codes improves the bit recognition rate and are useful for commercial applicat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lor codes.

효율적 칼라코드 검출법 - 우선법 알고리즘 (Efficient Method to Detect Color Codes - RHOW Algorithm)

  • 권병훈;유현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9-72
    • /
    • 2004
  •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에 비해, 칼라코드는 미관상 수려하고 더 많은 조합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가 더 다양하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수집된 이미지에서의 칼라코드는 환경 또는 장비에 의해 색깔이 심하게 왜곡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왜곡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미로 찾기에 사용되는 우선법(Right hand on wal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칼라코드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칼라코드는 Hue 값과 Saturation값이 높은 색들을 사용하는 동심원형이며, 프리프로세싱에 의해 전체 이미지에서 칼라코드의 후보 영역을 검출한 견과 이미지에 우선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후보 영역을 포함하는 최적 직각사각형의 좌표를 도출한다. 실험결과, 우선법을 적용하여 칼라코드 영역의 정확한 좌표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디지털 전사날염으로 프린트 된 QR코드의 인식률 연구 -필라멘트 직물의 섬도와 색의 변화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Recognition Rate of Printed QR Codes by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Focused on Changes in the Fineness and Color of Filament Textile-)

  • 박서린;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4호
    • /
    • pp.50-71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rate of QR codes printed by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for mobile application. The purpose was to identify conditions that increase recognition rates of QR codes printed on textile, in order to increase utility of QR codes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The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in the color of the QR codes and denier, which is a unit of textile fineness measurement, of the textile on which the QR codes were printed. And the recognition rates of QR codes according to the color and deni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olors of QR codes had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the codes by mobile applications. Specifically, strong contrast, i.e., bright background and relatively dark module, increased the recognition rate of the QR codes.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tend to change the hue of red and yellow and increase brightness, and change in the printed colors also had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rate of QR code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color and recognition rate of the printed QR code according to the denier of the textile, and this suggests denier has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rate.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QR codes digital printed on textile.

시각 장애인의 접근성, 이동성 및 안전성 증진을 위한 실내 환경의 사인 및 색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gn System and the Color Codes in the Interior Environment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he Mobility and Safe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 김혜원;천진희;김우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8호
    • /
    • pp.100-10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commendation of sign system and color codes in making the public interior environment more accessi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The appropriate guidelines in designing the sign system and the color codes in the public interior environment can increase the accessibility, the mobility and the safe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including the increasing elderly. By selecting the effective sign system much more desirable results can be brought: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mobility, increase of safety, work efficiency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ign system and the color is more important for the weak-sighted people than the normal-sighted in way finding and the orientation strategies. 53 visually impaired person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answers of the questionaires by the weak-sighted persons are focused on in this research. The data, the needs of users is analysed on the basis of users-ori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basic direction of sign system design and color codes in our codes in our public environment for all people especially visually impaired persons.

  • PDF

Detecting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Color Regions in Color Codes

  • Kwon B. H.;Yoo H. J.;Kim T. W.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46-849
    • /
    • 2004
  • Compared to the bar code which is being widely used for commercial products management, color code is advantageous in both the outlook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s. And the color code has application areas complement to the RFID's. However, due to the severe distortion of the color component values, which is easily over $50{\%}$ of the scale, color codes have difficulty in finding applications in the indust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cognition of color codes, it'd better to statistically process an entire color region and then determine its color than to process some samples selected from the region.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technique to detect edges between color regions in this paper, which is indispensable for an accurate segmentation of color regions. We first transformed RGB color image to HSI and YIQ color models, and then extracted I- and Y-components from them, respectively. Then we performed Canny edge detection on each component image. Each edge image usually had some edges missing. However, since the resulting edge images were complementary, we could obtain an optimal edge image by combining them.

  • PDF

칼라 QR코드의 패턴 종류에 따른 인식 성능 비교 (Comparison of Recognition Performance of Color QR Codes for Inserted Pattern Information)

  • 김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1-20
    • /
    • 2022
  • 현재 광고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흑백 QR코드의 정보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칼라 QR코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칼라 QR코드는 프린팅 또는 스캐닝 과정에 의해 복재가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불충분한 조도에 의한 색상 왜곡과 잡음, 카메라의 낮은 해상도와 기하학적 변형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복합적인 과정들은 품질 저하와 인식률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칼라 QR코드에 패턴 삽입을 고려하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통해 기존에 다루어진 대표적인 패턴을 도입하고, 인식률 측면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즉, 인식과정에 있어서 쉽게 초래되는 가우시안 잡음과 블러링, 기하학적 변형 등의 잡음을 고려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가우시안 잡음과 블러 측면에서 단순한 패턴의 칼라 QR코드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반의 영상 분할을 이용한 칼라코드 검출 및 인식 (Color Cod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Image Segmentation Based on k-Means Clustering Algorithm)

  • 김태우;유현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00-1105
    • /
    • 2006
  • 칼라코드는 획득된 영상에서 칼라의 심각한 왜곡 때문에 그 응용 확장에 어려움이 있었다. 칼라 인식에서 칼라 왜곡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샘플링된 몇 개의 화소들을 이용하기 보다는 가능한한 각 칼라 영역에서 많은 화소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에지 검출이 필요한 분할이 필요하다. 그러나, 칼라코드에서 에지들은 분할을 불완전하게 만드는 지퍼 효과나 반사와 같은 다양한 왜곡에 의해 끊어질 수 있고, 에지 연결 또한 어려운 처리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 인식에서 칼라 왜곡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은 분할을 위한 정확한 에지 검출을 배제하는 방법으로 k-평균 클러스트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칼라코드 검출에서 6개의 안전한 칼라와 그레이 성질 모두 이용하였다. 실험은 4M-화소 크기의 야외영상 144장에 대해 수행되었다. 제안한 방법은 테스트 영상에 대해서 100%의 칼라코드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검출된 코드에 대해서는 99% 이상의 평균 칼라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여기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인 캐니 에지 검출법을 사용한 경우 91.28%로 나타났다.

  • PDF

오디오 바이너리 파일을 컬러 QR코드로 표현하는 방법과 그 응용 (A Method to Express Audio Binary Files by Color QR Codes and Its Application)

  • 이충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7-53
    • /
    • 2018
  • 본 논문은 MP3 오디오 바이너리 파일을 일련의 컬러 QR 코드로 생성하여 종이에 인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방법이 상당한 압축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기술한다. 이 방법은 먼저, 한 개의 MP3 파일을 QR코드가 바이너리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용량으로 나눈다. 그런 다음 각각의 분할된 파일들을 흑백 QR코드들로 변환한다. 최종적으로, 분할된 파일을 3개씩 중첩하여 1개의 컬러 QR코드를 만든다. 중첩 시에 3개의 흑백 QR 코드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으로 간주된다. 이 방법에서 한 개의 컬러 QR코드는 2개의 흑백 QR코드 영역이 겹쳐지는 부분은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란색(Yellow)로 표현되며, 3개의 흑백 QR코드가 겹쳐지는 부분은 흑색, 전혀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백색으로 표현한다. 실험결과 약8.5Mb의 MP3파일은 A4용지 9페이지에 인쇄될 수 있다. 부수적인 효과로서 인쇄하지 않은 컬러 QR코드의 크기는 원래의 MP3파일보다 약 15.7배의 압축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인터넷 액세스가 불가능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계선 검출에 대한 인접 칼라 영역간 테두리 선 삽입 효과의 분석 (Analyses of the Effect of Inserting Border Lines between Adjacent Color Regions on Detecting Boundaries)

  • 유현중;김우성;장영범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7-95
    • /
    • 2006
  • 이 논문은 에지 검출을 위해 다른 컬러 영역사이의 테두리선을 삽입한 효과를 분석한다. 컬러코드를 인식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지는 않는다. RFID 방식을 보상하고, 디지털 카메라의 이용률이 높아져서 컬러코드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컬러의 왜곡이 심해지면 컬러코드의 확산을 저하시키게 된다. 왜곡된 컬러의 효과를 감소시키기위해서 영역내 화소 각각의 특성보다 각 영역 전체의 화소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처리를 위해서 영상 영역화가 필요하다. 연결되지 않은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인접 컬러 영역사이에 2 화소 크기의 테두리선을 삽입한다. 테두리선은 흰색, 검은색 경계선이 사용된다. 2 종류의 테두리선이 삽입된 영상에 대한 에지 검출이 수행되고, 그 결과가 테두리선이 삽입되지 않은 에지 검출 결과와 비교한다. 검은 테두리선을 삽입한 결과는 지퍼효과에 의해 에지 검출 능력이 저하되고, 흰 테두리선을 삽입한 결과는 삽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에지 검출 능력이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