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ial educ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8초

금강산 장안사 사성전 보존 수리공사와 1940년대 수리체제 전환 시도 (Repair work of Sasungjeon, one of the main building of Jangansa temple, and an attempt to transform the repair system of historic architecture in 1940s)

  • 서효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4호
    • /
    • pp.7-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repair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Sasungjeon, one of the main buildings of Jangansa temple located in Geumgangsan, was repaired from 1941 to 1944. It was the very last restoration work of historic wooden architecture per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work was delayed multiple times because of insufficient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The Bureau of Education(學務局), which was in charge of repair work, understood that the problems of the repair system and suggested reorganizing the system as a solu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pair work of Sasungjeon as a background of the bureau's suggestion and considered this suggestion as an attempt to transform the repair system.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A Study of the Cultural Legislation of Historic Proper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hosun Treasure Historic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Decree (1933) -)

  • 김종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156-179
    • /
    • 2020
  • 「보존령(1933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기본 법령으로서 앞서 시행된 일본의 근대 문화재 법제인 「고사사보존법(1897년)」,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1919년)」, 「국보보존법(1929년)」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제 그들 법령의 해당 법조문을 원용하였다. 이로써 「보존령」이 조문 구성에 있어서 일본 근대 문화재 법제를 이식 또는 모방하였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입증된다고 할 수 있다. 「보존령」의 주요 특징과 성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보존 측면에서 볼 때, 「보존령」은 기존 「보존규칙」보다 보존을 강화하고 확대하였다. 「보존규칙」에서는 문화재 범주를 고적과 유물로 한정했으나 「보존령」에서는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등 4가지로 문화재를 분류하였다. 또한 「보존령」은 문화재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 문화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소유권 제한에 대한 명시적 규정과 문화재 지정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고 보조 지원 근거를 규정함으로써 문화재 보존 법제로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그러나 「보존령」은 식민지 문화재 법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보존령」 제1조에서 보물의 지정 기준으로 "역사의 증징(證徵) 또는 미술의 모범"이란 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이 기준은 일제의 관점에서 총독부의 동화정책에 입각하여 문화재를 취사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문화재 보존 기준으로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일제는 「보존령」의 시행으로 문화재 법제가 완비되어 문화재 도굴이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보존령」 시행 이후에도 도굴과 밀매매 그리고 일본으로의 반출 등 문화재 약탈과 반출은 끊이지 않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굴과 밀매 외에도 법령을 준수하고 수호해야 할 총독과 총독부 관료들이 약탈과 반출의 당사자가 되거나 그들의 묵인하에 일본인들에 의한 문화재 약탈과 반출이 지속적으로 자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문화재 법제가 총독부가 허용한 또는 묵인한 반출과 약탈에는 법적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법령은 문화재 지정과 보존에 있어서 총독부의 시각에서 선택되고 적용된 식민지의 차별적 법제였으며, 일제의 문화재 정책 또한 그들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이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문화적 식민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총독부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Comprehensive Literatur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

  • Seong-Gon KIM
    • 한류연구
    • /
    • 제2권1호
    • /
    • pp.17-25
    • /
    • 2023
  •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By delving into the historical aspects of privat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cover key developments, trends, and transformations that have shaped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within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The literature analysis has shown that there are four significant historical events for developing private educ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First,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s Impact on private education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Second, education reforms in the 1960s and the rise of hagwons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Third, the role and impa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Fourth, Education reform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regulation of private education background and context. In sum,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xamining four key historical events and their impact on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The findings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private education's development, role, and impact in Korea.

개화기이후 가정과교육의 사적 고찰 - 1900~1945년을 중심으로 - (A Brief Hist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Modern Period (GAEWHA-KI) - (1900~1945))

  • 양문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2-106
    • /
    • 1973
  • Brief hist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modern period (GAEWHA-KI) (1900~1945).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our country is known to have been developed mainly through school education by need of women education. The first period is construed "from 1890's until before the conclusion of ULSABOHO trea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n inception of the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by including subjects of sewing and manual arts in the curriculum of EWHA-hakang.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conclusion of ULSABOHO treaty in 1905 until the a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was decreed, transition of the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and major curriculum thereof and the text books of home economics are handled.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promulgation of CHOSUN education act in 1911 until the fall of Japan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is period is described in terms of national educ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education was first renewed by women missionaries with the onset of "blooming period (GAEWHA-KI)" and school education of home economics far educating women was initiated at EWHA-hakdang in 1896, in 1908, with the pronulgation of the a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major curriculum and subjects were set up and text books of home economics were also compiled. In accordance with CHOSUN education act in 1911, housekeeping and sewing subjects at secondary school were taught 10 hours a week with the emphasis on general education and practical subject oriented training. Home economics under the Japanese rule was so educated as to imbue, students with the sense of nationality by teaching Korean custom and family habits.

  • PDF

남부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에 주는 시사점 (A Geopolitical Approach of Transfrontier Peace Park in Southern Africa : Implication for the DMZ International Eco-Peace Park)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24
    • /
    • 2017
  • 본 연구는 초 국경평화공원의 세계적 확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남부아프리카의 초 국경평화공원을 사례로 지정학적 관점에서 (초) 국경공원의 역할과 기능, 형태가 시대적 정치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현재 초 국경평화공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부아프리카의 국경공원은 식민지 시대와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냉전 및 내전시기에 유럽열강의 충돌을 완화하고 광역 식민지를 분리 통치하고 공산주의와 흑인해방운동의 공간적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냉전과 내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 이후 국경공원을 통합한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국가 간, 지역 간, 인종 간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아프리카의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대립과 갈등의 해소와 평화체계의 구축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국가 간 인적,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불균형과 백인과 흑인 간의 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경제적 지배와 인종집단 간 사회-공간적 갈등이 재생산될 수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 PDF

일제 강점기 여성 단발의 헤어디자인 조형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79-484
    • /
    • 2018
  • 일제 강점기 여성들 one length hair style의 변천사 및 형태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선행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등 헤어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one length hair style 커트가 가능해지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1910년-192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커트 길이의 단차가 전혀 없는 out line을 지닌 형태, 자연 그대로의 모발 질감, 자연 모발 색상을 보였다. 193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약간의 커트 길이의 단차를 보이면서 다이아몬드 형태, 자연스런 질감의 narrow wave, 과산화수소나 oxygenated water을 이용한 약간의 탈색이 이뤄졌다. 194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형태, 질감, 색상 면에서 화려한 미(美)를 추구하려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one length hair style에 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 된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 자료 및 뉴 모드의 트렌드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인구이동: 1930년 부(府)와 지정면(指定面) 지역을 중심으로 (The Urbanization and Migration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 이정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5-122
    • /
    • 2017
  • 이 연구는 1930년 국세조사 인구자료를 기초로 14개 부, 41개 지정면을 도시지역으로 설정하여, 도시로의 인구이동과 그 출발지 유형, 입지를 분석하여 당시 도시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당시 도시지역에 유입된 인구의 출생지를 출발지로 간주하고 그 유형과 입지를 우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30년의 부와 지정면은 유입인구의 출발지에 따라 전국적 범위의 출생자들이 장거리 이동한 곳, 인접지역 출생자들이 단거리 이동한 곳 및 두 가지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곳 등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제의 효율적 식민 지배를 위해 새롭게 개발된 도시일수록 전국적 장거리 이동자의 유입지라는 성격이 두드러졌지만, 전통적인 도시기능을 수행했던 곳들도 주변 인구가 유입되면서 지역의 중심도시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에 대해서 이 연구는 식민 도시화라는 정주체계와 전통적 정주체계의 이중적 구조가 이중적 도시화와 인구이동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 PDF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 안덕선;한희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2호
    • /
    • pp.65-71
    • /
    • 2018
  • Western medicine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by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n by the Japanes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out its historical, philosoph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values being communicated. Specific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nly ideologically 'degenerated' medicine was taught to Koreans and the main orthodox stream of medicine was inaccessible. Hence, Korean medical education not only focuses o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inherited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structural violence.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Americans and the Wester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adopted by Korea beginning in the 1980s. During this time, ethical problems arose in Korean medical society and highlighted a need for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o address them. For Korean medical students who are notably lacking humanistic and social culture,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physicians may only be distinguishable from robot physicians by ethical consciousness; consequenti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nvest more of its public funds to develop and establish a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medical colleges. Such an improved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expected to foster talented physicians who are also respectable people.

『한방의약계(漢方醫藥界)』 제2호 '사진삽입(寫眞揷入)'에 소개된 한의사들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Medicine Doctors introduced in 'Photo Insert' of 『HanBangEuiYakGye』 No.2)

  • 김남일;국수호;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9-99
    • /
    • 2022
  • The figures listed under the title of 'Photo Insert' in 『HanBangEuiYakGye』 No.2 are all those who were engaged in East Asian medicine, but they can b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depending on the areas in which they were more focused. First, he served as a royal physici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or was an oriental medical doctor with outstanding medical skills during the family service. Second, he is an East Asian medicine doctor who established a school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or conduct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Third, he is an East Asian medical doctor who worked hard to lead a group of East Asian medical doctors by organizing Korean medical doctors. Looking at the reality of the oppression of ethnic medicine commit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ey continued to seek a way to live in national medicine,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continuing the existence of Korean medicine without destroying i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13 Korean medical doctors introduced in the "Photo Insertion" and examined the activit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East Asian medical doctors.

근현대 한의학(韓醫學)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의 교육과정(敎育課程) 분석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in Modern Times)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3-153
    • /
    • 2017
  • Objective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modern Korean Medicin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tudy their significance. Rather than conducting an in-depth pedagogical research, the paper attempts to summarize and provide a simple analysis on the subject matter due to the lack of the historical evidence of modern Korean Medicine. Method : General theses and academic papers along with daily publication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era, materials owned by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istory Museum, and history databases ow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Kyujanggak were investigated Result : Upon studying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fforts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Korean Medicine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Medicine. It could also be discovered that the curriculum was improved through policy measures in order to raise the status of the practitioners and expand the scope of their practices. Th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s been continuously working to develop the Korean Medicine and raise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their efforts were vital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Medicine Doctor system. Conclusion : Systematic academic researches should be done on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s high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fulfill the objective of normalizing the Korean Medicine educ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Kore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