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casi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IAA가 토란의 생장 및 형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AA on $Colocasia$ $esculenta$'s Growth and Morphogenesis)

  • 김영운;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9권2호
    • /
    • pp.92-97
    • /
    • 2011
  • 수경재배와 토양재배를 통해 키운 토란이 생리 형태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나는지 조사하였다. Hoa.+IAA를 처리한 수경재배는 질석, Hoa., 토양, 물에서 키운 토란보다 약 9%, 32%, 38% 및 60% 생장이 각각 촉진되었다. 물에서 재배한 토란은 5~6주 생장한 후의 $F_v/F_m$값이 0.54와 0.55를 나타내어 $F_v/F_m$값이 0.8 이상을 보인 Hoa.+IAA, 질석과 토양에 비해 약 32.5% 낮았다. Hoa.+IAA 처리구에서는 가장 낮은 확산저항이 나타났으며 5주와 6주 때는 물로 수경재배한 것에 비해 45~35% 낮았다. 이는 기공 열림이 물로 재배한 것에 비해 45~35% 크게 열렸다고 추측할 수 있다. 질석과 토양에서 자란 토란도 물로 재배한 것에 비해 39~31%와 27~35% 확산저항이 낮았다. 따라서 생장률의 크기, 광합성 활성 및 기공열림은 Hoa.+IAA, 질석, Hoagland 용액, 토양과 물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IAA를 Hoagland 용액에 넣어 수경재배한 실험 결과에서 생장률과 형광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확산저항 또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토양재배에서 점토와 상토를 포함하는 흙은 질석에서 키운 토란에 비해 뿌리 발달이 저조하였다. 화분 속의 흙은 중력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단단해졌으나 질석은 흙과의 마찰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수염뿌리와 실뿌리가 잘 생장하였다. 화분에서 키운 토란은 종아와 뿌리가 같이 발달하였으나 종아는 하나만 관찰되었다. 반면에, 야외에서 키운 토란은 30~40개의 종아가 뚜렷하게 발달하여 작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였으나 수경재배한 토란은 종아가 분해되어 사라지고 수염뿌리가 발달하였다.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단제(單劑) 및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Pattern of Weed Occurence and the Effect of single or combinated Treatment of several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Field)

  • 강병화;이상각;심상인;이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3-169
    • /
    • 1992
  • 본(本) 시험(試驗)은 1989년에 경기도 광주에서 토수(土垂)토란을 공시(供試)하여 재식밀도(栽植密度)는 60×30cm로 하고 손제초구(除草區)와 방임구(放任區) 외(外)에 Ethalfluralin과 Clomazone의 각각의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와 Paraquat fb Ethalfluralin과 Paraquat fb Cloazone의 각각의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를 두어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각 처리(處理)에 따른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량(收量)에 관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생(發生) 잡초(雜草)는 총(總) 12과(科) 15종(種)이었다(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개비름, 여뀌, 깨풀, 명아주, 좀명아주, 쇠비름, 참방동산이, 개갓냉이, 진득찰, 토끼풀, 괭이밥, 꽃바지). 2. 피>쇠비름>깨풀 순으(順)로 우점도(優占度)가 우세(優勢)하였다. 3.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가 높은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4. 손제초구(除草區)에 비하여 방임구(放任區)의 수량(收量)이 91.8% 감수(減收)하였다. 5.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의 수량(收量)이 더 높았다.

  • PDF

박피 토란(Colocasia antiquorum SCHOTT)의 침지 보관액에 따른 저장효과 비교 (Comparison of Shelf-life on Peeled Taro(Colocasia antiquorum SCHOTT) Stored in Various Immersion Liquids)

  • 정승원;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0
    • /
    • 2002
  • 박피 토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전해산화수, 유자과즙을 첨가한 전해산화수 및 명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침지저장액에 따른 저장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토란 수분함량은 80.05%에서 저장 25일째 수분의 흡수로 인해 82.12~84.24%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처리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색도는 전반적으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 b값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여주었으며, 조직감은 모든 처리구에서 초기 4,520$\pm$75 g에서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감소 폭이 유자과즙첨가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저장 25일째 4,160$\pm$80 g의 수준을 보였다. 총 vitamin C함량은 0.5%유자과즙 첨가 구에서 25일째 6.99 mg%로 약 57%의 보존율을 보여 가장 손실이 적었다. 총당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저장 15일째까지 급격히 하강하다가 저장 15일 이후에는 감소속도가 완만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 중의 유리당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른 증감의 큰 변화 폭은 관찰할 수 없었다. 단지 sucrose 함량은 저장 중반기인 10일 전후에 일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저장 25일째에는 처리구에 관계없이 저장 초기 값의 1.5~2배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박피 토란의 주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glutamic acid로 각각 1,084.8 mg/100g. 691.8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산화수에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 aspartic acid 함량이 초기보다 13.9% 수준 증가하였다. 한편, 필수아미노산총량은 유자과즙 첨가구에 저장한 경우가 총당 감소율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란 Isolectin의 분석 및 특성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Taro (colocasia antiquorum) lsolectin)

  • 서영주;삼호정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8-314
    • /
    • 1994
  • 토란에서 정제한 lectin은 적혈구 응집활성이 서로 다른 4개의 획분 (Isolectin I, II, III, IV)으로 이루어진 당단백질로서, disk 전기영동 및 densitometric pattern 상에서 I, IV는 단일한 subunit의 단백질로서, 그리고 II, III는 I, IV는 단일한 subunit의 단백질로서, 그리고 I, II는 I, IV의 fabric 단백질로서 추정되었다. 그러나, 요소 함유 disk 전기영동에서는 I은 단일의, IV는 2종류의 subunit에서, II, III은 I, IV의 subunit에서 구성된 단백질임을 알앗다. 그래서 염소함유 초점전기영동에서도 isolectin IV는 2개의 peack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실제로는 1개의 peak만이 나타났다. 또한 정제 lectin은 당, 가열, pH, 변성제, 금속에 대한 적혈구 응집저해는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pepsin에 의한 부분적인 활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 PDF

자우의 절편크기가 토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rmet piece weight on growth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최성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2-176
    • /
    • 2002
  • 토란 재배시 종우가 부족할 경우 절편자우를 종우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란의 출현은 절편자우의 크기 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출현율은 90% 이상 출현되었다. 2. 생육은 절편자우가 클수록 엽병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양호하였다. 3. 토란 절편자우의 크기에 따른 괴경과 부산물인 엽병의 수량은 크기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어 절편자우가 클수록 수량이 증수되는 경향으로 절편자우 20g을 종우로 사용할 경우 10g당 1,981kg을 생산할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절편자우가 20g 이상인 것을 종우로 사용할 경우 토란의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Glycine과 Glucose의 Maillard Reaction Products에 의한 토란의 효소적 갈변 저해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by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Glycine and Glucose)

  • 이민영;이민경;김춘영;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13-1016
    • /
    • 2004
  • 토란으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Maillard reation products(MRPs)가 토란 PPO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란 PPO에 대한 MRPs의 저해 효과는 사용한 기질이 (+)-catechin, catechol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RPs의 토란 PPO 저해 효과는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생성한 MRPs 중에서 fructose와 glucose로 제조한 MRPs의 첨가시 가장 높았으며, glycine과 gluc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 효과가 증가하였다. 반응 시간에 따른 MRPs의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MRPs의 변색 정도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서 토란 PPO에 대한 저해 효과도 증가하였다.

New Frontiers of Knowledge on Nepalese Plant Science

  • Shrestha, Gyan L.;Shrestha, Bhusha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80
    • /
    • 1994
  • Nepal, with its unique geographical and ecological features due to its abrupt rise in altitude, plays significant role in biological evolution. Existence of numerous wild relatives of the present-day cultivated agricultural crop plants in this small Himalayan nation may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several yet unidentified desirable genes that are needed for future incorporation in the improvement of cultivated crop plants. This report includes 82 different wild relatives of 41 genera under 19 families of 37 agricultural crops of Nepal(Table 1). It serves as the sample of the glossary of these wild relatives of crop plants in Nepal. Under food grain crop plants of gramineae, leguminoceae and polygonaceae families, 16 different wild species namely wild rices(7 species), wild relatives of wheat plant(3 species), wild arhar(3 species), wild fingermillets(1 species) and wild buckwheat(2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Similarly, under vegetable crop plants of Araceae, Amaranthaceae, Crucifereae, Cucurbitaceae, Dioscoreaceae, Labiteae, Leguminosae, Liliaceae, Malvaceae, Polygonaceae, Solanaceae and Umbellifereae, 37 different wild species-wild colocasia(1 species), wild amaranths(3 species), wild leafy vegetables(2 species), wild gourds(3 species), wild cucumber(1 species), wild yams(4 species), wild mints(3 species), wild fenugreeks(4 species), wild pea(1 species), wild beans(3 species), wild garlics(2 species), wild spinach(3 species), wild lady's finger(1 species), wild spinach(3 species), wild eggplants(2 species) and wild carrot(one species) have also been identified. In case of wild relatives of cultivated orchard plants, 11 different wild species namely wild mango(one species), wild banana(one species), wild strawberry(one species), wild pear(one species), wild cherries(2 species), wild apple(one species) and wild grapes(3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Among 19 different wild species of economic crop plants, five wild species of sugarcane, one species of wild sunhemp, two wild relatives of cotton, three wild relatives of rose, two wild species of tobacco, four wild species of turmeric and two wild species of tea have also been identified. This report includes only sample of the total wild species of the present-day cultivated agricultural crop plants. Further exploration on this economic botany will help the country in cataloging the wild relatives of cultivated crop plants and their future use in crop improvement.

  • PDF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Korean Accessions of the Genus Acorus Using RAPD Markers and NIR Spectroscopy

  • Lee, Ja-Hyun;Kim, In-Seon;Lee, Seong-Gene;Rim, Kwang-Sub;Kim, Sung-Gil;Han, Tae-H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32-239
    • /
    • 2011
  • The genus Acorus is known as an indigenous medicinal plant. Genetic diversity of thirteen accessions of A. calamus and eight of A. gramineus, with an accession of Colocasia antiquorum and two of Iris pseudacorus as outgroups, were evaluated using RAPD markers for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and NIR spectroscopic profiles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A total of 371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elected 12 random primers. The genetic distances were estimated from 0.03 to 0.31 within A. calamus and from 0.03 to 0.51 within A. gramineus. The dendrogram and three-dimensional plot separated the accessions into four distinct groups (A. calamus, A. gramineus, C. antiquorum, and I. pseudacorus). Moreover, for the diversity among genus Acorus, eleven A. calamus accessions, one A. gramineus accession, and two I. pseudacorus accessions were non-destructively analyzed from their leaves by NIR spectroscopy, which discriminated Acorus accessions like the RAPD analysis. Interestingly, thirteen accessions of A. calamus were clustered into two groups based on RAPD and NIR analyses, which indicates that there are two ecotypes of A. calamus in Korea. An accession (CZ) of A. calamus with yellow stripe on leaves was closely grouped with another (CX) at a genetic distance (GD) of 0.03, which shows that the stripe trait might be generated by chimeric mutatio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A. calamus and A. gramineus was revealed to be farthest from 0.80 to 0.88 GD. In genus Acorus the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variation were identified by using RAPD marker technique and non-destructive NIRs.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Conidial Germination, Mycelial Growth and Sporulation of Fungi Isolated From Poultry Feed

  • Islam, M. Rafiqul;Alam, Shahidul;Rahman, M. Ziaur;Chowdhury, S.P.;Begum, M.F.;Akhter, Nargis;Alam, M.S.;Han, Kee-Don;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21-225
    • /
    • 2003
  •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Lawsonia inermis, Azadirachta indica, Vinca rosea, Tagetes patula, Ocimum sanctum, Colocasia antiquorum, Adhatoda vasica, Moringa oleifera, Datura metel and Curcuma longa leaf on conidial germination, mycelial growth and sporulation of Aspergillus flavus, A. niger and A. fumigatus were examined. The conidial germination of A. flavus and A. fumigatus were most inhibited by the extract of L. inermis, while that of A. niger was inhibited by A. indica. Other tested plant extracts have a good effect on conidial germination on the selected fungi. The highest mycelial growth of A. flavus(37 mm) was found in V. rosea, but in case of A. niger and A. fumigatus it(38 and 39 mm) was found in D. metel. The lowest(4, 9 and 6 mm) respectively mycelial growth of these fungi found in L. inermis. The highest sporulation($75{\times}10^4/ml$) of A. flavus was counted in V. rosea, but in case of A. niger and A. fumigatus those($45{\times}10^4$ and $55{\times}10^4/ml$) were in D. metel and the lowest($5{\times}10^4,\;12{\times}10^4\;and\;9{\times}10^4/ml$) respectively sporulation of these fungi counted in L. inermis plant extract medium.

屑芋의 씨토란(種牛) 利用에 關한 硏究 I. 屑芋의 크기가 토란의 生育과 收量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Utilization of Cermets as Seed Corms in Tn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_NGL$. 1 . The Effect of Cermet Weight on Growth and Yield in Taro)

  • 최성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9-234
    • /
    • 2001
  • 토란 재배시 관행적으로 이용가치가 적어서 버리는 설우(屑芋를 종우(種芋)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란의 출현은 종우(種芋)의 크기별로 약간의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인 설우(屑芋)나 소우(小芋)가 친우(親芋)보다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나 출현율은 친우가 높았다. 2. 생육은 자우(子芋)보다는 친우가 엽병장이 크고 엽병속수(葉炳束數)가 많아 양호하였으며, 자우(子芋)가 클수록 생육이 양호한 경 향이었다. 자우(子芋)중 설우(屑芋)도 엽병속이 1.5~2.6개 발생되어 정상적인 생장이 가능하였다. 3.토란 종우(種芋)의 크기에 따른 괴경(塊莖)과 부산물(副産物) 엽병(葉炳)의 수량은 자우(子芋)의 크기간에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가 클수록 수량이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설우(屑芋)도 크기에 따라 10a 당730~1,680kg의 괴경(壞莖)과 100~310kg의 엽병(葉炳)을 생산할 수가 있어서 대면적의 재배시 종우(種芋)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