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7초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 이만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5-266
    • /
    • 2010
  •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 박성재;반정호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29-50
    • /
    • 2006
  • 이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준비노력이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노동시장 성과는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여부,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취업준비노력이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에 미친 효과를 보면 재학 중 일 경험과 취업준비 시기는 첫 일자리로의 탈출확률을 높이지만, 학점, 영어점수, 면접횟수는 오히려 이행기간을 장기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취업효과는 학력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였다. 전문대 졸업자는 교육훈련과 재학 중 일 경험이, 대졸자는 학점, 현장실습, 외국어능력 등이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금효과에서도 전문대 졸업자와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대 졸업자는 재학 중 직업훈련, 재학 중 일 경험, 영어능력이 임금수준을 높이고 있다. 4년제 대학 대졸자는 졸업 후 직업훈련을 받거나 재학 중 일 경험은 오히려 임금수준을 낮추지만, 영어점수와 재학 중 취업준비는 임금보상이 높은 일자리로 진입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 취업 가능성 및 관련 직업 특성 탐색 (The Possibility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are Employed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 장현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77-9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 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 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 (Explor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Satisfaction in First Job of Graduates from Engineering College by Decision Tree Analysis)

  • 이지연;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23
    • /
    • 2021
  • The first job of university graduates is the beginning of career development,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a personal life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a labor market later. The study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major variables (whether or not one participates in the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the satisfaction in the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related to university education that determine the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of graduates from the entire university of 4-year general courses and the engineering college with experiences of having the first job.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make it possible for the design of university education related to career and employment tailored to the engineering college. The results of 2017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ere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which was analyzed by the decision tree analysis. As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was student welfare facilities for the entire graduates among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was major curriculum and its content am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graduates from the engineering college, it was analyzed that factors related to majors were more important compared to other majors in the engineering college. The customized major curriculum and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taking into account of the demand of the industry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graduates from the engineering college in a labor market.

물리치료(학)과 졸업생의 취업준비 노력과 성과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 of the Physical Therapy Graduates)

  • 안소윤;안성자;권해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5
    • /
    • 2014
  • Background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life, behaviors to prepare for employment, and employment performance, thereby providing basic materials to create efficient measures for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ategie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employed in medical and health institutions in Gyeongsangnam-do and Busan. Aquestionnaire devised by Yu Yeon-wha and Lim Gyeong-ae(2012, 2011)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into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29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0 program. Results : 1) The biggest reason for the respondents' selecting physical therapy as a major was bright prospect for employment, and the largest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started to prepare for employment in the second semester of junior year. 2)Regarding behaviors to prepare for employment, those who largely provided information on employment were the respondents' seniors and friends. 62.3% of the respondents owned certificates and diplomas. 59.9% took part in programs related to employment in order to prepare for employment. Their weakest area was English and what they wanted to know most was annual salaries provided by companies. They put self-development and growth potential before everything a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priority when getting a job. 3)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 in their interviews for employment was the motive for application. The biggest reason for their employment at their current institution was their good personality and manner. 4)As for employment performance,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ir current average annual salary. Conclusion : School should provide consciousness education and employment coaching so that students can early prepare for employment with an active attitude. In particular,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many students can gain easy access to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in diverse areas should be provided and student coach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PDF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대학생들의 취업 로드맵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Career Roadmap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Data Mining)

  • 김효정;오새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29-13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To this end, employment data of graduates of private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metropolitan area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were collected from 2019 to 2021, filtered data using a RapidMiner, and analyzed by applying a decision tree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long-term internship for more than 12 weeks, TOEIC score of 787.5 or higher was advantageous for employment, and if there was no TOEIC score, the graduation average score was 3.67 or higher, so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was high. Even if the TOEIC score was low, it was advantageous for employment if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and continuous professor counseling, and even if the average graduation score was low,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was high if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omparison program. This study can present a job education guide based on actual data to university management and use it to establish policies to support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7-29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 및 정규직 취업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인턴 경험이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면,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전공과 직무 일치 비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능력중심 채용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Based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in Korea

  • Lee, Sungim;Moon, Jeounghoo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59-975
    • /
    • 2012
  • Each year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a government institution established for the advancement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nd Job Korea, a popular Korean job website, announce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Thi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understand and resolve youth unemployment problems. However, previous reports deal with the time as a completely observed one and are not appropriate. This paper proposes a new study on first job waiting times after college graduation set to 4 months prior to graduation. In Korea, most college students hunt for jobs before college graduation in addition, the full-fledged job markets also open before graduation. In this case the exact waiting time of college graduates can be right-censored. We apply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first job waiting times and risk factors. A real example is based on the 200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졸업생 취업률 변화를 중심으로 본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의 평가 (An Evaluation of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Focusing on Changes in Graduate Employment)

  • 이삼호;김희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157-183
    • /
    • 2008
  •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 혹은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사업'은 지역발전혁신전략의 한 주체로 설정된 지방대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NURI사업은 학부 졸업생 수준의 중견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지방대학의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졸업생 취업률의 변화를 중심으로 노동시장에서 나타난 NURI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졸업생 취업률 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NURI사업단과 NURI사업에 지원하였으나 미선정된 사업단의 취업률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URI사업이 시행된 이후 취업률의 개선이 나타났는지를 이중차감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NURI사업단의 취업률은 미선정 사업단에 비해 빠르게 상승하였으며, 기간이 지남에 따라 취업률 개선 정도의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므로 취업률 개선효과를 단정할 수 없다. 더구나 취업률의 변화를 관찰한 기간이 충분히 길지 않다는 점에서 NURI사업의 효과성을 단정적으로 평가하기는 더욱 어렵다. 또한 어느 정도의 취업률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투입된 예산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NURI사업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차후에도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가 취업, 보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Government Official Recruitment Exams)

  • 김태일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9-1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가 그들의 취업 및 직장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는 대학재학기간을 다소 연장시킨다. (2)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는 취업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3) 민간기업 취업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은 보수에 다소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4)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다가 민간기업에 취업한 경우는 공공부문에 취업한 경우 및 처음부터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지 않고 민간기업에 취업한 경우에 비하여 직업만족도가 낮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대학생들의 공무원시험 준비에 대해 주변에서 갖는 일반적인 우려와 부합한다. 그러나 그 크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염려하는 것보다는 작음을 보여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