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 policy

검색결과 751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저출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pproaches to Studying Low Birth Rate in Korea: A Critical Review)

  • 나유미;김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17-833
    • /
    • 2010
  • This study was dedicated to searching better course of low birth rate study in Korea by carefully analyzing past and present low birth rate researches. For this 179 studies(101 master thesis and 78 journal articles) from 1991 to 2009 were analyzed. Next, using SPSS Win 12.0, the research type, topic,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and method of data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studies' years of publication. The most frequently applied research approach, topic,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on procedure and data analysis method in the research was found to be a literature study, solution and prevention of low birth rate related policy, literature study, literacy analysis. In conclusion, low birth rate studies should become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types of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analysis. Additionally, research topics should become more realistic and specified. Moreover, research results should be verified before they are applied to the policy.

연구도서관 장서의 양적 질적 평가에 관한 분석적 고찰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233-2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most reasonable and feasible evaluation methods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in Korea. At the very outset, writer tried to define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described a collection evaluation is to gain the data for decision making on selection policy, weeding and storage project, and explained it is one of the procedures of a collection development system operation of being explained as repeated three procedures through a collection development plan, an implimentation of the set plan(selection process) and a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also pointed out the fact many libraries in Korea are apt to by pass or overlook this important process. Writer then defined the criteria of a collection evaluation as the measurement of the proportion of library holding's capability to meet users' demands and that of the degree of total collection's utilization. Writer introduced and analysed seven existing colle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cluded the method by a survey of users' needs and opinion and the method by a circulation survey are the most feasible and reasonabl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Writer also added that using above two evaluation methods together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 evaluation.

  • PDF

KESLI 컨소시엄 활성화를 위한 운영현황 및 요구분석 (Opera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KESLI Consortium)

  • 이용구;박성재;김정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1-23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저널 컨소시엄 참여기관의 현황과 그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KESLI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컨소시엄 선정 및 관리, 평가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한 179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ESLI 참여기관은 장서개발정책, 편목, 이용자교육 및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따라서 KESLI는 참여기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서개발정책 마련을 위한 정책 예를 제공하고 편목의 간소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관에서의 이용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지원하며 평가방법 및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박혜선;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6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 키워드 분석 (A Keyword Analysi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University and Public Libraries Using Text Mining)

  • 이다현;신동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85-302
    • /
    • 2024
  • 장서개발 정책은 도서관 서비스의 근간이며, 도서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드러나는 성문화된 문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 추출이 가능한 장서개발 정책 관련 원문 11개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토픽 모델링,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장서개발 정책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관종별 장서개발 정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파이 계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 '도서관', '장서개발', '이용자', '수집' 등의 키워드가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에서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파이 계수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은 '대학(0.73)', '구축', '학생', '대상', '비용' 등의 키워드가 나타나므로, 이용자의 학술적 요구와 디지털 자원에 대한 논의가, 공공도서관은 '성인', '설문조사', '특징', '종교' 등 다양한 이용자계층의 정보 요구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쟁점으로 드러났다.

대학도서관 장서구성의 영향요인 분석- 부산대학교도서관 교육학장서를 중심으로 -

  • 김정근;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55
    • /
    • 1994
  • The present survey aimed at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 of the Education Collection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wo areas of influencing factors, i.e.., library factors and user factors. Library factors includ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manpower, materials received as gift and budget. User factors included faculty and students. For analyzing the factors, the present researchers have relied on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using heavily documents produced within the case library, interviews librarians, faculty and students, and observation.

  • PDF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ing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20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개관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되는 개관장서 구성의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최근 지역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설립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반면, 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서구성에 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일선에서는 혼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관한 10개 공공도서관의 개관장서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장서개발정책 수립, 장서구성기본계획 수립, 개관장서 규모 도출, 그리고 향토자료 구축 방안 등의 측면에서 표준적인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the Supreme Court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5-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학 관련 도서관들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개발(안)과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법원도서관의 비전은 크게 각국 법률자료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수집과 법률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과 법조 실무계와 학계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5가지 기본방향은 1)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으로서의 사명과 책무 중심의 장서개발, 2)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서의 장서개발, 3) 변화하는 시대 및 정보환경에 부합하는 장서개발, 4) 법원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주제별·언어별 장서개발, 5) 일관성과 체계성 기반 자료 수집·보존·폐기 장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정책문서에 기반한 법원도서관의 장서개발을 통해 체계적 또는 전략적 장서개발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효과적인 시민참여를 위한 기저귀 재활용 정책방안 - 노원구의 사용 후 기저귀 수거 시범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Policy Options for Diaper Recycling to Foster Effective Citizens' Participation - Based on Collection Pilot Test of Soiled Diaper in Nowon-gu -)

  • 김경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16-26
    • /
    • 2015
  • 본 연구는 기저귀 재활용을 정책적으로 도입하고자 할 때 최적의 수거방안을 마련하고자 어린이집이 밀집된 지방자치단체와 수거 시범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배출방식에 대한 명확한 안내와 배출량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고 언론홍보를 통한 기저귀 재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시범사업 참여자에게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며, 수거 인프라 관련 비용은 공공영역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거 비용 관련해서 본 시범운영에서는 기저귀 수거만 전문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있는 수거비용이 산출되지 않았으나 향후 본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도권으로 확대할 경우 주 2회 빈도에 고효율 수집차량을 운행하면서 수거율 50% 수준의 수거모델을 운영한다면, 현행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수준이하의 수거 비용을 확보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분한 수거량 확보를 통한 안정적인 수거모델 구축과 함께 재활용 기술 개발이 진행된다면 기저귀 재활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한발 더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장서관리 웹사이트 컨텐츠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for Collection Management Web Sites of University Libraries)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5-186
    • /
    • 2002
  • 본 연구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장서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구성요소별 내용평가를 통해 웹사이트를 분석하고, 나아가 장서관리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사이트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서관리 웹사이트의 컨텐츠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컨텐츠 구성은 <장서개발정책>, <직원주소록>, <통계>, <선정도구>, <구입 희망자료 신청>, <신간안내>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된다. 웹사이트의 활용을 통해 장서관리 업무의 효율화를 이룸으로써 향후 장서관리 웹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도서관에게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