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

검색결과 11,622건 처리시간 0.037초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Bacteroides sp. KGMB 02408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 (Draft genome sequence of Bacteroides sp. KGMB 02408 isolated from a healthy Korean feces)

  • 유승엽;김지선;오병섭;유승우;박승환;강세원;박잠언;최승현;한국일;이근철;엄미경;서민국;김한솔;이동호;윤혁;김병용;이제희;이정숙;이주혁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96-299
    • /
    • 2019
  • Bacteroides 속 균주들은 척추동물의 분변 등에서 분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Bacteroides sp. KGMB 02408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PacBio Sequel 플랫폼을 이용하여 Bacteroides sp. KGMB 02408 균주의 유전체서열을 분석하였다. 유전체는 G + C 구성 비율이 39.5%이고, 5,005개의 유전자와 rRNA 18개 tRNA 74개로 구성되었으며, 염색체의 크기는 5,771,427 bp였다. 또한, 유전체 분석 결과를 통해 산화-환원 효소와 메나퀴논 생합성 및 그와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디지털 장서개발정책 기본요소 연구 (A Research on the Elements of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 장덕현;서태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7-117
    • /
    • 2009
  • 장서개발정책은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 있어서의 장서개발의 특징과 범주, 우선순위 등을 규정하는 장서관리 업무의 마스터플랜이다. 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을 통하여 수집대상 장서의 범위, 수집의 우선순위 및 구입 수준 등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전단계로서 국립디지털도서관의 디지털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을 연구하여, 국가적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필수 요소들을 도출하고 향후 디지털장서개발정책의 일반적 지침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전자자원개발정책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여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에 적합한 독립형 장서개발정책의 설정을 제안하고, 국가단위 디지털도서관이 수집 대상으로 하는 정보자원의 유형과 범위, 수집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구입 수준, 라이선스 등에 관한 내용에 대한 원칙과 국가적 디지털 정보자원 개발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필수요소들을 도출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장서평가 연구 - A대학교도서관 정치학장서를 중심으로 - (Assessing 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olitical Science Collection in A University Library)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3-152
    • /
    • 2013
  •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기인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특정 주제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장서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 대학도서관의 정치학 장서를 대상으로 장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연 장서가 학과의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지원, 교수의 연구지원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개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학 강의에서 사용된 교재 및 연구자들이 학술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문헌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에 근거한 대학도서관의 장서 보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정치학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필요한 장서의 현황, 장서의 최적성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의학도서관 장서관리정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edical Library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 남태우;김은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102
    • /
    • 2010
  •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1인 사서제로 운영되는 영세한 규모의 병원도서관으로 다른 도서관과의 자원협력과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라도 장서관리정책 수립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지만 국내의 경우 장서관리정책을 웹상에 올려놓고 있는 의학도서관은 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의학도서관의 장서관리정책을 사례로 조사하여,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의학 도서관을 위한 기초 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핵심요소만 충족이 된다면 장서관리정책은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사례조사는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의학 도서관에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정한 12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국내 의학도서관 1곳과 국외 의학도서관 5곳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들의 조사 분석을 통해서 12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GIS를 이용한 생활폐기물의 수거권역설정과 수거차량의 순회경로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ing and Vehicle Routing-Scheduling for Waste Collection Using GIS)

  • 이희연;임은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5-30
    • /
    • 2001
  • 본 연구는 공공성을 지닌 편익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는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쓰레기 수거권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권역내에서 수거차량의 순회경로계획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이고 보다 과학적인 쓰레기의 수거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되는 쓰레기 배출지점별 배출량을 추정하고, 쓰레기 수집구역을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지역분할방법을 이용하여 수거권역을 설정하였고, 쓰레기를 수거하는 차량의 순회결로를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경로선정 방법도 도입하였다. GIS를 기반으로 하는 수거권역의 설정은 행정동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거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로선정방법을 도입할 경우 공차회송비용을 줄이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경로계획의 수립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E따라서 쓰레기 수거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GIS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분할방법과 경로선정방법을 도입한다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nstruction of core collection based 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in soybean germplasm

  • Jeong, Namhee;Park, Soo-Kwon;Lee, Choonseok;Ok, Hyun-Choong;Kim, Dool-Yi;Kim, Jae-Hyun;Park, Ki-Do;Moon, Jung-Kyung;Kim, Namshin;Choi, Man So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06-106
    • /
    • 2017
  • The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 resources worldwide as food and forage. It is also important and valuable that to hold crop resources to have high genetic diversities. Recently, a core collection has been constructed in many plants to preserve the genetic resources of various plants. A core collection is small population to represent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total collection, and is of strategic importance as they allow the use of a small part of a germplasm collection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total collection. Here, we developed the core collection consisting of 816 accessions by using approximately 180,000 (180K)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developed in previous study. In addition, we performed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to construct the core collection from entire 4,392 collections. there were excluded sample call rates less than 93% and duplicated samples more than 99.9% according to genotype analysis using 180K SNPs from entire collections. Furthermore, we were also excluded natural hybrid resources which Glycine max and Glycine soja are mixed in half through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we are constructed the core collection of genetic diversity that reflects 99% of the entire collections, including 430 cultivated soybeans (Glycine max) and 386 wild soybeans (Glycine soja). The core colle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to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both soybean breeding programs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 PDF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uidelines for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 이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2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성명서를 준비하는 우리나라 도서관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정한 10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국가도서관 5곳과 공공도서관 2곳을 사례연구방법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사례들의 특징과 조사항목 분석을 통해서 5가지 지침을 제안하였다.

  • PDF

디지털도서관에서 분산자원 검색을 위한 장서 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Information for Discovery of Distributed Resources in Digital Libraries)

  • 이성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5-209
    • /
    • 2005
  • 장서 수준에서 자원을 기술하는 것은 분산된 자원에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정보 서비스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분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CLD의 개념과 특징, 효과, 관련 표준을 살펴봄으로 장서정보 연구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국에서 수행된 CLD 관련 프로젝트를 검토함으로서 주제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