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Learning

검색결과 650건 처리시간 0.024초

협동학습을 위한 교육용 온라인 게임 연구 (Study on Educational On-line Game for Collaborative Learning)

  • 노창현;이완복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49-54
    • /
    • 2004
  • The social interest for collaborative teaming and educational game has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value of collaborative teaming and gam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propose an educational on-line game model for collaborative teaming. Although the proposed model is still conceptual design, it sufficiently shows that on-line RPG game can be a good collaborative team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We will perform a comparison study on the teaming achievement between the two methods: 1) the on-line game proposed in this paper, 2)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method performed in normal school.

  • PDF

Privacy-Preserving Deep Learning using Collaborative Learning of Neural Network Model

  • Hye-Kyeong K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56-66
    • /
    • 2023
  • The goal of deep learning is to extract complex features from multidimensional data use the features to create models that connect input and output. Deep learning is a process of learning nonlinear features and functions from complex data, and the user data that is employed to train deep learning models has become the focus of privacy concerns. Companies that collect user's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sers' images and voices, own this data for indefinite period of times. Users cannot delete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y cannot limit the purposes for which the data is used. The study has designed a deep learning method that employs privacy protection technology that uses distributed collaborative learning so that multiple participants can use neural network models collaboratively without sharing the input datasets. To prevent direct leaks of personal information, participants are not shown the training datasets during the model training process, unlike traditional deep learning so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ata can be protected. The study used a method that can selectively share subsets via an optimization algorithm that is based on modified distribute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and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learn with improved learning accuracy while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협력형 EFL 교실에서 실천학습 융합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versing Action Learning in a Collaborative EFL Classroom)

  • 신명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71-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천학습(Action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영어 수업 사례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기본으로 하여 학습자 간의 상호수정 활동을 통해 영어 기술을 익힐 수 있다는 것에 연구의 가치를 두고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6월15일까지 교양 영어 두개 반(실험반, 통제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집단은 실천학습(Action learning) 협력기법을 활용한 협력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 반은 교수자가 기존에 하던 방식의 쓰기 수업을 진행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실천학습(Action learning) 기법을 적용한 협력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쓰기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단어의 수, 문장의 수와 문장 길이 등의 쓰기의 유창성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학습자들은 학습 관계에서 더 깊이 있게 다른 사람들이 지닌 지식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보다 규칙적인 근거를 가지고 근접발달영역 들어갈 수 있었다.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참여 수준에 대한 학습전략의 영향 탐색 (Exploring for Impact of Learning Strategies on Participation Level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3-72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참여 수준에 대한 학습전략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A 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기가 시작되면서, 학습전략은 MSLQ를 통해서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초인지, 학습시간 관리, 노력조절, 동료학습, 도움구하기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협력과제를 수행하였고, 집단 편성은 4-5명으로 구성하였다. 참여 수준은 상호작용을 위해 작성한 메시지에 양적 가치를 부여하여 점수로 측정하였다 협력학습의 과정은 학습목표 확인, 학습계획, 개별학습 실행, 학습결과 공유, 보고서 작성, 평가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서 나타나 참여 수준에 대해 학습 전략의 영향을 다중회귀분석(단계적 선택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목표 단계는 초인지가 가장 높은 수준에서 영향을 주었고, 학습계획은 학습 시간관리, 학습실행은 시연, 노력조절, 도움 구하기, 동료학습, 학습결과 공유는 조직화, 비판적 사고, 도움구하기, 보고서 작성은 조직화, 정교화, 비판적 사고, 평가는 비판적 사고, 초인지, 정교화가 높은 수준에서 영향이 있었다.

퍼스널 스토리텔링의 온라인 협력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 CSCL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학습 측면에서 - (Interface Design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erson Storytelling - From CSCL point of view for digital media design -)

  • 송지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55-166
    • /
    • 2007
  • 퍼스널 스토리텔링은 창의적 사고와 디지털 미디어를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 스토리텔링을 제작하는 일반인들이 동료 스토리텔러들이나 전문가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토리텔링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를 제안하고 이의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에 대한 협력학습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협력학습 이론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미디어 디자인의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기존의 사진 및 필름 포럼(forum) 사이트들을 분석하여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온라인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협력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을 추출하여 퍼스널 스토리텔링을 위한 상호작용 사이트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고 모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퍼스널 스토리텔러들의 협력학습을 돕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는 스토리텔러들 간의 관찰과 발전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상호 주관성의 형성을 지원하며, 미디어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제시되었다.

  • PDF

공동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웹 기반의 동기적 원격 학습 시스템 (A Web-based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ystem Supporting the Collaborative Browsing)

  • 이성제;신근재;김엄준;김문석;성미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430-4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공동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웹 기반의 동기적 원격 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내용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사관리 시스템, 화이트보드 시스템, 화상 회의 시스템, 공동 브라우징 시스템, 그리고 세션 관리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중 공동 브라우징 시스템은 다른 원격학습 시스템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스템이다. 우리의 공동 브라우징 시스템은 상용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교사가 교육에 필요한 웹사이트들을 이동할 때 교사의 웹 브라우저의 내용을 그대로 사용자에게 동기화 되어 보여줌으로써 마치 학습자 자신이 웹 서핑을 하는 것처럼 느끼게 해준다. 세션 관리자는 멀티유저와 멀티그룹을 지원하며 화이트보드, 화상회의, 공동 브라우징 시스템 등의 다양한 원격 학습 컴포넌트들이 같은 세션 정보를 가질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원격학습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게 한다. 본 시스템은 공동 브라우징 등 여러 가지 동기적인 기능을 지원하여 원격 학습의 효율을 증진시키고, 마치 동일한 강의실에서 학습하고 있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 PDF

The Effects of Group Composition of Self-Regulation on Project-based Group Performance

  • LEE, Hyeon W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2호
    • /
    • pp.105-121
    • /
    • 2010
  • Collaborative learning encourages the use of high-level cognitive strategies, critical think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spite these advantages, most instructors reveal the difficulties of using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 common problem is the failure of the group to work effectively together.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advice on group composition with self-regulation. In a college course, 31 groups with 129 students were asked to discuss and prepare the final presentation material and present it together as a collaborative work. All students' self-regulation skills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e collective self-regulation was computed as an average of the individual scores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group's collective self-regulation show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oup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s self-regulation predicts individual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regulation and participation in group work.

초등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협력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using Smart Devic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강석진;윤성용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181-192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on students' achievement, the retention of the achievement, communication anxiety,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ere investigated. The aptitude-treatment interaction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intervention was also examined. Two classes (38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were respective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a communication anxiety test, and a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were administered as pretests. The intervention lasted for 8 class periods. After instruction, an achievement test, the communication anxiety test, and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were administered. An achievement retention test were also administered after four wee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reatmentaptitude interaction effects in the achievement test scores and the achievement retention test scores. In the communication anxiety and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owever,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자기 주도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웹(Web) 기반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을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System Using Self-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 김효준;조세홍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7-73
    • /
    • 2002
  • 본 논문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계 구현된 웹 기반 협동학습시스템을 기술한다. 웹 상에서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자기 주도적 협동학습을 가능케 하기 위해 학습자, 교수자, 관리자의 3가지 모듈을 구성 설계하였고, 과제와 평가 역시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강조되고 있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협동학습 공간을 구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Collaboration Scripts for Argumenta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 KIM, Hyosook;KWON, Sungho;KIM, Dongsi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145-17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llaboration scripts as an instructional means to facilitate argumenta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analyze their effects. To develop collaboration scripts for argumentation, researchers used activity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fined the design principles by design-based research. Using LAMS, collaboration scripts for argument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rgueGraph. To examine their effects, 7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internal scripts and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external scripts. Applying mixed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argumentation competence related to the cognitive aspect, examined self-efficacy related to the motivational aspect, and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Researchers found that the internal script i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the dimensions, degrees, and duration of improvement in argumentation competence. That is, learners with higher internal scripts improved highly in the quality of single arguments, while learners with lower internal scripts improved continuously i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sequences. The effects of the external scripts varied with the internal script levels and supporting periods. Besides, collaboration scripts for argum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ers with higher internal scripts had better self-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learning context. Therefore, when scripting learner's interaction in CSCL, researchers should design the scripts adaptable to a natural context of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