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esive devic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 of adhesive primers on bonding strength of heat cure denture base resin to cast titanium and cobalt-chromium alloy

  • Kim, Su-Sung;Vang, Mong-Sook;Yang, Hong-So;Park, Sang-Won;Lim, Hyun-Pi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권1호
    • /
    • pp.41-46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The poor chemical bonding of a denture base resin to cast titanium framework often introduces adhesive failure and increases microleakage.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shear bond strengths of a heat cure denture base resin to commercially pure titanium, Ti-6Al-4V alloy and a cobalt-chromium alloy using two adhesive primers. MATERIAL AND MATHODS. Disks of commercially pure titanium, Ti-6Al-4V alloy and a cobalt-chromium alloy were cast. Specimens without the primer were also prepared and used as the controls.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on a screw-driven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The primers significantly(P < .05) improved the shear bond strengths of the heat cure resin to all metals. However, the specimens primed with the Alloy $primer^{(R)}$(MDP monomer) show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ose primed with the MR $bond^{(R)}$(MAC-10 monomer) on titanium. Only adhesive failure was observed at the metal-resin interface in the non-primed specimens, while the primed specimens showed mixed failure of adhesive and cohesive failure. CONCLUSIONS. The use of appropriate adhesive metal primers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eliminate the need for surface preparation of the metal framework before applying the heat cure resins, but also reduce the need for retentive devices on the metal substructure. In particular, the Alloy $primer^{(R)}$, which contains the phosphoric acid monomer, MDP, might be clinically more acceptable for bonding a heat cure resin to titanium than a MR $bond^{(R)}$, which contains the carboxylic acid monomer, MAC-10.

노년층의 글쓰기 특성 -이야기문법과 구문구조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riting in Normal Aging: Story Grammar and Syntactic Structure)

  • 김현아;원새롬;이보은;윤지혜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193-212
    • /
    • 2017
  • 노년층은 이야기를 산출하면서 주제로부터 벗어나는 이야기를 하거나 문장구조를 단순화하기도 하며 문법 형태소의 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이야기를 말하는 능력과 글로 쓰는 능력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글을 쓰는 능력은 복잡한 인지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노화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노년층 32명과 청년층 32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과제는 전래동화('흥부놀부')에 대한 그림들을 보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써보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 시에는 이야기 구성적 측면과 이야기 구문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하여 이야기 구성적으로는 이야기문법과 완전한 에피소드의 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구문구조적으로는 복문의 사용빈도는 청년층과 차이가 없었으나 관형절과 부사절 내포문의 사용이 저하되고 부적절한 결속표지를 많이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이 이야기 글쓰기를 할 때 주제의 유지가 저하되고 수식적으로 꾸며주는 표현의 사용이 부족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글의 응집성이 저하되지만 쓰기 활동의 시각적 피드백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긴 복문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