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perceptual train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일상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김희자;홍여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73
    • /
    • 1995
  •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Recent statistics shows that the aged are the fastest growing segment of our population by increasing life span. The age group of over 60 shows multiple health problems and the most serious handicapping problem of these.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muscular skeletal system. With aging, people lose. their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resulting from biological changes and physical inactivity. Studies documented a 30-50% loss of muscle mass in an advanced age and thus, ordinary life activities can be seriously affected due to weakened muscle strength. Preservation of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aged. Since it is readily affected from reduced physical activity in old age, sometimes to the detriment of moving or walking. So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designed for the elderly to improve leg muscle strength and leg muscle endurance.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rotest desig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utilizing Leg Press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Forty nin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 male and twenty five female. Twenty four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C-institution in Chung Buk province, and twenty fiv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O-institution in Chung Nam provinc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2.8 years.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utilizing Leg Pr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9 week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993 to October, 1993.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t-test, ANCOVA test, Kruskal Wallis 1-Way ANOVA test using SPSS PC program.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muscle strength (leg lift strength, back lift strength and grip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than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ulcorner$F=52.35(p=.001), F=54.07(p=.001), F=6.97(p=.011), F=18.17(p=.001)$\lrcorner$ 2)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IADL than control group(F=7.51, p=.009). 3)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conomical state and self esteem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than control group $\ulcorner$F=10.59(p=.002), F=6.97(p=.011)$\lrcorn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motional state,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nd relationship with reatives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 4) Scores on IAD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ulcornerx^2=7.73(p=.025),\;x^2=8.86\;(p=.011)\lrcorner$ 5) Scores on self esteem and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IADL $\ulcornerx^2=11.39(p=.003),\;x^2=9.02(p=.011)\lrcorner$. 6)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perceived benefit on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emotion on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ulcorner$F=32.09(p=.001), F=5.07(p=.029), F=20.63 (p=.001), F=30.38(p=.001)$\lrcor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exercise program with Leg. Press had improved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ADL, and the perception of self esteem, physical and funtional state, and economical state. Thus strength training program could be beneficially applied for the prevention of disablity and promotion of health and wellbeing in the aged easily and safel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maintained their exercises till six months after the cessation of the experiment. This seem to illustrate that changes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the improvement in health status have reinforced motivation for the continuation of voluntary exercises.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maintainance of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to assess the effect of weight training program on bone density.

  • PDF

인지재활 영역에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in Cognitive Rehabilitation)

  • 박인지;박흥석;김태훈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29-38
    • /
    • 2012
  • 서론 : 본 연구는 인지재활의 주요영역인 실행 장애, 기억력 장애, 지각 장애, 주의력 장애,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의 가상현실의 적용 사례를 문헌고찰 함으로써,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론 :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한 인지프로그램은 평가 뿐 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인지 요소의 훈련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 프로그램은 실제 환경에서의 평가이자 훈련이기에 기존 컴퓨터에 기초한 평가 및 훈련과 비교하여 실제 환경으로 전이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가상현실의 재활 프로그램에 적용은 최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다 큰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곧 혁신적인 치료 기술의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다. 이 과정에 가상현실은 미래에 보다 많이 연구 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인지영역에서 가상현실은 기존의 평가들 보다 향상된 실제 환경으로의 전이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 : 인지영역에서 가상현실의 적용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평가 뿐 만 아니라 훈련이 통합된 재활 프로그램으로 활용도가 광범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무분석을 통한 회전익 항공기 조종사 적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titude for Helicopter Pilots through the Job Analysis)

  • 유태정;김칠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9
    • /
    • 2006
  •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helicopters extends from the civil air traffic control system to remote and hazardous areas and from day operations under visual flight conditions to night operations in adverse weather. Helicopters can move in any direction, remain stationary while airborne, climb and descend vertically, and take off and land almost anywhere. Thus their range of maneuvers and control requirements vary more widely than do those of fixed-wing aircraf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job of helicopter pilot through methods of observation, and classified the required ability of them into the domain of cognitive, perceptual/spatial, psychomotor. I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aid training and selection of helicopter pilot.

  • PDF

유아인지발달을 위한 코딩게임의 개발과 적용 효과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Coding Game for the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 홍대선;유미;이형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3-112
    • /
    • 2018
  • 게임을 통해 순차, 반복문, 조건문 개념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유아교육용 코딩게임 "Ito2"를 소개하였다. 개발된 게임은 실제 어린이집 아동을 대상으로 모의수업과 실습수업의 두 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코딩교육을 실시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코딩 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공간, 관찰, 도형 및 측정, 분류, 비교 및 서열화, 부분과 전체의 총 6개 분야에 대한 유아 인지발달 능력 성취도의 추이를 관찰하여 그 변화 정도를 기술하였다. 본 논문은 재미 요소에 학습 요소를 더한 유아 기능성 코딩게임을 개발하고 개발된 게임을 어린이집 아이들이 학습게임으로 체험하면서 인지발달과 공간지각능력에 있어서 능력 향상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시각기능 개선을 위한 시기능훈련이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Perception by Vision Therapy for Improvement of Visual Function)

  • 이승욱;이현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499
    • /
    • 2015
  • 목적: 시각이상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을 통한 시각기능이상의 개선 전후 시지각점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시각기능이상을 가진 13세 미만($8.75{\pm}1.66$)의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 전후에 시지각기능검사(TVPS_R;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를 실시하여 시기능훈련에 따른 시각기능의 변화와 시지각 평가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기능훈련을 통해서 원거리 PRC(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분리점은 평균 $3.39{\pm}2.59{\Delta}$(prism)에서 $13.87{\pm}6.04{\Delta}$로 증가되었고, 근거리 P.R.C 분리점은 평균 $5.48{\pm}3.42{\Delta}$에서 $18.44{\pm}7.58{\Delta}$로 증가하였다. NPC(near point of convergence)는 $25.87{\pm}7.33cm$에서 $7.48{\pm}2.83cm$로 개선되었고,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는 $19.57{\pm}7.16cm$에서 $7.09{\pm}1.88cm$로 개선되었다. 시지각평가에서 시각기억분야를 제외하고는 대응차가 시각완성에서 $17.74{\pm}16.94$(p=0.000), 시각적순차기억에서 $15.65{\pm}17.11$(p=0.000), 배경식별에서 $13.65{\pm}16.63$(p=0.001), 형태향상성에서 $12.74{\pm}18.41$(p=0.003), 시각구별에서 $6.49{\pm}10.07$(p=0.005), 시각적공간지각에서 $4.17{\pm}9.33$(p=0.043) 순으로 개선되었고, 이를 종합한 시지각점수는 대응차가 $15.22{\pm}8.66$(p=0.000)로서 더욱 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시기능훈련을 통해서 시각기능의 개선과 시각기억분야를 제외한 시지각점수의 향상이 시각완성, 시각적순차기억, 배경식별, 형태향상성, 시각구별, 시각적공간지각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기능향상을 위한 시기능훈련은 시각의 기능뿐만 아니라 시지각의 기능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시각훈련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었다.

Challenges in neuro-machine interaction based active robotic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 Song, Aiguo;Yang, Renhuan;Xu, Baoguo;Pan, Lizheng;Li, Huijun
    • Advances in robotics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55-169
    • /
    • 2014
  • Study results in the last decades show that amount and quality of physical exercises, then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now the cognitive involvement of patient in rehabilitation training are known of crux to enhance recovery outcome of motor dysfunction patients after stroke. Rehabilitation robots mainly have been developing along this direction to satisfy requirements of recovery therapy, or focusing on one or more of the above three points. Therefore, neuro-machine interaction based active rehabilitation robot has been proposed for assisting paralyzed limb performing designed tasks, which utilizes motor related EEG, UCSDI (Ultrasound Current Source Density Imaging), EMG for rehabilitation robot control and feeds back the multi-sensory interaction information such as visual, auditory, force, haptic sensation to the patient simultaneously. This neuro-controlled and perceptual rehabilitation robot will bring great benefits to post-stroke patients. In order to develop such kind of robot, some key technologies such as noninvasive precise detection of neural signal and realistic sensation feedback need to be solved. There are still some grand challenges in solving the fundamental questions to develop and optimize such kind of neuro-machine interaction based active rehabilitation robot.

상대위상을 이용한 시각적 협응 패턴의 지각 역학과 격자무늬를 이용한 부가적 감각 정보에 따른 영향 (Visual Perception Dynamics of Relative Phase Coordination Pattern with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Using a Background Grid)

  • 류영욱
    • 인지과학
    • /
    • 제23권3호
    • /
    • pp.409-42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 위상을 이용한 시각적 협응 패턴의 지각이 조절변수의 변화에 따라 HKB 모델(Haken, Kelso, Bunz, 1985)의 예측에 따르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또한 격자무늬 배경을 이용한 부가적인 시각 정보가 협응 패턴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았다. 피험자들은 일반 배경과 격자 배경 중 하나의 그룹에 속하여 패턴 지각 연습과 패턴 분별 시험을 하였다. 피험자들은 좌우로 이동하는 두 점 사이의 상대위상으로 정의된 $0^{\circ}$, $18^{\circ}$, $36^{\circ}$, $54^{\circ}$, $72^{\circ}$, $90^{\circ}$, $108^{\circ}$, $126^{\circ}$, $144^{\circ}$, $162^{\circ}$, $180^{\circ}$ 패턴을 관찰하였다. 패턴 지각 연습은 두 점의 진동 주기 0.25 Hz에서 시행되었고, 패턴 분별 시험은 0.5 Hz, 1 Hz, 2 Hz에서 시행되었다. 패턴 분별 시험에서 얻은 분별 점수, 절대 분별 오차, 분별 안정성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은 진동 주기가 느릴 때는 "뒤집어진 U" 모양을 띄다가 진동 주기가 빨라짐에 따라 $180^{\circ}$ 상대위상 패턴에 가까운 패턴들에서 정확성과 안정성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협응 패턴의 지각적 분별 역학이 HKB 모델을 따름을 나타낸다. 부가적 환경 정보인 격자무늬가 협응 패턴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에 도움은 되지 못하였다.

  • PDF

EMG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실시간 제스처 분류 연구 (A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Real-Time Gesture Classification Using EMG Data)

  • 박하제;양희영;최소진;김대연;남춘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57-67
    • /
    • 2024
  • 사용자가 제스처를 통해 입력을 할 수 있는 방안들 중에서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를 통한 제스처 인식은 근육 내 작은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입력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EMG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EMG Raw 데이터를 머신러닝으로 학습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EMG 데이터를 전처리 과정을 통해 특징을 추출하여야 한다. EMG 특성은 IEMG(Integrated EMG), MAV(Mean Absolute Value), SSI(Simple Sqaure Integral), VAR(VARiance), RMS(Root Mean Square) 등과 같은 수식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스처를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 필요한 지각, 인지, 반응에 필요한 시간을 기준으로 제스처 분류가 가능한 시간을 알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 최대 1,000ms에서 최소 100ms까지 세그먼트 사이즈를 변화시켜 특징을 추출 후 제스처 분류가 가능한 세그먼트 사이즈를 찾아낸다. 특히 데이터 학습은 overlapped segmentation 방법을 통해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 간격을 줄여 학습 데이터 개수를 늘린다. 이를 통해 KNN, SVC, RF, XGBoost 4가지 머신러닝 방식을 통해 이를 학습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실험 결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이 가능한 최대 세그먼트 사이즈인 200ms에서 KNN, SVC, RF, XGboost 4가지 모든 모델에서 96% 이상의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영원의 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 칸트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 (View of Human Beings in Daesoon Thought viewed from the Perennial Philosophy: Focusing on Kant's Anthropology)

  • 허훈
    • 대순사상논총
    • /
    • 제30집
    • /
    • pp.61-94
    • /
    • 2018
  • 본고의 목적은 인간관을 중심으로 영원의 철학에서 성인·현자, 사상가들이 정립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 영원철학의 인간관이 대순사상의 인간관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서양 근대 철학을 종합한 칸트 역시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을 규명하는 데 두고 있는데, 대순사상의 인간관이 칸트가 인간학에서 제기했던 물음에 어떤 답변을 줄 수 있는가를 구명한다. 이렇게 영원한 철학을 근거로 대순사상과 서구의 그것(칸트의 인간관)을 비교해 보면, 대순사상의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칸트는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데 두었다. 그는 네 가지 물음을 던진다.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2)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3)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4) 인간은 무엇인가? 그리고 네 번째 물음(인간학)이 다른 모든 물음을 집약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저작 어디에서도 인간 존재를 규정짓지 못한다. 그는 인간을 이성적 존재로 보았으며, 인간이 인간 자신을 직관할 수 있는 어떤 특별한 인식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국 칸트는 인간 자신을 알 수 없는 존재로 남겨 놓는다. 반면에, 대순사상(영원의 철학)의 관점에서는, 칸트의 물음에 직설적인 답을 줄 수 있다. 대순사상의 인간은 본질적으로 궁극적 실재라고 할 수 있는 도(道) 혹은 신(神)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신적 인식이 가능한 존재다. 영원의 철학에서도 '마음과 인식의 대상을 동시에 신성한 근본으로 이끄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하였다. 모든 사람의 궁극적인 정체성은 바로 신(神)이며, 실존하는 인간을 통해 궁극적 존재가 현실에 구현된다. 인간은 특별한 인식 능력 혹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천 수행을 통해 이 특별한 지적 직관을 발휘했던 사람들의 깨달음의 정수를 모아 놓은 것이 바로 영원 철학이며, 그 요지를 대순사상에서는 간명하게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