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activities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3초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 추수경;유장학;이정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49-106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re were 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among 40 senior residents in a Hall for the elderly in the city of S. The subjects scores ranged from 15 to 23 on the MMSE-K(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ver age 65. The length of time for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as from Jun 26 to September 1, 2006. The cognitive behavior program consisted of 'Facing problem behavior', 'Searching for a coping skill', and 'Training in the coping skill'.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ifty minutes per session for six weeks. Result: Cognition(t=-4.232, p< .001) and IADL(t=-2.939,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group(t=3.870, p< .01). However, ADL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cognition and IADL, and to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리더의 성격에 따른 모둠내 언어적 상호 작용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Small Group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 김지현;최병순;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64-3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ithin-group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For this study, 2 homogeneous small groups by cognitive level selected from one class of sixth grader. Each group was comprised of four students. Leaders of two groups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and teacher's observation. One who got high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sociable leader, the other who got low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taciturn leader.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activities were audio/video taped and students'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on-task and off-task. On-task included cognitive aspect and affective aspect. Interactions of cogni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 also interactions of affec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rbal interactions in the sociable leader group were more activated than those in the taciturn leader group. Also,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In affective aspect, interaction pattern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interaction are as follow. The rates of cognitive aspect in the sociable and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ffective aspect. This tendency was especially remarkable in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However,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In affective aspect, positive interaction rate of the sociable leader and the taciturn leader were higher than negative interaction rate.

  • PDF

모니터기반 가상현실게임을 이용한 중재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연구: 이중 맹검 무작위 대조 시험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s of Monitor-Based Virtual Reality Games on the Cognition &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Acute Stroke :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ed Trial)

  • 최봉근;권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31-54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4주 동안 모니터기반 가상현실게임 중재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 19명이 참여하였다. 모니터기반 가상현실 게임중재와 전산화 인지중재의 효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집단에 1일 30분, 주 5회, 총 4주 중재하였고, 효과에 대한 측정은 TMT A & B, DST, RKMT, K-MBI를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군에서는 모든 변수에 대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대조군에서는 TMT A와 DST을 제외한 항목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상현실게임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인 치료로 적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니터기반 가상현실게임 중재가 인지중재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임상에 있는 작업치료사들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 임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49-185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우울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부터 2012년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 조사하였으며, 총 1,42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우울과 인지기능(r=-.208, p<.001),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56, p<.001)은 약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과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22, p<.001)은 약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가 독거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활동 수준의 향상을 통해 우울 수준이 저하될 수 있도록 앞으로 정신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선택형 인지자극프로그램 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Selective Cognitive Program Training on the Cognition, Activity Daily Living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황민지;방요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21-529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치매노인이 선택한 선택형 인지자극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 수준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2019년 3월 4일부터 2019년 4월 26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7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선택형 인지자극치료는 실험군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을 향상시켰고, 우울을 감소시켰다. 또한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인지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선택형 인지자극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파악하고 흥미를 유발하면서 효과가 입증된 인지과제를 제시하여 대상자들에게 선택하게 하였다. 이후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활동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회기별 활동을 구성하여 인지기능의 향상을 이끌었다. 또한, 흥미를 느끼고 선택한 활동에 지속해서 적극 참여함으로써 성공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활동의 자발성과 우울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03-311
    • /
    • 2020
  • 본 연구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A지역 소재 어린이집 유아 학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학부모가 유아의 안전 활동 기대감과 미세먼지 염려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채택된 반면, 사회적 요인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아 숲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다중지능 향상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은 감수성과 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놀이 활동이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체험 활동의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 염려와 안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사회성 요인은 유아의 어린이집 내 다양한 교육에서 충분히 습득될 수 있는 요인으로 숲체험 놀이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Correlations among the Continenc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Male Patients with Dementia in a Geriatric Hospital

  • Kim, Hong Rae;Shin, Hee Joon;Wang, Joong Sa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72-97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 continenc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elderly male patients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s. The subjects were 64 patients aged 65 or above who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among the hospitalized male patients in a geriatric hospital. For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K-MMSE) was used. For the continence function and AD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tient evaluation table. As a result, a low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 resulted in corresponding higher levels of dependence in all items of ADL except bathing(p<.05), and a low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 led to corresponding declines in the continence function(bowel control, bladder control)(p<.01). In addition, a higher level of dependence in ADL resulted in corresponding higher levels of difficulty in bowel and bladder control(p<.01). This study showed correlations among the cognitive function, ADL, and continence function of elderly men with dementi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hospitalized elderly male patients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s.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인과적 관계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Muscular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 최재원;김상범;정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42-250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위치하고 있는 노인복지관과 노인정에서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65세 이상노인 514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통합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근력은 상·하지근력, 악력(좌,우),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검사, 선로잇기검사, 숫자외우기검사, 스트룹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근력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근력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통합적 관계성에 대한 분석에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와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Living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 정복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17-325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인지작업치료를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우울정도의 효과를 알아봄으로 인지작업치료가 인지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2월에서 2012년 6월까지 일개광역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종합복지관과 요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경증인지장애군 13명과 치매군 19명으로 전체 32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1회 신체기능, 인지기능, craft를 이용한 작업치료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군 모두에서 인지기능, 우울감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특히 경증인지장애군은 치매보다 집중력과 기억력 유지에 필요한 인지기능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여 향후 경증인지장애군에서 인지기능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예방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래학습을 통한 또래교사와 또래학습자의 인지구조 변화 -초등 도형영역에 대하여- (A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of peer teachers and learners through peer learning - focused on figures)

  • 김미정;이광호;이미진;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07-122
    • /
    • 2013
  • 본 연구는 또래교수 활동을 통하여 변화된 도형의 개념 및 성질, 도형간의 관계에서 인지구조를 관찰하고 어떻게 정교화 해 가는지에 대해 또래교사와 또래학습자의 인지구조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은의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또래교수와 학습자 3팀을 선정하고 도형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인지구조를 분석하였다. 또래교사와 또래학습자 모두 도형영역에서 인지구조가 변화되었으며 특히 또래교사의 인지구조의 변화가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교수활동은 체계적인 계획하에 일관성 있는 교수활동 뿐만이 아니라 학습활동에 더욱더 많은 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