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on and attitud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교육에서 교수매체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f the cognition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Towards Instructional Media in Mathematics Education)

  • 노선숙;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65-289
    • /
    • 2001
  •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modified periodically to reach today's 7th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 intent of each new curriculum was to improve education, lack of proper prepar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has not made the new curriculums as effective as it could be. Goodlad et al.(1979) suggested that curriculum should encompass all practices including not only knowledge but all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 an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practices of the current curriculum with focus on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nationwide curriculum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he Goodlad's curriculum inquiry model as the framework. The result shows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d textbook manual (for teachers) and practice books most frequently for their class preparation. In addition to these, mathematics teachers also used manipulatives, visual aids, computers, internet, and calculators in a decreasing order. In general, many mathematics teachers did not use much instructional media in their classes and said that there are not enough effective instructional media to use. However, the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ducational media that they have us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regarding educational tools, their use and effect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model in mathematics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 PDF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과학에 대한 태도" 3요소 모델의 타당도 연구 (A Study of Validity in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 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1-49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validity of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re two major approaches to factor analysis. The primary goal of factor analysis is to explain the covariances or correlations between many observed variables by means of relatively few underlying latent variabl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latent variables is not determined before the analysis, all latent variables typically influence all observed variables, the measurement errors(${\delta}$) are not allowed to correlate, and unidentification of parameters is comm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quires a detailed and identified initial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echniques allow relations between latent and observed variables that are not possible with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chnique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being composed of affe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cognition is empirically identified. But attitude of science career being composed of affe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s identified. In validity test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structure of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is not correspondent to data set. Because it is concluded that the object of attitudes are not specific.

  • PDF

시스템 개발방법론의 구현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 장윤희;이재범
    • 경영과학
    • /
    • 제19권1호
    • /
    • pp.197-224
    • /
    • 2002
  • Our study focuses on the implementation of IS development methodology as the innovation of IS organization. We have two main research objectives. We Intend to understand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IS methodology. We also intend to deeply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of methodology. The whole innov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detailed four levels tilth dynamic and evolving Point of clew a cognition level, an adoption level, an acceptance level and an usage level.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affecting initiation level of the IS methodology are the innovativeness of IS members, the existence of champion manager, training, the existence of IS performance gap, executive supports for IS organization, and the relative advantage of IS development methodology At the Implementation level, It is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f champion manager executive supports, training and the relative advantage of innovation are the main factors. However, the complexity of Innovation is a megative factor about the quality of accepting and using the methodology In Innovation process. In performing the Innovation process, the Previous level gives very notable affection to the continuous next level. However it's also understood that positive attitude of adoption level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using Innovation. Therefore, IS managers must pay attention to manacle each level of the Innovation Process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 Implementation of IS methodology.

화병환자의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 on Hwa-Byung Patients)

  • 송승연;조현주;김상영;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53-158
    • /
    • 2012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s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can have on Hwa-byung patients. Methods : Ten Hwa-byung patients have participated in this 8-week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for Hwa-byung.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experiences from the changes during meditation or everyday life. Data were collected though a consumer panel and individual interviews. Responses were cod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Results : Th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7 domains and divided to 23 categories. Results show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specifically, positive cognitive changes, emotional stability, and changes in attitude. Also, all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 of anger management skill and feeling of tranquility. This means that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can relieve the symptoms of Hwa-byung. Conclusions :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makes changes about emotion, physical symptoms, cogni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This program can be applied to psychotherapy for Hwa-byung.

정보영재지도교사의 저작권 인식 조사 및 저작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The Information Gifted Teacher's Recognition and Developing the Copyright Education Program)

  • 한선관;김수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27-3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 지도교사들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저작권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제안한다. 우선 정보영재 지도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저작권 관련 지식과 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그룹간의 저작권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정의적, 심동적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보영재 교사 연수에서 저작권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내용을 토대로 정보영재 지도교사를 위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델파이 조사와 전문가 검증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영재교사연수에서 저작권 교육을 확산하고 정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귀추전략을 이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 김희연;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92-15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n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1 students(10 boys, 11 girls)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asked for questionnaires developed by researchers after 20 times of reframed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ave.=4.19) on sc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n questionnaires asking utility of the classes showed the students' positive reactions to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It was thought that the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components of utility, i.e., overall science(4.48), generating hypothesis(4.19), conceptual understanding(4.19), and meta-cognition(3.76).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improvement on the science classes. The components of improvement, i.e., creativity(4.19), concentration(4.29), transfer(3.76), comprehension(4.29) were perceived positively by students. Fourth,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sciences classes showed ave.=3.71. Last, students expressed satisfaction on the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and experienced a change of thinking about attitude toward science.

문제음주 대학생을 위한 사회인지이론 적용 절주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Moderate Drink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on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s)

  • 김수미;김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23-233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erate drink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on changes in the drinking habits of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68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s. Thes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a moderate drinking program in which social cognitive theory was applied. Changes in the cognition and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ere then investigated. Results: The moderate drink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jects' drinking-related knowledge (U=191.50, p<.001), enhancing their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t=8.02, p<.001), and changing their drinking-related attitudes (U=108.50, p<.001), drinking outcome expectancy (t=8.68, p<.001), amount of drinking in a single session ($x^2=25.72$, p<.001), number of drinking sessions per month ($x^2=10.05$, p=.006),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t=5.77,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nform a regular on-campus intervention programs for moderate drinking, and to implement education about moderate drinking,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drinking reduction.

터치스크린을 통한 접근-회피 경험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Get It Closer: Effect of the Approach-Avoidance Experience on Attitude through a Touchscreen Device)

  • 정유진;강현민;윤문선;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17-28
    • /
    • 2019
  • 현재 터치스크린은 핸드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활용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동작과 시각적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스크린이 제공하는 동작, 시각적 경험이 기존 행동-태도의 연합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은 특정 행동이 사람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고, 특히 접근-회피 행동은 다양한 방면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개인적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터치스크린에서의 동작은 접근-회피 경험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 행동이 사람들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실험1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과 접근-회피 행동을 연합시킨 후,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접근 드래그를 했던 제품이 회피 드래그를 했던 제품보다 선호도와 구매의향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는 행동을 배제한 접근-회피의 시각적 경험만을 제공하였을 때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접근했던 제품이 회피했던 제품보다 선호도와 구매의향 모두 동일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팔의 움직임(실험1)과 접근-회피 경험의 지각(실험2)이 사람들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혹은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디자인 설계에 사람들의 행동과 지각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제시한다.

학습능력검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 Through LAT(Learning Ability Test))

  • 서성원;김근호;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8-11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교육대상자의 학습 특성을 분석하여 선발 및 교육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학생들로써 기존의 영재교육기관 경험이 없는 기초과정 학생들의 학습능력검사(Learning Ability Test: LAT)를 통하여 반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표준점수를 통한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교육 대상자들은 어휘력, 추리력, 수리력에 있어서는 상위 2%이상, 또한 공간지각력에서는 상위10% 이상의 결과로 "학습능력" 차원에서 일반 학생에 비해 뛰어난 학습자로 판돤되었다. '학습활동'의 항목으로 설정한 기억력, 집중력, 실행력, 학습동기는 각각 62.05, 61.4, 62.5, 62.4로 백분위로 보았을 때, 기억력과 집중력은 상위12~14%, 실행력과 학습동기는 상위 10~11%에 해당하는 학습자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 학습자는 전반적으로 일반 학습자에 비해 '학습능력'과 '학습활동'이 뛰어난 학습자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학습능력'중 어휘력, 추리력, 수리력의 경우는 상위2~3%의 학습자로 영재교육 대상자 선정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볼수 있다. 다만 '학습능력'에 비하여 '학습활동'영역이 백분위로 보았을 때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재능은 많으나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단과 방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경우라고 유추할 수 있다.

  • PDF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