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fee bea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ffee Bean Treated by Coating of Ginseng Extract

  • Choi, Sang-Yoon;Hong, Hee-Do;Bae, Hye-Min;Choi, Chang-Sun;Kim, Kyung-Ta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36-441
    • /
    • 2011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coffee with different ratios of the ingredients: type of coffee bean (Colombia, Brazil, and Indonesia), type of ginseng extract (white ginseng, red ginseng, and America ginseng) and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3, 6, and 9 w/v %). The sensory optimal condition of white ginseng coffee, red ginseng coffee and America ginseng coffee were as follows: 3% Indonesian coffee bean coated with 3% white ginseng extract, Colombian coffee bean coated with 6% red ginseng extract and Colombian coffee bean coated with 3% American ginseng extract,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olombian coffee bean coated with 6% red ginseng extrac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other samples in terms of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 and total sugar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also highest in the Colombian coffee bean coated with 6% red ginseng extract.

커피생두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an Bread with Green Coffee Bean Powder)

  • 박진영;유승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reads prepared with 0, 3, 6, 9 and 12% green coffee bean powder. Fermentation rate of dough was reduced with increasing green coffee bean powder content. Volume, weight, and specific volume also decreased, whereas pH of bread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green coffee bean powder. As powder concentration increased, 'L' value of breads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of breads increased. The hardness of breads increased upon addition of green coffee bean powder, wherea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Chew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elevated by addition of green coffee bean powder. In the sensory evaluation, color, flavor and texture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The sample containing 3% green coffee bean powder had the highest taste score.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breads with 3% and 6% green coffee bean powder.

커피박과 목섬유를 이용한 중밀도섬유판의 제조 및 성능 평가 (Manufactu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edium-density Fiberboard Made with Coffee Bean Residue-Wood Fiber)

  • 양인;이광형;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93-3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분 흡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커피박을 첨가하여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한 다음 물성과 강도특성을 조사하여 커피박의 중밀도섬유판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커피박은 주로 인스턴트커피 제조 시 많이 발생하는 찌꺼기인데 가수분해된 것을 전건무게 기준 3, 6, 9% 수준에서 목섬유와 혼합해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접착제는 요소수지접착제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섞은 중밀도섬유판에 대해 물성과 강도 특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측정하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무작위로 섞어 제조한 중밀도섬유판의 휨강도와 박리강도는 모두 KS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박을 층으로 구성한 적층 성형구조 경우에는 모두 기준에 미달하였다. 제조된 중밀도섬유판의 흡수 두께팽창률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보다 낮아 물리적 특성 면에서 현저히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KS 기준상의 $E_1$급에 부합하였다. 이런 결과는 커피박이 친환경 중밀도섬유판 제조 시 원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밀도섬유판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접착제와 커피박 간의 상호 접착성 및 커피박의 흡착성능 향상을 위한 전환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반탄화에 의한 커피박 연료특성 (Fuel Properities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tion)

  • 오도건;김용현;손홍석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3호
    • /
    • pp.29-35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fuel characteristic change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tion. The calorific value was increased from 4,974 kcal/kg to 6,075 kcal/kg ($260^{\circ}C$, 30min), 6,452 kcal/kg ($270^{\circ}C$, 30min), 6,823 kcal/kg ($280^{\circ}C$, 30min), 6,970 kcal/kg ($260^{\circ}C$, 30min). The highest energy yield was obtained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80^{\circ}C$, 30min.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decreased from 5.12% to 2.76%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90^{\circ}C$, 30min. Lignin was increased from 11.33% to 14.39% on the condition of $260^{\circ}C$ 30min. But it did not preferability to torrefy spent coffee bean at temperature of more than $270^{\circ}C$ because lignin decreases to the level that is hard to make pelle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불량원두 검출 시스템 (Detection of Coffee Bean Defect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김호중;조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6-319
    • /
    • 2014
  • 전 세계적으로 커피시장이 커짐에 따라서 커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또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사람들의 입맛이 더욱 고급스러워지고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커피 원두가 중요시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불량원두를 사람이 직접 보고 검출을 하고 있는데, 이는 커피 원두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가 있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불량원두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불량 원두의 종류 중 큰 비율을 차지하는 원두의 모양과 Insect Damage에 대한 불량 검출에 중점을 두었다. 기계학습의 방법으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사용하였고, 원두의 모양을 검출할 신경망과 Insect Damage를 검출할 신경망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 Insect Damage에 대한 불량을 검출할 때에는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길게 하여 원두의 어두운 구멍을 더 돋보이게 하여 데이터를 만들어 신경망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의 개발로 인하여 사람이 직접 불량 원두를 검출하는 작업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고, 현재는 원두의 모양과 Insect Damage의 유무만을 중점으로 검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에 다른 여러 가지의 불량에 대해 검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경도비만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과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Mildly Obese Women)

  • 김태수;양웅석;박소이;이성표;강명화;이재환;박일범;박현준;무라이 히로미치;오카다 타다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3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performed joint anim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between Yonsei University and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d. We have shown that coffee bean extract has potent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activities as well as beneficial effects on body fat reduction.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ffee bean extract (100 mg/capsule) on body fat reduction were evaluated i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of 25~30 $kg/m^2$ or body fat > 30%) not diagnosed with any type of disea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ffee bean extract group (n=10) or placebo group (n=10).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bdominal fat distribu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blood components befor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supplementatio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body weight (p=0.08), body mass index (p=0.06), hip circumference (p<0.05), and upper waist circumference (p< 0.01). In addition, after 8 weeks,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bdominal internal fat area compared to 0 weeks (0 weeks : $155.8cm^2$; 8 weeks : $145.9cm^2$, ${\Delta}$ change : $-9.9cm^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pid profiles or serolog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results of our human study demonstrated that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for 8 weeks has beneficial effects on reducing abdominal internal fat area as well as hip and waist circumferences.

A Study of Compound Changes in Coffee Beans by Different Roasting Condition

  • Lee, Jae Chul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diverse compound in coffee bean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Four different kind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phenolic contents, flavonoid content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coffee roasting, this study categorized green bean, extract A ($191^{\circ}C$), B ($202^{\circ}C$), C ($220^{\circ}C$), and D ($233^{\circ}C$). As a result, total phenol compound showed low level of total phenol compound at lower temperatures. Extract 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otal flavonoid ($111.33{\pm}10.14$), green bean showed $83.67{\pm}2.43$, Extract B $46.11{\pm}2.38$, C and D showed $31.44{\pm}0.12$, $19.22{\pm}0.46$ respectively. Green bean showed higher level of chlorogenic acid ($64.47{\pm}0.51$), Extract A ($39.66{\pm}0.47$), extract B ($12.45{\pm}0.99$), C, D ($3.59{\pm}0.31$, $0.63{\pm}0.12$) respectively. This study also no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t in terms of caffeine content. Extract A has higher level of caffeine content ($38.45{\pm}1.70$) significantly, green bean ($27.14{\pm}2.27$), extract B ($18.95{\pm}0.64$), extract C ($17.89{\pm}0.96$). As a conclusion, we revealed that roasting con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coffee compounds.

유산균 발효 생두를 이용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spresso Coffee Prepared with Green Bean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동호;연수지;장금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99-18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생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품질 및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45를 이용하여 10, 20, 30%(w/v) 함량의 커피 생두를 $37^{\circ}C$에서 0, 12, 24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그리고 발효된 커피 생두를 건조한 다음 로스팅 및 분쇄하여 얻은 커피 분말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여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갈색도, 색도, 항산화 활성 및 관능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발효 중 유산균수의 변화는 발효를 위한 생두의 함량과 유산균 발효시간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시간이 증가할수록 발효 생두를 이용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pH 및 색도(L*, a*, b* 값)는 감소했지만, 총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갈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생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에스프레소 커피의 pH는 감소한 반면 총산도는 증가하였고, 색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갈색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발효시간 및 발효 생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모두 증가하였으며, 관능특성으로 맛, 색,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EFB30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 생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상호 비교하고 관능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유산균 발효를 통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품질 및 기능성 효과 향상 가능성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원두 커피,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Quality Attributes of Bean Coffee and Instant Coffee for the Koreans and the Mongolians)

  • 조미나;벌러르에르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1-23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한국인과 몽골인이 원두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 품질 중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품질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2년 4월 16일부터 5월 12일까지 한국의 서울, 경기 지역과 몽골의 울란바타르시의 20-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각 253부, 250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으로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IPA를 실시하였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원두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커피의 맛, 향기, 양, 가격, 위생, 신선도, 유통기한 등은 한국인이 몽골인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커피의 영양, 성분표시에 대해서는 몽골인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몽골인이 한국인보다 커피의 가격, 영양, 온도, 성분표시 등에 대해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인은 몽골인보다 커피의 양, 가격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몽골인은 커피의 영양, 온도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몽골인이 한국인보다 커피의 영양, 온도, 다양성, 신선도 등의 수행도에 대하여 더 높게 평가하였다.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원두 커피 품질 속성에 대하여 한국인은 '커피의 가격', '유통기한', 몽골인은 '커피의 영양', '커피의 위생', '성분표시'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인스턴트 커피 품질 속성 중에서 한국인은 '커피의 위생', '커피의 농도', 몽골인은 '커피의 농도', '성분표시'를 중요 관리점이라 하였다.

  • PDF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 효과 (Antioxidant, Anti-wrinkl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ffee Grounds Extract from Dutch Coffee)

  • 박수인;김아름;김선화;안규민;김민기;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8-1047
    • /
    • 2018
  • 본 연구는 저온, 상압, 긴 시간에 추출되는 더치 coffee grounds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고압, 짧은 시간에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와 비교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저자들은 더치 coffee grounds의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의 경우 $90.39{\pm}0.04mg/g$$64.96{\pm}0.38mg/g$의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참고로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s 추출물은 $113.63{\pm}0.22mg/g$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능 결과에서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 추출물에 대하여,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이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 보다 좋은 소거능이 제시되었다. Elast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 결과에서 원두 coffee bean 추출물을 기준으로,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이 에스프레소 coffee grounds 추출물 보다 높은 저해능을 나타냈다. 또한 항균 활성 측정 결과에서는 더치 coffee grounds 추출물은 Escherichia coli, Bacillus,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준물질인 원두 coffee bean 추출물과 clear zone 크기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더치 coffee grounds의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