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 protei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5초

해수의 포말분리시 공기분산기 기공크기 영향 (Effect of Air Distributor Pore Size in Foam Separator of Sea Water)

  • 서근학;김병진;이정훈;임준혁;이경범;김용하;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4-262
    • /
    • 2003
  • Effect of the air distributor pore size for the removal of aquacultural waste, such as protein, total suspended solids (T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turbidity and total ammonia nitrogen (TAN) from sea water was investigated by using foam separator. With the increase of pore size of air distributor, removal rates and efficiency of protein decreased. Removal rate by commercial air stone was in the range between the removal rates by G2 and G4 sintered glass discs. Within the range of pore size distributor from Gl to G4, the removal efficiency of protein were ranged from 21 to $42\%.$ The changes of removal rates and efficiencies of TSS, COD and turbidity were similar to proteins. TAN was removed by stripping. The pore size of air distributor for a higher overall oxygen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saturation efficiency provided the condition for higher protein removal rate. Also the foam separator could be used as an aerator.

쌀보리 알콜발효 증류폐액으로부터 균체 단백질 생산을 위한 내열성 효모, Candida rugosa의 이용 (Application of Therrnotolerant Yeast, Candida rugosa for the Production of Yeast Protein from Rye Stillages)

  • 김영근;이기영;이용익;김만근;이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1-287
    • /
    • 1993
  • Rye stillage was adopted as a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yeast biomass by a thermotolerant yeast Candida rugosa isolated from East Africa. In the batch fermentation, the yield of biomass and crude protein reached 4.9-8.4g/l and 2.2-3.5g/l, respectively, the rate of COD reduction was about 20%. Over 90% amount of main components such as glycerol and lactic acid were assimilated, but protein assimilation reached only to 38-45% of the initial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dry yeast biomass produced was 42-47%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 was revealed as limiting essential amino acid.

  • PDF

사료의 단백질 및 에너지 함량이 쥐노래미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on Growth in Fat Cod (Hexagrammos otakii Jordan et Starks))

  • 이종관;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4-473
    • /
    • 1996
  • 쥐노래미의 단백질 요구량을 조사하기 위해 카제인과 북양어분을 단백질원으로 하여,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30, 40, 50, $60\%$가 되도록 조정한 4종의 실험사료와 사료의 적정 에너지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가용에너지/단백질 (EP) 비가 9, 10, 11, 12인 4종의 실험 사료를 각각 설계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29g 전후의 쥐노래미를 2개월간 사료의 단백질 함량별로 2반복으로 사육 실험한 결과, 증체율 및 사료효율은 모두 단백질 $50\%$ 사료에서 가장 좋았고, 단백질 $60\%$ 사료에서 성장효과는 오히려 감소하여 4개 실험구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수학적인 방법으로 이차회귀곡선상에서 증체율을 지표로 하여 단백질요구량을 추정한 결과 최대 단백질 요구량이 $45\%$로 나타났다. 일일사료섭취율은 실험구간에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섭취율은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효율은 사료 단백질 함량이 증가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가장 성장이 좋았던 실험구의 일일단백질섭취율이 어체중 100g 당 1.7g 이였으며, 이차회귀곡선상에서는 일일단백질 요구량이 어체중 100g당 1.5g으로 나타났다. 전어체의 수분함량은 사료 단백질 함량 $40\~60\%$구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단백질 $30\%$구는 $40\%$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지질 함량은 단백질 $30\%$ 실험구가 가장 높았고, $40\%$ 실험구가 가장 낮았다(P<0.05) E/P 비가 다른 사료로 사육 실험한 결과, 증체율, 사료효율 및 단백질효율이 E/P 비가 12인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사료의 에너지 함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지질 함량은 에너지가 높은 사료인 E/P 비 11과 12 사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평균체중 100g 이하의 성장기 쥐노래미의 단백질 요구량은 $45\~50\%$, 일일단백질 요구량은 어체중 100g 당 $1.5\~1.7g$으로 추정되며, 쥐노래미 사료의 적정 E/P 비는 12 전후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품가공공장 폐수의 미생물학적 처리 및 응용 -미생물 균체단백질 회수-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in Treating Food Processing Wastes -Recovery of Mycelial Proteins-)

  • 조성환;최종덕;이상열;기우경;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424-434
    • /
    • 1989
  • 식품공장 폐수에는 각종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식품공장 폐기물의 미생물학적 처리효과를 검토하는 동시에 폐수 중에서 배양된 곰팡이 균체 단백질을 분리 회수함으로 해서 폐수처리비용을 절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균체단백사료를 개발할 목적으로 식품공장 폐수의 BOD 및 COD를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고 증식속도가 빠르며 균체수율이 높고 고농도의 단백질을 함유하며 소화율이 높은 균체를 생산할 수 있는 곰팡이로 Aspergillus fumigatus를 분리 선발하였고, 선발된 균주의 최적배양조건인 $35{\sim}40^{circ}C,\;pH\;4.0{\sim}4.5$에서 pilot plant의 연속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주정공장 폐수를 기질로 하여 일정시간 동안 배양하여 폐수의 BOD, COD를 90% 이상 감소시켜 폐수정화를 도모할 수 있었으며 균체단백질을 기준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실시한 동물사양 시험 결과, 사양동물의 체중증가량과 단백질 이용율이 대조표준 시험구에 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

대구고니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로부터 항산화성 펩타이드의 분리${\cdot}$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Teiset Protein)

  • 김세권;최영일;박표잠;최정호;문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00
  • 수산가공공장에서 원료어 처리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비가식부의 하나인 대구의 고니부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시킨 후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으며, 이들 가수분해물 중 항산화활성이 뛰어난 펩타이드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다.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시켜 얻은 가수분해물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Alcalase로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5{\%}$정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 10 kDa, 5 kDa 및 1 kDa의 세 종류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1 kDa의 막을 통과하여 분리된 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10{\%}$정도 높았다. 이 획분으로 Spsephadex C-25를 사용하여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한 결과, $0.5{\~}1.0 M$ NaCl 용액으로 용출시 킨 분획물에 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17{\%}$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을 다시 Sephadex G-15로 겔여과하여 3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이 중 획분 II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45{\%}$가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획분을 얻었다. 이것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5차의 획분을 얻었으며, 항산화활성은 획분 A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53{\%}$정도 높게 나타나 가장 우수하였다. 이 획분을 capillary electrophoresis로 순도를 확인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 결과 Ser-Asn-Pro-Glu-Trp-Ser-Trp-Asn였다.

  • PDF

갑오징어갑 칼슘을 이용한 Surimi 가공폐수로부터 단백질의 회수 (Recovery of a High Molecular Soluble Protein from Surimi Wastewater Using Calcium Powder of Cuttle Bone)

  • 김진수;조문래;허민수;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0-87
    • /
    • 2003
  • 수산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과 수산가공 폐수 유래 수용성 단백질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 칼슘제 (이하 칼슘제)를 이용한 surimi의 가공폐수로부터 고분자 수용성 단백질의 분리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분리된 고분자 수용성단백질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총질소, pH, COD, 탁도 및 수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surimi의 가공폐수로부터 수용성 단백질의 회수를 위한 칼슘제의 최적 처리농도는 $1.0\%$로 판단되었다. SDS-PACE의 결과 칼슘제 처리에 의해 대부분의 고분자화합물 만이 회수되었고, 저분자 화합물의 잔존으로 COD는 높아 칼슘제 처리에 의한 폐수처리 효과는 미미하여 열처리 등의 병행처리가 있어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회수 단백질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78.4\%,$ 단백질이 $14.1\%,$ 지방이 $1.0\%,$ 회분이 $5.7\%$를 나타내었고, 시판 surimi와 비교하였을 때 회분이 높았으나, 기타 성분의 경우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회수 단백질의 백석도는 시판 surimi보다 높았으며, 구성아미노산의 조성도 유사하였다. 시판 surimi에 대하여 회수 단백질을 $5\%$ 대체하여 어묵을 제조한 결과 관능적으로 백색도 및 조직감에서 차이가 인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칼슘제 처리에 의해 수산가 공폐수로부터 회수한 단백질의 경우 어묵의 증량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Differential Effects of Cod Proteins and Tuna Proteins on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in Rats Fed Non-Cholesterol- and Cholesterol-Containing Diets

  • Hosomi, Ryota;Maeda, Hayato;Ikeda, Yuki;Toda, Yuko;Yoshida, Munehiro;Fukunaga, Kenj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90-99
    • /
    • 2017
  • Fish muscles are classified into white and red muscl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wo fish muscles have many differences. Few reports have assessed the health-promoting functions of white fish muscle proteins (WFP) and red fish muscle proteins (RFP). We therefore evalua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lteration of lipid profiles and cholesterol metabolism following the intake of WFP prepared from cod and RFP prepared from light muscles of tuna. Male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six dietary groups: casein (23%), WFP (23%), and RFP (23%), with or without 0.5% cholesterol and 0.1% sodium cholate. Compared to the WFP-containing diet, the RFP-containing diet supplemented with cholesterol and sodium cholate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and liver cholesterol contents. However, in the RFP groups, an alteration in cholesterol metabolism including an increased tendency to excrete fecal sterols and hepatic cholesterol $7{\alpha}$-hydroxylase wa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hepatic cholesterol contents. This phenomenon might be related to the tendency of an increased food intake in RFP-containing diet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WFP and RFP on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of Wistar rats fed non-cholesterol- or cholesterol-containing diets under no fasting condition.

대구뼈로부터 젤라틴의 추출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latin from the Bone of Cod, Gadus macrocephalus)

  • 김세권;전유진;이병조;이창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26
    • /
    • 1996
  •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fish(Cod, Gadus macrocephalus) bone obtained as fish waste in fish manufactory, the preparation of the fish bone gelatin were attempted by heat extracting method from collagen protein contained in the fish bone. The methods of two kinds pretreatments (the B-type by alkali pretreatment and the E-type by enzyme pretreatment) for fish bone and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o prepare gelatin from pretreated fish bone were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two type fish bone gelatin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gelatin and the fish skin gelatin.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B-type and the E-type gelatins were 5 folds of added water with material(w/w), pH 5.0, 3 hrs of extraction time and 60$\circ$C of extraction temperature. The yield of the B-type and the E-type gelatins were 32.6% and 28.1 %, respectively. The B-type gelatin was superior to the E-type un all physical properties. Molecular weight of the B-typ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E-type due to its pretreatment method. Among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the amino acids such as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and imino acids(proline and hydroxyproline) were responsible for 68$\sim$70% of the total amino acids. Functionalities of the fish bone gelatin were almost similar to commercial gelatin.

  • PDF

EROD-microbioassay에 의한 원천천 상류지역 수질조사 (Water Quality Monitoring of the upper region of Wonchun stream using EROD-microbioassay)

  • 고성룡;정규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5-10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water quality of the upper region of Wonchun stream located in Suwon city by chemical analysis and EROD-microbioassay methods using rat hepatoma cell line H4IIE. Th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ampling sites from sept. to Nov. 1999 and determined the quantitative toxic effects. Higher levels of BO $D_{5}$, CO $D_{Cr}$ and CO $D_{Mn}$ were determined at M6 site where the influent contain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EROD activity of water samples was ranged from 3.43$\pm$0.08 to 9.05$\pm$0.10 pmol/mg protein/min. High correlation with EROD activities and COD values was observed. From the results, the upper region of Wonchun stream water area was presumed to be highly polluted with various persistent organic chemicals.s.

  • PDF

유용성 물질의 분리를 위한 두부순물의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of Soybean Curd Whey for the Separ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 서성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7-513
    • /
    • 1997
  • 두부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 물질을 분리·농축하고자 한외여과법을 행하고 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재생섬유소막과 polysulphone막 모두 pH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속도가 감소하였고, pH 3.5에서 한외여과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DTA를 0.01 M 처리한 두부순물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오히려 막투과 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pH가 증가할수록 두부순물의 이온성 칼슘의 농도가 감소하여 이온성 칼슘의 농도 또한 막투과 속도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었다. Polysulphone막의 경우 용적농축비가 10일 때 COD의 막 제거계수가 79.25%, 단백질 막 제거계수가 98.42%로 나타나 정화효과와 농축액으로의 단백질 농축효과가 컸으며 , 재생섬유소막은 단백질의 막제거 계수는 polysulphone막보다 낮았으나 당을 여과액쪽으로 회수하고자 할 때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고당을 여과액쪽으로 회수하고자 할 때 라피노오스와 스타키오스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해서 polysulphone막보다 재생섬유소막이 더 적당하며, 용적농축비는 4배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