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ting syrup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집청액 종류를 달리한 구운 강정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Gangjung with Various Coating Syrups)

  • 이보배;김진숙;김기창;김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74-58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sweetness, col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baked Gangjung prepared using different coating syrups (maltose syrup, oligosaccharide, rice syrup, and maltitol syrup).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3.22~3.28% in baked Gangjung prepared with maltose syrup, oligosaccharide, or rice syrup, while that prepared using maltitol syrup had 2.61%. Crude ash was the highest when rice syrup was used (1.08%), and the lowest when maltose syrup or oligosaccharide was used (0.64% and 0.68%, respectively). The sweetness of the baked Gangjung was the highest in the rice syrup group, at $70.07^{\circ}Brix$, and lowest in the maltose syrup group, at $33.5^{\circ}Brix$ (p<0.05). The hardness of the Gangjung prepared with the different coating syrups was the highest for the grain syrup (1.42), followed by the oligosaccharide group at 0.96, maltose syrup (0.40), and maltitol syrup (0.35) (p<0.05). The number of peaks and the indirect measure of crispness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the rice syrup group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ues in the other groups. Lightness was in the range of 63.26~73.04 depending on the coating syrup, decreasing from the oligosaccharide to the maltitol, rice syrup, and then to the maltose syrup group (p<0.05). The a-value was the highest for the maltose and rice syrup groups at 10.69 and 10.38, respectively (p<0.05), and the b-value showed the same trend. Baked Gangjung showed the highest scores for color,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when prepared using maltitol syrup.

구기자의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집청액이 유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ting Syrup with Water-Soluble Extracts of Gugija(Lycii fruc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 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0-486
    • /
    • 2008
  • 구기자의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시럽에 집청한 유과(YU-G)를 제조하여 PE 필름 봉지에 넣고 함기 포장한 후 상온에서 12주간 저장하면서 유과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YU-G는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시럽에 집청한 유과(YU-NG)에 비해 수분함량은 높았고 기계적 경도는 낮았다. 저장시 YU-NG와 YU-G의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상온 저장 시 유과의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증가하였으며, YU-G는 YUNG에 비해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낮았다. 12주 저장 후 YU-G 의 과산화물가는 식품공전 기준치인 40 meq/kg 보다 낮았고 산가는 식품공전기준치인 4 KOH mg/g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YU-NG의 과산화물가는 6주 저장 후, 산가는 10주 저장 후 식품공전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유과의 관능검사 결과, YU-G는 YU-NG보다 저장하는 동안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았다.

피막제(皮膜劑) 처리에 의한 과실(果實) 가공품(加工品)의 저장(貯藏)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orage of Processed Fruits by Coating Agent Treatment)

  • 윤정의;이상건;허윤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8
    • /
    • 1983
  • 사과를 당저림과 넥타 겔로 가공한 후 피막제를 처리하여 저장 조건에 따른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고 갈변 현상, 곰팡이의 발생을 실험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체에 무해하고 중량 감소, 갈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피막제의 구성은 sucrose, D-sorbitol, corn syrup, gelatin, arabia gum, citric acid, sodium citrate, sodium ascorbate가 효과적이었다. 2. 사과 당저림은 피막제 처리한 것을 포장하여 냉장고에서 저장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3. 사과 넥타 겔은 피막제 처리한 것을 이중(二重) 포장하여 냉동하는 것이 중량 감소에 의한 수축, 갈변 현상,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 PDF

오븐가열 및 땅콩첨가 제조방법이 구운 약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fried Yackwa according to the methods of baked-in-oven and peanut addition)

  • 장소영;이민경;이숙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4-440
    • /
    • 2007
  • Yackwa is used as one of foods prepared for traditional rituals and holidays and enjoyed as snacks. Since Yackwas are fried, they contain oil, which can cause rancidity and undermines the freshness of Yackwas during distribution to retailers, not to mention a high level of calories. The study aims to develop baked Yackwas and analyze the quality in terms of calorie levels and characteristics by baking Yackwas in oven. Calorie level was 4.65 kcal/g in fried Yackwa, 3.96 kcal/g in baked Yackwa, and 2.95 kcal/g in baked peanut Yackwa prior to dip coating of grain syrup. baked Yackwa showed hardness of 13476.33 $g/cm^2$ before dipping in grain syrup, which was harder than 1912.56 $g/cm^2$ of fried Yackwa. After grain syrup coating, hardness of baked Yackwa reduced more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fried Yackwa, as grain syrup permeated through texture of Yackwa. And less hardness makes baked Yackwa tastier. Sensory evaluation was measured in a 5-point scale. Scores for texture and taste of baked Yackwa outpaced those of fried Yackwa. Score for the overall quality was 3.65 in baked Yackwa and 3.25 in baked peanut Yackwa, compared to 2.85 of fried Yackwa, indicating a higher potential of commercializing(p<0.05).

유과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항산화제 첨가의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Shelf-life of Yukwa)

  • 금준석;이용환;안용식;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0-72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전통한과인 유과의 가공방법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장 중 황산화제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 동안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과를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색을 측정한 결과 백색도(L)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하거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경우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텍스쳐에 있어서 상관성을 보이는 경도와 씹힘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산패의 지표인 과산화물가는 YOP1 및 YOP2 처리구는 저장 12주까지 식품위생규격 및 전통식품표준규격에서 정한 한과류에 대한 기준치인 40이하로 측정되었다 포장방법별로 2주에서 12주까지 저장하면서 유과에 함유된 지방성분 중 지방산을 측정해 본 결과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초기의 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 11.3%, stearic acid 4.6%, oleic acid 23.4%, linoleic acid 54.2%, linolenic acid 6.5%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Electronic nose를 이용하여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향기특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8주부터 10주까지는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차이가 적었다. 저장 중 유과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적 특성(Yukwa odor, rancid odor)과 전자코(electronic nose) 측정치간의 비교에서 전자코 측정치에서도 향기특성이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관능적 평가 결과와 기계적 특성치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밤(Castanea pubinervis schneid) 가공(加工)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 밤의 가공(加工) 적성(適性) 및 유색(有色) 가공품(加工品) 개발(開發)을 중심(中心)으로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hestnut (Castanea pubinervis Schneid) Part 1. Trials on the Raw Material Adaptability for Processing and Colored Products Development)

  • 서기봉;한판주;이성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8-108
    • /
    • 1974
  • 밤가공품(加工品)의 개발(開發) 및 이의 공업화(工業化) 가능성(可能性)을 연구(硏究)하기 위(爲)하여 밤의 품종(品種) "단택", "축파"를 포함(包含)한 14개종(個種)과 장기저장(長期貯藏)밤에 대(對)한 가공적성(加工適性)을 검토(檢討)하는 한편 실용적(實用的)인 유색가공품(有色加工品)의 가공방법(加工方法)에 대(對)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원료(原料)밤의 개체종(個體種)의 범위(範圍)는 $11{\sim}18g$로서 일본(日本)밤의 $15{\sim}37g$에 비(比)하면 적은 편이며 밤의 크기가 $25{\sim}30g$가 좋은 것으로 되어있는 Marronglaces의 제조(製造)에는 적합(適合)치 못하였다. 과육변색(果肉變色)의 주요소(主要素)인 tannin에 의(依)한 발색현상(發色現象)은 품종별(品種別)로 다르며 "축파", "유마" 등(等)이 가장 심(甚)하고 "다압B"같은 품종(品種)은 거의 발색(發色)치 않아 감로자(甘露煮) 등(等)의 가공(加工)에 적합(適合)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나) 밤전분(澱粉)의 성상(性狀)도 품종별(品種別)로 약간씩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감자전분(澱粉)에 비(比)하면 입자(粒子)의 크기가 $1/4{\sim}1/9$정도(程度)이고 호화온도(糊化溫度)는 감자전분(澱粉) $67^{\circ}C$에 비(比)하여 밤전분(澱粉)은 $73^{\circ}C$로서 높은 편(便)이었다. 밤과육(果肉)의 외곽(外郭)에는 무전분층(無澱粉層)이 있으며 이것이 가공도중(加工途中) 층리현상(層離現象)을 가져와 외관(外觀)을 손상(損傷)케 하고 설탕 syrup통조림의 경우 즙액(汁液)을 혼탁(混濁)케 할 우려(憂慮)가 있다. 한편 장기저장(長期貯藏)밤은 무전분층(無澱粉層)이 중앙(中央)에 형성(形成)되고 외곽(外郭)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하게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전술(前述)한 층리현상(層離現象)은 심(甚)하지 않았다. 다) 유색제품(有色製品)을 위(爲)한 박피방법(剝皮方法)으로서는 열(熱)에 의(依)한 배초방식(焙焦方式)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batch 처리(處理)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은 밤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밤의 개체종(個體種) 평균(平均) 11.7g 및 23.3g의 것으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배초소요시간(焙焦所要時間)이 각각(各各) 1분(分) 50초(秒) 및 3분(分) 10초(秒)가 소요(所要)되었다. 박피가능률(剝皮可能率)은 적은 것이 100%, 큰 것이 98.5%였으며 저장(貯藏)밤과 수확후(收穫後)의 밤의 박피능률(剝皮能率)에는 약(約) 20%의 차(差)가 있었으며 저장(貯藏)밤의 경우가 어려웠다. 라) 단위시간당(單位時間當) 배초처리능력(焙焦處理能力)은 배초처리진동식(焙焦處理振動飾)의 반경(半徑)의 자승(自乘)에 비례(比例)하며 그 처리능력(處理能力) y와 진동식(振動飾)의 반경(半徑) x와의 사이에는 $y=2.45(x-4)^2$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며 동일기계(同一機械)로서 진동식(振動飾)의 반경(半徑)만 조절(調節)하면 그 능력(能力)의 신축성(伸縮性)이 비교적(比較的)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