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ipping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4초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Paraclinoid Aneurysm in Ruptured Cerebral Aneurysms

  • Hideaki Shigematsu;Kazuma Yokota;Akihiro Hirayama;Takatoshi Sorimach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1호
    • /
    • pp.22-30
    • /
    • 2024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araclinoid aneurysms among ruptured cerebral aneurysms and compare paraclinoid aneurysms with other aneurys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ruptured paraclinoid aneurysm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970 ruptured cerebral aneurysms treated at our hospital between 2003 and 2020. Results : There were 15 cases (1.3%) of paraclinoid aneurysms with maximum diameters of 5-22 mm (mean±standard deviation [SD], 11.6±5.4 mm). Treatment consisted of clipping in four patients and endovascular treatment in 11. Factor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paraclinoid aneurysms compared with those for other aneurysms were a history of hypertension (odds ratio [OR], 1.2-9.8; p=0.021) and aneurysm ≥10 mm (OR, 7.5-390.3; p<0.001). The sites of paraclinoid aneurysm were ophthalmic artery type in nine patients, anterior wall type in five, medial wall type in one, and ventral wall type in zero. The medial wall type (22 mm)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ophthalmic artery type (mean±SD, 7.2±2.0 mm) (p=0.003), and the anterior wall type (mean±SD, 12.2±4.8 mm)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ophthalmic artery type (p=0.024).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a low frequency of paraclinoid aneurysms among ruptured cerebral aneurysms. Most were upward-facing with relatively large aneurysms, and no aneurysms were smaller than 5 mm. With recent advances in endovascular treatment devices, paraclinoid aneurysms are easily treatable. However, the treatment indication of each paraclinoid aneurysm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다한증 환자에서 클립을 이용한 교감신경 교통가지 차단술 -사체 연구 및 임상적용-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ympathetic Ramus Clipping in Essential Hyperhidrosis -Cadaver Fitting Test and Clinical Application)

  • 이성호;조성준;정재승;김태식;손호성;선경;김광택;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95-601
    • /
    • 2003
  • 다한증 환자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흉강경 최소절개를 이용한 교감신경 차단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발생하는 보상성 다한증과 무한증이 수술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환자에게 적극적인 수술 적응을 하기가 어렵다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교감신경의 선택적인 교통가지 차단술을 시행하였으나 시술의 어려움과 혈관 손상으로 인한 출혈의 위험성으로 보편화되지 못하였다. 본원에서는 사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수술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포르말린 처리를 하기 전 사체 3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앙와위에서 전흉부를 모두 절제한 후 양측 흉부 교감신경을 노출시켰다. 교감신경의 분지와 교통가지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2번째와 3번째 교통가지에 클립을 이용한차단술을 시행하였다. 교통가지 차단술 후 교감신경절을 포함한 교감신경을 절제하여 교통가지의 차단 정도를 관찰하였다. 임상적용은 25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1세였다. 수술은 전신마취와 양측 페 환기를 하고 반 좌위 자세에서 시행하였다 4번째 늑간에 2 mm 흉강경을 삽입하였고 겨드랑이에 5 mm 트로카를 삽입하고 내시경용 클립을 이용하여 2번째와 3번째 교감 신경절 교통가지를 차단하였다. 수술 후 전화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합병증의 유무, 만족도,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사체 3구에서 모두 교감신경 교통가지의 차단을 완벽하게 시행할 수 있었다 임상환자에서 모두 수술로 증세의 호전이 있었으며 기존의 교통가지 절제술에 비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모든 환자에서 호전되었으나 4명의 환자는 수술의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보상성 다한증은 15명의 환자(60%)에서 중증 이상으로 발생하였고 6명의 환자는 없거나 잘 느끼지 못하는 정도로 발생하였다. 미각다한증은 2명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나 정도는 심하지 않았다 걸론: 본 연구의 수술방법은 2개의 피부 절개와 하모닉 스칼펠, 클립을 사용하여 쉽게 교감신경의 교통가지를 차단할 수 있었고 교통가지 절제술에 비하여 수술시간 및 출혈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감신경 절제술에 비하여 비슷한 정도의 수술 성공률을 보이면서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나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우수한 수술 방법이라 생각한다.

임해 간척지에서 모래상토 층에 모세관수 차단 층의 도입이 염류 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illary Rise Interruption Layer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pratensis L.)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Established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한국잔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잔디학회 2011년도 제2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8
    • /
    • 2011
  • 본 연구는 임해 간척지와 염분의 농도가 높은 관수조건에서 모세관수의 차단층이 염류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생육지반으로는 표토 30cm, 차단층 20cm가 10cm 두께의 간척지 토양위에 조성되었다. 표토로는 태안군 부남 호에서 준설된 모래가 사용되었으며 유기물은 부피비 5%로 혼합되었다. 30cm 직경의 PVC 주름관을 절단하여 지반구조 용기가 제작되었고 바닥은 PVC망사를 이용하여 토양의 이동을 차단하였다. 용기는 5cm 깊이의 저수조에 설치되었으며 저수조에는 $3-5dsm^{-1}$ 염도의 희석 바닷물이 채워졌다. 켄터키블루그래스는 뗏장을 사용하여 조성되었으며 $2Sm^{-1}$로 희석된 바닷물이 관수원으로 사용 되었고 일평균 5.7mm의 관수가 3일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차단층을 생략한 지반은 봄철에 염분의 집적이 최대를 보여 토양전기전도도가 $5.4dSm^{-1}$에 달하였으며 SAR은 34.0을 보였고 차단층설치구의 토양전기전도도 인 $4.6dSm^{-1}$과 SAR 8.24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염의 집적을 보였다. 차단층의 소재별 차이를 볼 때 콩자갈과 조사의 사용 시 토양중 Na농도가 가각 16%와 25% 감소하였고 토양전도도는 7%와 13%감소하였다. 차단층 처리구의 켄터키부루그래스 품질은 평균 가시적 평가 8.3을 보여 차단층을 생략한 처리구의 평균 가시적 평가 7.9 보다 높았다.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 소재는 차단층을 생략한 경우에 비해 켄터키블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을 각각 4.1%, 4.0% 증가 시켰으며, 뿌리의 길이를 50%와 38%, 뿌리의 건중을 35%와 17% 증가 시켰다. 상토층의 Na 함량도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에 의해 각각 16%와 25% 감소하였으며 토양 전기전도도도 7%와 13% 감소하였다.

  • PDF

토양의 종류와 답압이 켄터키블루그래스 토양층에서 질소용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otzone Mix and Compaction on Nitrogen Leaching in Kentucky bluegrass)

  • 이상국;케빈 프랭크;제임스 크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49
    • /
    • 2010
  • 환경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는 질소의 용탈에 관한 문제는 수많은 연구를 통해 그 결과를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질소의 토양내 용탈에 관해서 이루어진 반면에 토양의 답압과 토양의 종류에 따라 질소의 용탈 정도에 관한 연구는 그 결과를 문헌에서 찾아 보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토양의 종류와 답압의 정도가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토양에 잔류된 질소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질소는 총 147 kg $ha^{-1}$이 12주 동안 3회에 걸쳐 나누어 시비되었다. 토양의 종류는 성분비율에 따라 76.0:24.0, 80.8:19.2, 87.0:13.0 그리고 93.7:6.3% (sand:soil)의 4가지로 구성이 되었다. 토양은 PVC 파이프에 30 cm 깊이로 조성이 되었으며 토양층 밑에 5 cm의 자갈층으로 구성되었다. PVC 파이프 밑부분의 구멍을 통해 질소용탈수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질소외 영양성분을 위해 Hoagland solution에서 질소만 제외하여 사용되었다.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질과 예초량이 매주 측정이 되었으며 예초물은 건물량 측정을 위해 예초후 67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질소용탈수는 매주 PVC 파이프의 밑부분을 통해 매주 수집이 되었다. 6.1 J $cm^{-2}$ 이상의 답압에너지는 더 많은 표면배수의 가능성을 야기 시킬 수 있다. 3.0과 6.1 J $cm^{-2}$ 사이의 답압에너지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더 많은 건물량이 측정이 되었고 적은 질소가 용탈이 되었다.

경남지방에서 조사료 주년생산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Cultivation of Forage Crops in Gyeongnam Province)

  • 강달순;김대호;신현열;손길만;노치웅;김정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52
    • /
    • 2009
  •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에서 하계작물에서는 수수${\times}$수단그리스 교잡종이 청예수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옥수수이었으며, 건물수량은 옥수수>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수수>귀리의 순이었다. 작부체계에서 동계작물의 종류가 하계작물의 청에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있었다. 동계작물들의 청에 및 건물 생산량은 5월 중순 예취시 귀리가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탈리안 라이그라스>호밀>청보리의 순이었다. 앞작물로 재배된 하계작물의 종류가 동계작물의 청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였다. 하계작물의 사료가치는 귀리가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ADF는 수수, 그리고 NDF는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다소 높았다. 또한 옥수수가 RFV와 TDN이 가장 많았다.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은 귀리가 가장 높았으나, ADF와 NDF 등의 섬유소 함량은 작물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FV는 호밀과 트리티케일에서 높았으며, 귀리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TDN 함량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조합별 건물 생산량은 옥수수와 호밀, 옥수수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아 유망한 작부체계로 보였다. 한편 옥수수와 트리티케일, 옥수수와 호밀, 그리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과 트리티케일/호밀의 작부체계가 TDN 생산량을 고려할 때 유망한 작부조합으로 나타났다. 토양 pH, EC 및 유기물 함량은 시험전에 비해 시험후에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예취시기별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를 검토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4월 중순보다 5월 중순 예취시 많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 하였다. 또한 RFV와 TDN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다.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 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Forage and TDN Yield of Several Winter Crops at Different Clipping Date)

  • 황종진;성병열;연규복;안완식;이종호;정규용;김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1-309
    • /
    • 1985
  • 본 시험은 사료용 맥류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 TDN%, TDN 수량 등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호밀, 트리티케일, 밀, 보리 등 7개 품종을 공시하여 1983년 10월부터 1984년 5월까지 맥류연구소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a당 청예수량은 4월 20일 채취시. 호밀2호가 929kg로 가장 많았으며 부농(보리), 수원229호(밀), 수원 8호, 수원 9호(트리티케일)의 2배 이상이었다. 4월 30일 예취시에도 호밀 2 호가 2,195 kg으로 가장 많아 타 작물의 2배 이상을 보였고 5월 10일 예취시도 3,506kg으로 가장 많았다. 5월20일 예취시에는 수원8호가 가장 많았다. 2. 10a당 건물수량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월 20일, 4월 30일, 5월 10일 예취했을 때 호밀2호가 각각 119kg, 305kg, 539kg으로 가장 많았으며 5월 20일에는 호밀 1호가 790kg으로 가장 많았다. 3. 초장은 팔당호밀, 호밀 1호, 호밀2호의 경우 출수 이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수원229호, 부농, 수원 8호, 수원 9호보다 월등히 컸다. 4. 건물률(건물중/생체중 $\times$ 100)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m^2$당 경수는 팔당호밀이 많았고 수원9호가 적었다. 엽중비율은 수원8호, 수원9호가 높았는데 시기가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가용무질소물,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NDF, ADF, Lignin, Cellulose, Hemicellulose 등의 세포벽 구성물질도 증가하였는데 수원 8호와 부농이 비교적 양질로 나타났다. 6. TDN%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TDN 수량(건물수량$\times$TDN%)은 증가를 나타냈는데 전시기를 통하여 볼 때 호밀2호, 호밀 1호, 팔당호밀 등 호밀 품종이 월등히 높았다. 7. TDN 수량과는 청예수량, 건물수량. 초장, 조섬유, Cellulose 등이 정상관을, TDN%, 엽중비율, 조단백 등과는 부상관을 보였다. 8. 수원지방에서 청예용 맥류의 예취시기는 5월10일~5월20일이 적합하며 5월10일 이전은 호밀 2호등 호밀이 5월20일 경은 수원8호 등 트리티케일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술적 치료를 받은 파열성 뇌동맥류환자에서의 예후와 뇌실-복강 단락술의 예측인자로써의 Hunt-Hess Grade와 Fisher Grade (Hunt-Hess and Fisher Grades as Predicting Factors for Chronic Hydrocephalus in Surgically Treated Ruptured Aneurysm)

  • 홍창기;박종운;현동근;하영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60-65
    • /
    • 2001
  • Objective : The popular grading systems in use, such as Hunt-Hess grade and Fisher scale score, are based primarily on the patient's clinical conditions or computerized tomography score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SAH).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the need for ventriculoperitoneal(VP) shunt for chronic hydrocephalus and outcome can be predicted by Hunt-Hess grade and Fisher scale. Methods : A series of 146 patients admitted to our hospital from August 1991 to July 1999, who presented with SAH and underwent craniotomy for aneurysm clipping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Chronic hydrocephalus was defined as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emonstrated hydrocephalus that lasted 2 weeks or longer after initial hemorrhage which required shunting. Patients were evaluated based on following factors : Hunt-Hess grade, Fisher scale, age, sex, hypertension, aneurysm location, and intervals from aneurysm rupture to operation. Results : The overall mortality rate of the study group was 8.2%. Hunt-Hess grade(p=0.001) or Fisher scale (p=0.001) at all pretreatment tim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utcome. In addition, there was an increased risk of poor outcome in older age(65<).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utcome and sex, location of aneurysm, hypertension, and interval from aneurysmal rupture to operation(p>0.05). Of 134 surviving patients, 16 patients(12%) underwent VP shunt placement secondary to chronic hydrocephalus. Hunt-Hess grade(p=0.001) is more predictive of chronic hydrocephalus than Fisher scale(p=0.146). Aneurysm loc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velopment of chronic hydrocephalus (p<0.05), without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x, age, hypertension. IVH, and ICH.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outcome and Hunt-Hess grades and Fisher scales on admission, but Hunt-Hess grade is more predictive for chronic hydrocephalus than Fisher scale. In addition, age(<65 yrs) is the significant factor for prediction of outcome.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risk for chronic hydrocephalus according to aneurymal location.

  • PDF

추골동맥 및 분지부 동맥류의 치료결과 (Management Outcomes of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 안재성;김준수;김정훈;권양;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01
  • Objective :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ake up approximately 3% of all intracranial aneurysms. As the aneurysm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lower cranial nerves and medulla, surgical management of the aneurysms are one of the challenging neurosurgical problems. The authors analyzed the management outcomes for aneurysms arising from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ethods : At the authors' institution between May 1989 and Jan. 2000, 42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and endovascular surgery for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The medical records and neuroimaging studie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Forty two patients were comprised of 28 female and 14 male patients aged from 26-80 year old(mean : 51.8). Of the 42 patients, 37 patients(88%) had subarachnoid hemorrhage. Of the 37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rahge, 35 patients(95%) were in good neurological status(Hunt Hess grade I-III), 2 patients(5%) in poor grade(H-H grade IV-V) before operation. Location of the aneurysm were 16 in vertebral artery, 12 in vertebro-PICA junction, and 14 in the peripheral PICA. Twenty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surgery and 13 patients with endovascular surgery.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transcranial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 and II ; 24, GOS III ; 2,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transcranial surgery were rebleeding after failure in clipping in one and suspected brainstem infarct in one. Morbidity was attributed to vasospasm(3), lower CN palsy(7, including temporary dysfunction) and pseudomeningocele(1).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endovascular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II ; 9, GOS III ; 1,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endovascular surgery were sepsis from pneumonia(1) and vasospasm(1). There were one cerebellar infarct and one lateral medullary syndrome. Conclusion : Excellent and good surgical results can be expected in 80% of the patients with aneurysms of vertebral arery and its branches. The outcomes of endovascular surgery in treating vertebral artery aneurysm were satisfactory and endovascular surgery may offer a therapeutic alternative especially in vertebral dissecting aneurysm.

  • PDF

Analysis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Microsurgical and Endovascular Treatment of Basilar Apex Aneurysms

  • Jin, Sung-Chul;Ahn, Jae-Sung;Kwun, Byung-Duk;Kwon, Do-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4호
    • /
    • pp.224-230
    • /
    • 2009
  • Objective : We aimed to analyz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retrospectively in patients with basilar apex aneurysms treated by coiling or clipping. Methods : Outcomes of basilar bifurcation aneurysms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in 77 consecutive patients (61 women, 16 men), ranging in age from 25 to 79 years (mean, 53.7 years) from 1999 to 2007. Results : Forty-nine patients out of 77 patients (63.6%) presented with subarachnoid hemorrhages of the 49 patients treated with coiling, 27 (55.1 %) showed complete occlusion of the aneurysm sac. Of these, 13 patients (26.5%) developed coil compaction on angiographic or MRI follow-up, with recoiling required in 9 patients (18.4%). Procedural complications of coiling were acute infarction in nine patients and the bleeding of the aneurysms in six patients. The remaining 28 patients underwent microsurgery : twenty-six of these (92.9%) with microsurgery followed up with conventional angiography. Complete occlusion of the aneurysm sac was achieved in 19 patients (73.1%). Operation-related complications of microsurgery were thalamoperforating artery injuries in three patients, retraction venous injury in two, postoperative epidural hemorrhage (EDH) in one, and transient partial or complete occulomotor palsy in 14 patients. Glasgow Outcome Scores (GOS) were 4 or 5 in 21 of 28 (75%) patients treated with microsurgery at discharge, and at 6 month follow-up, 20 of 28 (70.9%) maintained the same GOS. In comparison, GOS of four or 5 was observed in 36 of 49 (73.5%) patients treated with coiling at discharge and at 6 month follow-up, 33 of 49 patients (67.3%) maintained the GOS from discharge. Conclusion : Basilar top aneurysms were still challenging lesions based on our series. Endovascular or microsurgery endowed with its inborn risks and procedural co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basilar apex aneurysms individually. Microsurgery provided better outcome in some specific basilar apex aneurysms. For reaching the most favorable outcome, endovascular modality as well as microsurgery was inevitably considered for each specific basilar apex aneurysm.

Intradural Procedural Time to Assess Technical Difficulty of Superciliary Keyhole and Pterional Approaches for Unruptured Middle Cerebral Artery Aneurysms

  • Choi, Yeon-Ju;Son, Wonsoo;Park, Ki-Su;Park, Jaec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6호
    • /
    • pp.564-569
    • /
    • 2016
  • Objective : This study used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to assess the overall technical difficulty involved in surgically clipping an unruptured middle cerebral artery (MCA) aneurysm via a pterional or superciliary approach.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were investigated, and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compared between a superciliary keyhole approach and a pterional approach. Methods : During a 5.5-year period, patients with a single MCA aneurysm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selection criteria for a superciliary keyhole approach included : 1) maximum diameter of the unruptured MCA aneurysm <15 mm, 2) neck diameter of the MCA aneurysm <10 mm, and 3) aneurysm location involving the sphenoidal or horizontal segment of MCA (M1) segment and MCA bifurcation, excluding aneurysms distal to the MCA genu. Meanwhile, the control comparison group included patients with the same selection criteria as for a superciliary approach, yet who preferred a pterional approach to avoid a postoperative facial wound or due to preoperative skin trouble in the supraorbital area. To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uch data as the patient age and gender, maximum aneurysm diameter, aneurysm neck diameter, and length of the pre-aneurysm M1 segment. In addition,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superciliary and pterional patient groups, along with the other variables. Results : A total of 160 patients underwent a superciliary (n=124) or pterional (n=36) approach for an unruptured MCA aneurysm.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 increase in the diameter of the aneurysm neck (p<0.001) was identifi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creasing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0.340) between the neck diameter and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When comparing the superciliary and pterional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the intradural procedural time reflecting the technical difficulty (mean${\pm}$standard deviation : $29.8{\pm}13.0min$ versus $27.7{\pm}9.6min$). Conclusion : A superciliary keyhole approach can be a useful alternative to a pterional approach for an unruptured MCA aneurysm with a maximum diameter <15 mm and neck diameter <10 mm, representing no more of a technical challenge. For both surgical approaches, the technical difficulty increases along with the neck diameter of the MCA aneury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