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 change impacts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29초

고해상도 시나리오를 활용한 5대강수계 수자원 영향평가 (Climate Change Impacts Assessments on Water Resources at 5 Large River Basin with High Resolution Scenario)

  • 배덕효;정일원;전태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6-290
    • /
    • 2007
  • 기후변화가 국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수자원의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IPCC SRES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5대강수계 139개 유역에 대해 기후 및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고 수자원의 변동성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고해상도$(27km{\times}27km)$ 시나리오는 기상연구소에서 전구기후모델인 ECHO-G의 결과를 지역기후모델인 MM5에 경계조건을 사용하여 역학적으로 상세화한 것이다. 이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현실성 있는 유역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 LARS-WG를 사용하였으며, 유출시나리오 생산을 위해 USGS에서 개발된 PRMS 모형을 이용하였다. 생산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한강유역이 위치한 북쪽유역에서는 연평균유출량이 증가되고, 남쪽에 위치한 유역들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것은 기온의 증가에 따른 평균증발산량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봄과 여름철의 유출량은 감소하고, 가을과 겨울철 유출량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여름철 평균유출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수량(Q>100mm)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배출권거래제와 탄소세의 정책혼합 효과 분석 (Green-house GAS Reduction Through the Environmental Policy Mixes Both Environmental Trading and Carbon Taxes)

  • 임재규;김정인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2호
    • /
    • pp.245-274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또는 탄소세, 그리고 두 정책수단이 혼합하여 도입될 경우 한국의 경제, 에너지소비,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연산일반균형모형인 KORTEM을 이용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 탄소세만 부과하는 경우에는 배출권거래제만을 도입하는 경우보다 온실가스 감축의 경제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한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포트폴리오를 설계함에 있어, 국내배출권거래제를 핵심정책으로 도입하며 가능한 많은 기업 및 경제주체들을 배출권거래에 참여시키고, 거래에 참여하지 않는 경제부문의 특성을 반영한 보완적 정책수단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정책포트폴리오가 설계되어야 한다.

  • PDF

Review of Resilience-Based Design

  • Ademovic, Naida;Ibrahimbegovic, Adnan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9권2호
    • /
    • pp.91-110
    • /
    • 2020
  • The reliability of structures is affected by various impacts that generally have a negative effect, from extreme weather conditions, due to climate change to natural or man-made hazards. In recent years, extreme loading has had an enormous impact on the resilience of structure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design of structures, besides the structural integrity and robustness. Resilience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of the structure to absorb or avoid damage without suffering complete failure, and it can be chosen as the main objective of design, maintenance and restoration for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 The latter needs further clarification (which is done in this paper), to achieve the clarity of goals compared to robustness which is defined in Eurocode EN 1991-1-7 as: "the ability of a structure to withstand events like fire, explosions, impact or the consequences of human error, without being damaged to an extent disproportionate to the original cause". Many existing structures are more vulnerable to the natural or man-made hazards due to their material deterioration, and a further decrease of its loadbearing capacity, modify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and, subsequently, the system resilience. Due to currently frequent extreme events, the design philosophy is shifting from Performance-Based Design to Resilience-Based Design and from unit to system (community) resilience. The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such design evolution with indicative needs for Resilience-Based Design giving few conducted examples.

도시녹지에 의한 대기 $Co_2$의 흡수 -춘천시를 대상으로- (Atmospheric $Co_2$sequestration by urban greenspace)

  • 조현길;윤영활;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0-9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unctioni fo urban greenspace to reduce atmospheric CO\sub 2\ concentration. The study quantified carbon storage in urban greenspace and carbon emission by fossil fuel consumptio in Chuncheon.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in vegetation by land use type was 0.02kg/$m^2$ for commercial land, 4.36kg/$m^2$ for natural land, and 0.54kg/$m^2$ for the other urban lands. In 1994, total amount of carbon emission by fossil fuel consumption was about 257,358 metric tons, and the per capita carbon emission was 1.4 metric ton. Total amount of carbon storage in vegetation was 42,942 metric tons, approximately 17% of the carbon emission. This study excluded quantification of carbon storage in soils.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to sequester atomspheric carbon might be much greater, if a soil greenspace to sequester atmospheric carbon might be much greater, if a soil greenspace to sequester atmospheric carbon might be much greater, if a soil carbon storage is included quantification of carbon storage is included. However, increasing coverage of trees and managing them for healthy growth would not be sufficient for avoiding adverse impacts by future climate change. Additional measures should be followed such as an increase of energy use efficiency and development of substitute energy.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설계홍수량의 변화 분석 (Predict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design flood)

  • 전상민;강문성;송인홍;김지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5-405
    • /
    • 2012
  •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해 설계홍수량을 능가하는 크기의 홍수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예측한 미래의 강우자료에 의한 홍수량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를 고려해 예측한 미래의 강우자료에 기초한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존의 설계 홍수량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대상지구는 이동저수지 유역을 선정하였고, HEC-GeoHMS를 이용해 대상지구의 유역자료를 추출하였다. 설계홍수량 추정을 위한 과거 강우자료는 수원기상대의 1964년부터 2011년까지의 자료기간을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래의 강우자료는 기상청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FARD2006의 Gumbel 분포와 모멘트법을 적용하여 빈도별 확률 강우량을 각각 산정하였다. 산정된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수원지역의 Huff 분포에 적용해 시간별 강우분포를 구한 후 HEC-HMS의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각각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강우자료에 의한 홍수량 설계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대상 지구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미래의 홍수량 예측에 따른 설계빈도 설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강수의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of Precipitation)

  • 신형진;김해도;이재남;강석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7-227
    • /
    • 2017
  •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47조의 2 신설로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 취약성을 5년마다 조사 평가 공표하고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2014년 5월 마련되었다.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국가 수자원 총 이용량의 48%가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논면적(964천ha) 수리안전답은 575천ha에 불과하고, 19.4%(187천ha)는 별도 용수공급시설이 없어 자연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140천ha로 전국 밭면적의 18.5% 수준('15.7월 행정조사)에 그쳐 논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의 영향분석 및 취약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가장 취약한 부분은 강수패턴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다. 강수패턴의 변화 의미는 강수 공간, 기간 및 강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강수에 민감한 농업분야가 기후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점에서 강수의 패턴 변화(공간, 강도, 기간)를 분석하여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미계측 유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수문모형 매개변수의 지역회귀분석 적용 (Apply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hydrologic model paramete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s in the ungaged watershed)

  • 김영일;서승범;김성진;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9-219
    • /
    • 2017
  • 상대적으로 유역의 관측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검증되지 않았을 경우 미계측 유역으로 정의되며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검정을 할 수 없으므로 다른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회기분석을 통해 미계측 유역의 유량을 산정하였는데, 대부분 유역의 특성과 연 평균 유출량 자료의 관계를 이용한 회귀식으로 실시간 유량의 변화를 고려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개념적 수문모형인 GR4J의 매개변수에 대해 미계측 유역의 특성을 고려한 변수들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미계측 유역의 유량 시계열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IPCC에서 발간한 AR5의 RCP 4.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우선 지역회귀분석을 적용하기 위해 수문모형을 이용한 계측 유역의 유출량을 구하였으며 22개의 전국 댐 상류 지점을 기준으로 S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GR4J의 최적 매개변수를 구하고 각 유역별로 물리적, 지형적, 기상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11개의 변수를 선택하였다. 각 변수간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를 고려하기 위해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 test를 적용하여 최종 7개의 변수를 선정하고 단계별 회귀방법(Stepwise regression)을 이용하여 GR4J의 매개변수별 회귀식을 생성하였다.

  • PDF

Multiparameter recursive reliability quantification for civil structures in meteorological disasters

  • Wang, Vincent Z.;Fragomeni, Sa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0권6호
    • /
    • pp.711-726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a multiple parameters-based recursive methodology for the reliability quantification of civil structures subjected to meteorological disasters. Recognizing the challenge associated with characterizing at a single stroke all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that may hit a structure during its service life, the proposed methodology by contrast features a multiparameter recursive mechanism to describe the meteorological demand of the structure. The benefit of the arrangements is that the essentially inevitable deviation of the practically observed meteorological data from those in the existing model can be mitigated in an adaptive manner. In particular, the implications of potential climate change to the relevant reliability of civil structures are allow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rmulated methodology of recursive reliability quantification is illustrated by first considering the reliability quantification of a linear shear frame against simulated strong wind loads. A parametric study is engaged in this applic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some hyperparameters in the configured hierarchical model. Further, the application is extended to a nonlinear hysteretic shear frame involving some field-observed cyclone data, and the incompleteness of the relevant structural diagnosis data that may arise in reality is taken into account. Also investigated is another application scenario where the reliability of a building envelope is assessed under hailstone impacts, and the emphasis is to demonstrate the recursive incorporation of newly obtained meteorological data.

초고온가스로 연계 블루수소 생산 공정의 열역학적 분석 (Preliminary Thermodynamic Evaluation of a 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VHTR) Integrated Blu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 손성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67-273
    • /
    • 2023
  • As the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has emerged as a critical subject of discussion. Nuclear power has garnered attention as a potential carbon-free energy source; however, the rapidity of load following in nuclear power generation poses challenges in comparison to fossil-fueled methods. Consequently, power-to-gas systems, which integrate nuclear power and hydrogen, have attracted growing interest. This study presents a preliminary design of a 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VHTR) integrated blu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utilizing DWSIM, an open-source process simulator. The blu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is estimated to supply the necessary calorific value for carbon capture through tail gas combustion heat. Moreover, a thermodynamic assessment of the main recuperator is performed as a function of the helium flow rate from the VHTR system to the blue hydrogen production system.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India - Current status, management practices, models, impacts,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future

  • Jagriti Patel;Sanskriti Mujumdar;Vijay Kumar Srivastava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5-111
    • /
    • 2023
  • Pollution, climate change, and waste accumulation are only some of the new problems that have arisen because of the exponential population growth of the past few decades. As the global population expands, managing municipal solid trash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his is by far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governments to overcome, especially in less developed nations. The improper open dumping of trash, which is causing mayhem across the country, has two immediate effects: it contaminates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Air pollution and the accumulation of greenhouse gases are both exacerbated by the release of methane and other harmful waste gases. Leachate from the landfill leaks underground and pollutes groundwater. In most cases, leachate moves into the groundwater zone and pollutes it after forming in association with precipitation that infiltrates via waste. This has far-reaching effects on people's health and disturbs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review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olid Waste Management (SWM), addressing both the highlighted concerns and the government management solution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address these issues. In addition, the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that India will face in the future in terms of solid waste management and the role of models for such a system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