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imate chamber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5초

자동차 흡기유동제어밸브의 초가속수명시험 및 수명시험을 위한 신뢰성연구 (A Study on the HALT & Life time Test of the Swirl Control Actuator)

  • 김성옥;박상욱;이진식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70
    • /
    • 2014
  • The requirements of reliability verification for new products and technology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climate change prevention and GHG reduction technology, functional skills. SCA(Swirl Control Actuator) is the important part of a car intake manifold system. This device generates swirl that is mixing the fuel and air into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This is to improve output for engine and reduce the emission for exhaust. In this article relia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swirl control actuator for automobiles are established in terms of basic HALT and life time test.

Thermal Comfort Aspects of Pesticide-protective Clothing Made with Nonwoven Fabrics

  • Choi Jong-Myoung;Tanabe Shin-Ichi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3권1호
    • /
    • pp.55-7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mal resistance of pesticideprotective clothing and to investigate its subjective wear performance. Three different nonwoven fabrics, which provide barrier properties against water and pesticide, were used to manufacture the experimental clothing: spunbonded nonwoven (SB), spunbonded/meltblown/spunbonded nonwoven (SM), and spunlaced nonwoven (SL). The thermal insulation values of the experimental clothing were measured with a thermal manikin, and other wear trials were performed on human subjects in a climate chamber at $28^{\circ}C$, with 70% R.H. and air movement at less than 0.15m/s. Our results found that the thermal resistance was lower in the SB experimental clothing than in the others; that the mean skin temperature of subjects who wore the experimental clothing made with S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ubjects who wore the SB and SM clothing; and that the microclimat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S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Overall, the experimental clothing made with SL was more comfortable than the others in terms of subjective wear sensations.

내의류의 수분특성 및 착용감에 관한 연구 (II) -내의 착용시 생리적 반응과 착용감- (A Study on Moisture Related Properties and Human Sensations of under wear (II)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Wearing Sensations of Underwear-)

  • 이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3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es and subjective wearing sensations of the body of different materials of underwears. Experimental underwears were round neck-line shirts made of 100% cotton (60's plain stitch), 100% untreated nylon and hydrophillic finished 100% nylon (140 D. tricot). Four healthy female serv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chamber was controlled at a constant temperature (23±1℃), constant relative humidity (53±3%) and air velocity of 0.25m/sec. The skin temperature, rectal temperature, pulse rate, clothing climat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subjective wearing sensations were measured every five minutes during 75min. The results showed the level of the fiber hygroscopic properties was most relevant in the sensations of wearing: thus, cotton and treated nylon were felt by the subjects as more confortable fabrics, than untreated nylon.

  • PDF

열전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1 kW급 보조 냉난방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upplemental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Using 1 kW Thermoelectric Module for Vehicle)

  • 이대웅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224-2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supplemental cooling and heating system equipped with the 1 kW thermoelectric module. The system consist of 96 thermoelectric modules, heat sink with louver fin and water cooling jacket which is attached on the hot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test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conducted with various conditions, such as intake voltage, air inlet temperature, air flow volume, water inlet temperature and water flow rate at calorimeter chamber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realistic vehicle driv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 thermoelectric system shows that the cooling capacity and COP is 1.03 kW, and 1.0, and heating capacity and COP is 1.53 kW, and 1.5 respectively.

온돌 온열환경지표 평가방법 (Evaluation Methods on ONDOL Thermal Environmental Index)

  • 김성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01-110
    • /
    • 2022
  •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proposed and proved usefulness of the modified mean skin temperature which is integrated mean radiation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floor contacted heat conduction. The mean radiation temperature is applied form factor between half cross-legged human body and surrounding wall of indoor. In addition the floor contacted heat conduction is applied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half cross-legged human body. Eight Korean young men were targeted for the experiment. From the experiment the authors excerpted physiological reaction and psychological reaction in Ondol environment which is combined physiccal environmental factor of artificial climate chamber, air and floor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is confirmed that heat conduction has more impact than heat exchange from existing research for the heat exchange between half cross-legged human body and surrounding wall in Ondol thermal environment. Thereby, it is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mean skin temperature which is added floor contacted temperature to the Ondol thermal environmental evaluation index.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조건에서 벼의 품질 및 전분 동화 특성 변화 (The change of grain quality and starch assimilation of rice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according to RCP 8.5 scenario)

  • 상완규;조현숙;김준환;신평;백재경;이윤호;조정일;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4
    • /
    • 2018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쌀 품질 저하 요인을 기상 환경과 종실 전분 대사 기능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옥외환경조절시설(SPAR)은 대형 토양상에서 온도와 $CO_2$ 동시 처리가 가능한 시설로서 최대한 포장 수준에 가까운 조건에서 미래 기후에 대한 정밀한 환경영향평가를 가능하게 해준다. 2001~2010년 전주 지역 현재 기후 기준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2051~2060년 가상 기후조건에서 직접 재배 시험을 한 결과 미래 기후 조건에서는 벼 생육 및 노화가 급격하게 촉진되어 출수기가 현재 대비 5일 이상 빨라지는 등 생육기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고온 등숙 환경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게 높아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벼 수량 뿐 아니라 품질 또한 크게 저하되었는데 미래에는 정상립 비율은 현저히 저하된 반면 불완전립 특히 미숙립이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온 등숙에 의한 전분 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감소 및 분해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증가 등 종실 체내 전분 전류 및 축적 양상이 크게 변화하여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향후 안정적인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고온 등숙 내성 벼 품종 개발 및 등숙기 고온 회피를 위한 재배법 개발 등의 방향으로 기후변화 적응 대책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산화탄소와 온도 그리고 한발 영향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수량반응 (Effec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Drought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Spring Potato (Solanum tuberosum L.))

  • 이윤호;조현숙;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9-158
    • /
    • 2018
  •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봄 감자에 대한 상승된 $CO_2$농도, 온도 그리고 한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를 위해 국립식량과학원 옥외환경시설에서 수행을 하였다. 감자는 C3식물로 상승된 $CO_2$농도와 적정 온도에 효과적인 생육 반응을 하지만, 괴경비대기의 한발은 수량 증가를 억제 시킨다. 괴경 수량은 상승된 $CO_2$농도와 온도 그리고 한발 처리에 따라 상당히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SAPR 2는 SPAR 1에 비하여 수량이 28% 증가 되었는데, 생육기간 동안 SPAR 2는 $CO_2$ 효과와 적정온도로 주당 괴경수의 증가보다는 개체당 괴경의 크기에 의해 수량이 결정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SPAR 3은 SPAR 2에 비하여 약 56% 수량 감소를 하였다. 괴경비대기의 한발은 형태적으로 간장과 측지수의 감소와 건물중 생산에 저해를 주었다. 생리적으로 엽록소와 질소 양분흡수을 감소시켜 결국 광합성률 감소와 괴경으로 전류 되는 동화산물이 낮아지면서 수량 감소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상 기후 대응을 위해,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 재배되는 감자의 생육을 파악하기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봄 감자의 작부체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호흡의 측정과 국내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 이은혜;임종환;이재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4-276
    • /
    • 2010
  • 본 연구는 토양호흡 측정방법을 소개하고 국내에서 관측된 토양호흡 자료를 고찰하고, 토양호흡 관측 자료 비교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토양호흡측정 방법은 측정원리에 따라 알칼리흡습법, 밀폐상법, 밀폐상역학법, 통기법으로 분류된다. 국내 토양호흡연구를 종합분석한 결과, 국내의 생태계에 적용 된 토양 호흡 측정 방법은 밀폐상역학법(62%), 알칼리흡습법(17%), 통기법(13%), 밀폐상법(8%)이 이용되었고 이러한 방법에 사용된 기기로는 LI-6400-09, EGM-3, EGM-4, 자동토양호흡측정기 등이 있다. 또한, 국내 토양호흡은 대부분 산림 생태계에 국한되어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관측된 평균 토양호흡은 130~900mg $CO_2\;m^{-2}h^{-1}$ 범위였다. 그러나 국내 토양호흡 관측이 산발적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축적된 자료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토양호흡의 상호 비교 및 정량화를 위해 측정방법간의 비교 및 오차에 대한 검증된 연구가 없어 관측된 토양호흡값의 상호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반도 생태계의 탄소수지의 정확한 예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고 있다. 한반도 탄소순환 메커니즘의 이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생태계의 토양호흡 관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하며 토양호흡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다양한 기상 조건을 포함하는 토양호흡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더불어 토양호흡의 발생원 별 구분에 대한 국내의 연구결과는 대단히 미약한 수준으로 토양호흡의 메카니즘이해와 정확한 탄소수지이해를 위해 발생원 별 토양호흡량 정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동절기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Hericium erinaceus fruit body genesis in winter)

  • 문지원;이찬중;정종천;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9-43
    • /
    • 2016
  • 생육실 내 외부 환경조건과 종균 배양 및 자실체 특성검정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종균배양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실의 환경 조건($22^{\circ}C$, 65-68%, 700-1,200 ppm)을 일정하게 하여도 외부 기온이 낮고, 건조해지는 1월(동절기)에는 16-18일 가량 늦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부 기후에 따라 생육실 내부 환경이 영향을 받아, 자실체 생장이 느리고 발생 형태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조건($18{\pm}1^{\circ}C$, 85-95%, 700-1,200ppm)을 설정한 생육실에서 재배한 버섯이 수량(무게), 길이(크기) 모두 1월에 수확한 버섯이 3월에 수확한 버섯에 비해 작은 수치임을 확인하였고, 경도가 작아 품질 면에서도 양호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1월 외부의 영하의 저온과 60% 이하의 저습에 의해 생육실 내부 환경이 변화하여 일어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버섯의 특성은 일정 시일이 지난 후 외부 기후를 보완하여 실내 환경을 조절하여도 개선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일정 기간이 지난 후의 조치는 균의 노후화만 진행시켜 색만 변화할 뿐 크기가 커지거나 침이 형성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환경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기와 생육관리를 위해 생육실 내부 환경이 외부로 노출될 때, 외부 환경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에어커튼 혹은 보온 커튼을 덧대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낮고, 습도가 낮은 시기에는 특별히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체온조절반응 -일본아동과 한국아동의 비교-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hildren-)

  • 김성희;이욱자;전촌후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27-1534
    • /
    • 2005
  • 본 연구는 아동의 체온조절반응의 특징에 성장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아동(K group)과 일본아동(J group)의 체온조절반응을 검토하였다. 팬츠 착용의 피험자는 중립환경 $(28.5^{\circ}C)$에서 1시간, 추운환경$(22^{\circ}C)$ 또는 더운환경$(37^{\circ}C)$으로 옮겨져 1시간 동안의 체온조절반응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 직장온은 환경온이 높아짐에 따라 약간 높아졌으며, K group의 직장온이 J group보다 약간 높았다. 추운환경에서의 손과 발의 피부온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J group보다 K group에서 더 현저히 나타났다. 그리고, 두 group의 절대 국소 증발량은 환경온 $22^{\circ}C$$28.5^{\circ}C$에서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는 반면, 환경온 $37^{\circ}C$에서는 J group은 몸 전체에서 발한을 나타냈으나 K group은 사지보다 몸통부위의 발한량이 많았다. 맥박은 환경온의 상승에 따라 높아졌으며, J group의 맥박이 K group보다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