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r water condi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말쥐치 조미건제품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Vacuum-Packed and Seasoned-Dried Filefish Products)

  • 이응호;대도민명;화전준;소천천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06
    • /
    • 1982
  • 소형말쥐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지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조미건제품을 가공하고, 정질의 안전성을 저증시험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1) 두부, 숙장, 표피를 제거한 말쥐치를 fillet로 만든다. 이 fillet에 설탕, 식염, sorbitol, 생합성조미료 등을 배합한 분말조미료를 분포하여 조미한 다음 건조한다. 이것을 polyester/염화 viniliden/미연신 polypropylene ($12{\mu}m/15{\mu}m/50{\mu}m$) 적력film을 사용하여 진공포장한 다음, 조리와 살균을 겸하여 $80^{\circ}C$, 40분간 가열처리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2)이와 같이 조제한 조미건제품을 $35^{\circ}C$에서 약$3\sim4$개월간 저장하고, 그 간의 수분, 수분활성, 색조, torture, 생균수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제품은 저장중에 수분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수분활성도 저하하고, 육조직의 경도도 증가하였다. (4)제품은 저장중에 질변하지만, 그 정도는 수분이 낮은 제품쪽이 수분이 많은 제품보다 심하였다. (5)고추가루를 사용한 제품이외는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추가루를 사용한 제품에서는 세균이 검출되었지만 저장기간중 생균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제품은 실온에서 $3\sim4$개월간 저장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6) 관능검사결과로 보아 열품의 색조는 담황색인것 보다 약간 갈색을 핀 것이 좋았고, 육조직은 수분이 낮은 것 보다 높은 쪽이 유연하고 좋았다. 또한, 향미는 smoke flavor를 사용한 제품보다 beef flavor를 사용한 쪽이 더욱 좋았다.

  • PDF

여름 및 겨울철 광주지역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유기탄소 특성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Species in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at a Gwangju Area During Summer and Winter)

  • 박승식;허재영;조성용;김승재;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5-688
    • /
    • 2007
  • To characterize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and EC), and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SOC) contents, daily $PM_{2.5}$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August 2006 (summer) and Jan $11{\sim}Feb$ 12 2007 (winter) at an urban site of Gwangju. Daily size-segregated aerosol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or WSOC analysis. No clear seasonal variations in EC and WSO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while seasonal differences in OC concentration, and OC/EC and WSOC/EC ratios were shown. The WSOC/OC ratio showed higher value in summer (0.56) than in winter (0.40), reflecting the greater enhancement of secondary WSOC formation at the site in summer. Secondary WSOC concentrations estimated using EC tracer method were in the range $0.0{\sim}2.1\;{\mu}g/m^3$ (average $0.42\;{\mu}g/m^3$) and $0.0{\sim}1.1\;{\mu}g/m^3\;(0.24\;{\mu}g/m^3)$, respectively, accounting for $0{\sim}51.6%$ (average 16.8%) and $0{\sim}52.5%$ (average 13.1 %) of the measured WSOC concentrations in summer and winter. Sometimes higher WSOC/OC ratio in winter than that in summer could be attributed to two reasons. One is that the stable atmospheric condition often appears in winter, and the prolonged residence time would strengthen atmospheric oxi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other is that decrease of ambient temperature in winter would enhance the condensation of volatile secondary WSOC on pre-existing aerosols. In summertime, atmospheric aerosols and WSOC concentrations showed bimodal size distributions, peaking at the size ranges $0.32{\sim}0.56\;{\mu}m$ (condensation mode) and $3.2{\sim}5.6\;{\mu}m$ (coarse mode), respectively. During the wintertime, atmospheric aerosols showed a bimodal character, while WSOC concentrations showed a unimodal pattern. Size distribu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and WSOC with a peak in the size range $0.32{\sim}0.56\;{\mu}m$ were observed for most of the measurement periods. On January 17, however, atmospheric aerosols and WOSC exhibited size distributions with modal peaks in the size range $1.0{\sim}1.8\;{\mu}m$, suggesting that the aerosol particles collected on that day could be expected to be more aged, i.e, longer residence time, than the aerosols at other sampling periods.

불도우저에 의한 개간 공법의 개선과 숙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 Clearing Methods by Bulldozer & Fertilization of Cleared Soil)

  • 황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27-3641
    • /
    • 1975
  • The Government is trying to increase total food grain yield to meet national self sufficiency by means of increasing unit yield as well as extending crop land, and this year he set the target of 321,000 hectare of forest to clear for cropping.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learing hillock by bulldozer, and successful method to develope yielding potential of newly cleared land in short term. Since the conventional land clearing method is just earth leveling and root removing neglecting top soil treatment, the growth of crop was poor and farmer tends not to care the land. The top-soil-furrowing method is applied through out this study, that is advantageous especially for the land having shallow top soil and low fertility like Korean forest. In this study, various operating method were tried to find out most efficient method separately in connection with the land slope less than 25 percent and over, and several fertilizing methods to develop yielding potent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the natural land slope utiliz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land having less than 25 percent slope, reverse operating was more efficient than using forward gear of bulldozer. The operating time was 3 hour 32 minutes and 36 seconds using forward gear was 2 hour 32 minutes and 30 seconds for reverse gear operation per 1,000 square meter. 2) Bulldozer having angle blade adjustment needed 7hr 15min. for constructing of terrace per 10a compaire with the one having angle & tilt adjustment needed 6hr 4min for same operations. Special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r operation time of first period (earth cutting) such as bulldozer having angle blade adjustment needed 3hr 56min compaired with the one having angle & tilt adjustment 3hr 59min. In construction of terrace, the bull-dozer having tilting and angle blade adjustment was most suitable and performed efficiently. 3) For the fertilizer application treatment, the grass (Ladino clover) yield in first year was almost same as ordinary field's in the plot applied(N.P.K+lime+manure) while none fertilizer plot showed one tenth of it, and (N.P.K.+lime) applied plot yielded on third. 4) The effect of different land clearing method to yiel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reatment especially in the first year, and the conventional method was the lowest. In the second year, still conventional terracing plot yielded only half of ordinary field while the other plots showed as same as ordinary field's. 5) The downward top soil treatment plot showed most rapid improvement in soil structure during one year physio chemically, it showed increase in pH rate and organic composition, and the soil changed gradually from loam to sand-loam an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gainst the pF rate, and it gives good condition to grow hay due to the increase of field water capacity with higher available water content. 6) Since the soil of tested area was granite, the rate of soil errosion was increased about 2 to 5 percent influencing in soil structure more sand reducing clay content, and an optimum contour farming method should be prepared as a counter measure of errosion.

  • PDF

법랑질에 의한 수종의 간접복합레진의 마모에 관한 연구 (AN IN-VITRO WEAR STUDY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AGAINST HUMAN ENAMEL)

  • 이현정;전영찬;정창모;정희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11-620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Second-generation indirect composite resins have been improved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hydrolytic degradation resistance, wear resistance compared to first-generation indirect composite resins, bu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as hydrolysis and low wear resistance. Some manufacturers claim that wear resistance of their materials has been improved, but little independent study has been published on wear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and the properties specified in the advertising materials are largely derived from in-house or contracted testing.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ear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SR Adore, Sinfony, Tescera ATL) and gold alloy against the human enamel. Material and method: Extracted human incisors and premolars were sectioned to $2{\times}2{\times}2mm$ cube and embedded in the clear resin and formed conical shaped antagonist to fit the jig of pin-on-disk tribometer. Total 20 antagonist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ive disk samples, 24mm in diameter and 1.5mm thick, were made for each of three groups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and gold alloy group, and polished to #2,000 SiC paper on auto-polishing machine. Disk specimens were tested for wear against enamel antagonists. Wear test were conducted in distilled water using a pin-on-disk tribometer under condition (sliding speed 200rpm contact load 24N, sliding distance 160m). The wear of the enamel was determined by weighing the enamel antagonist before and after test, and the weight was converted to volumes by average density. The wear tracks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urface profilometer to elucidate the wear mechanism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namel wear volume, wear track depth and wear tract width of disk specimens were accomplished with one-way ANOVA and the means were compar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cheffe's test. Results: 1. The enamel wear was most in gold alloy,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P>.05). 2. In indirect composite resin groups, the group to make the most shallow depth of wear tract was Sinfony, followed by Tescera ATL, SR Adoro (P<.05). Gold alloy was shallower than Sinfon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nfony and gold alloy (P>.05). 3. The width of wear tract of SR Adore was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P<.05),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groups (P>.05). 4. SEM analysis revealed that Sinfony and gold alloy showed less wear scars after test, Tescera ATL showed more wear scars and SR Adore showed the most.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Sinfony and gold alloy showed the least wear rates and showed similar wear patterns.

프랙탈 이론의 소하천 점착성 유사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fractal theory to cohesive sediment in small rivers)

  • 임병구;손민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0호
    • /
    • pp.887-901
    • /
    • 2016
  • 점착성 유사는 작은 1차 입자가 단독으로 거동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와 밀도를 변화시키는 응집현상을 통해 서로 뭉쳐진 플럭의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유사의 거동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침강속도는 유사의 크기와 밀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응집현상이 점착성 유사에 주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플럭의 밀도는 직접 측정이 어려우므로 프랙탈 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현재까지 일반적인 모형화의 과정이다. 하지만 프랙탈 이론은 플럭이 자기유사성을 가진다는 가정 하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중 점착성 유사가 우세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강 및 영산강 유역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상업용 카메라를 이용한 침강실험을 통해 프랙탈 이론의 적용 가능성, 플럭의 특성 등을 검토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금강 유역의 점착성 유사는 프랙탈 이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영산강 유역의 유사에서는 크기와 프랙탈 차원의 명확한 상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영산강 유역의 유사는 유기물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1차 입자 하나하나가 응집되며 자기유사성을 가진다는 프랙탈 이론의 기본 가정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물어구의 유수저항과 모형수칙 -2. 자루형 그물의 유수저항- (Flow Resistance and Modeling Rule of Fishing Nets -2. Flow Resistance of Bag Nets-)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4-201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자루그물의 구조와 형상 및 사용 그 물감의 규격의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 저항이 전보에서 구한 저항식에 의해 정도 높게 해석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연도가 큰 Nylon 그물감으로 자루그물을 사각추형으로 설계하고 상기 각 요소들을 변화시켜 회류수조(관측부 길이 : 7.00m, 수로 폭 : 1.45m, 수심 : 1.20m)에서 유속 v에서 받는 저항 R을 측정한 후, $R=kSv^2$(S: 그물 벽의 면적)에 의해 저항계수 $k(kg\;\cdot\;sec^2/m^4)$를 구하고 k로써 각각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정사각추형으로 설계된 자루그물의 입구를 둘레가 서로 같은 원형 틀과 정사각형 틀에 교대로 부착하면, 수중 형상은 원형 틀에서는 매끈한 원추형이 되고 정각각형 틀에서는 입구 주변만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이 원추형이 되었기 때문에, k값에는 별다른 차리가 생기지 않았다 또한, 직편각추형으로 설계된 자루그물을 직체각형 틀에 부착하면 입구 주변만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部分이 타원추형이 되었는데, 그 때의 k값은 정사각추형으로 설계된 그물이 수중에서 원추형을 이루는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정사각추형으로 설계된 자루그물에 대해 발의 길이 1에 대한 지름 d의 비 d/1를 변화시키면 k는 d/1가 큰 그물일수록 커지는 경향이었고, 입구 면적 $S_m$ 및 그물감의 재료는 일정하게 하고 $S/S_m$ 또는 흐름에 대한 그물의 영각 $\theta$를 변화시키면 k는 $S/S_m$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kS/Sm$$S/S_m=1-4$ 또는 $\theta=15-90^{\circ}$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하였고, $S/S_m>4$ 또는 $\theta<15^{\circ}$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전보에서 구한 그물 저항식에 의해 해석하면, 자루그물에 있어 그물코의 면적에 대한 발의 체적의 비 $\lambda$$$\lambda={\frac{\pi d^2}{21\;sin\;2\varphi}$$를 대표치수로 하는 레이놀즈수를 $R_e$라 하고($2\varphi$: 그물코의 전개각), 흐름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그물의 총 투영면적을 $S_n$이라 할 때, $R_e<100$의 영역에서는 $$k=160R_e\;^{-01}(\frac{S_n}{S_m})^{1.2}\;(\frac{S_m}{S})^{1.6}$$으로 주어졌고 $R_e\geq100$ 영역에서는 $$k=100(\frac{S_n}{S_m})^{1.2}\;(\frac{S_m}{S})^{1.6}$$으로 주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전보에서 구한 k와 일치하는 것이므로, 전보에서 구한 k는 자루그물에 대한 책험의 결과와 잘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 1 보(報) : 기초시험(基礎試驗)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 Basic Experiments)

  •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6
    • /
    • 1986
  •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에 대한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 결과(結果)를 활용(活用)하여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성행(盛行)하고 있는 논토양(土壤) 다모작(多毛作) 이용(利用)을 위한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을 확립(確立)코자 2개년간(個年間) 토양별(土壤別)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별(土壤別) 심토(心土)를 채취(採取)하여 벼앞그루 작물(作物)과 벼를 무비조건(無肥條件)으로 2모작(毛作)한 잠재생산력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미사식양질토양(微砂埴壤質土壤)에서 가장 높았고 "배수불량(排水不良)"한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가장 낮았으며 토양별(土壤別) 생산력비교가 용이(容易)하였다. 2. 유기물분해력(有機物分解力)도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이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보다 높았고 사양질토양(砂壤質土壤)은 밭상태(狀態) 및 담수초기(湛水初期)의 저온시(低溫時)에 분해력(分解力)이 높은 반면에 담수후기(湛水後期)에는 식양질토양(埴壤質土壤)이 높았다. 3. 강우후(降雨後) 경운가능상태(耕耘可能狀態) 도달일수(到達日數)는 식양질계토양(埴壤質系土壤)이 식질계토양(埴質系土壤) 보다 5일정도(日程度) 빨랐고 경운가능기간(耕耘可能期間)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의 식질(埴質)에서 가장 긴 반면(反面)에 식양질(埴壤質)은 가장 짧았으며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은 토성간(土性間)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4.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을 수록 생산력지수는 높았고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한 토양(土壤)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변이(變異)가 중립질토성(中粒質土性)에서 낮았고 조립질(組粒質) 및 세립질(細粒質)은 높았으나 "배수불량(排水不良)" 답(畓)은 그 반대(反對)이었다.

  • PDF

제주도 우도의 홍조단괴 해빈 퇴적물의 특징과 형성조건 : 예비연구 결과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conditions of the Rhodoliths in Wu Island beach, Jeju-do, Korea: Preliminary Report)

  • 김진경;우경식;강순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401-410
    • /
    • 2003
  •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의 서쪽에 분포하는 서광리 해안에는 3개의 해빈이 발달해 있으며, 이 해빈들에는 모두 홍조단괴로만 이루어져 있는 해빈퇴적물이 분포한다. 해빈을 이루는 홍조단괴 퇴적물은 조립 샌드에서 그래뉼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해빈과 평행한 방향으로 대상분포하고 있으며, 해안가의 암반 사이와 해빈의 북쪽에 위치하는 방파제에는 자갈 크기의 홍조단괴가 밀집되어 퇴적되어 있다. 이는 서광리 앞의 천해에서 성장하던 홍조단괴가 태풍 에 의해 해안가로 운반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홍조단괴를 이루는 홍조류에 대한 조직적 관찰 결과, 대부분의 홍조류는 덮개상 홍조류의 일종인 Lithophyllum sp.로 분류된다. 해빈을 이루는 조립 샌드에서 그래뉼의 홍조단괴는 핵을 중심으로 천해에서 성장하다가 파랑에 의해 그 표면이 심하게 마모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자갈에서 왕자 갈 크기의 홍조단괴는 다른 생물체의 각질을 포함하고 있거나, 태선류와 같은 덮개상 동물과 함께 자란 것도 관찰 할 수 있다. 홍조단괴는 성장함에 따라 그 형태가 동심원상에서 동상으로 변화해 가는데, 이는 홍조단괴가 자라면서 크기가 커짐에 따라 조류나 파랑에 의해 잘 뒤집히거나 구르지 않게 되고 비교적 에너지가 낮은 지점에서 성장하였음을 의미한다. 홍조단괴 내에 형성된 공극(콘셉터클, 태선류 내의 공극, 천공 등)에는 천해 교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구과상이나 침상의 아라고나이트 교질물과 방해석 교질물이 발견된다. 서광리 앞 천해에서 많은 홍조단괴가 성장하는 것은 이 지역이 홍조단괴의 성장에 알맞은 해양학적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지역은 수온이 약 19$^{\circ}C$ 정도로 연중 따뜻하고, 하천을 통한 화산쇄설성 퇴적물의 유입이 없어 바닷물이 매우 맑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홍조류의 서식에 알맞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도수로의 천해 지역은 수심이 대부분 15 m 정도로 얕아 매우 빠른 조류가 흐르며, 이러한 빠른 조류와 파랑으로 인해 홍조류가 빈번히 뒤집히거나 구르며 성장하여 홍조단괴를 형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름철마다 이 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는 태풍은 홍조단괴의 성장에 기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증발스트레스지수를 활용한 국내 돌발가뭄 감지 (Detection of flash drought using evaporative stress index in South Korea)

  • 이희진;남원호;윤동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8호
    • /
    • pp.577-587
    • /
    • 2021
  • 가뭄은 수개월, 수년 이상에 걸쳐 서서히 발생 및 지속되며, 식생에 대한 피해가 발생할 때까지 확실한 인식이 어렵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 및 기온상승 등으로 인하여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상 이상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이내 빠르게 발전하는 가뭄을 확인할 수 있다. '돌발가뭄(Flash Drought)은 일반적인 가뭄과 달리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표면온도의 상승과 비정상적으로 낮고 빠르게 감소하는 토양수분으로 인하여 식생에 대한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면서 광범위한 작물 손실 및 용수공급 감소 등에 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가뭄으로 정의된다. 짧은 기간의 급속하게 발생하는 (rapid-onset) 돌발가뭄은 발생원인인 토양수분함량의 감소와 강수의 부족, 낮은 습도, 고온 및 강풍 등으로 인한 증발 수요의 증가 등과 유사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농업 및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발생원인 또한 농업가뭄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을 활용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증발스트레스지수(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하여 국내의 돌발가뭄 감지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표준강수지수, 토양수분, 최고기온, 상대습도, 풍속, 강수량 등과 비교를 통하여 돌발가뭄사상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돌발가뭄 발생 이전 8주간을 기준으로 상관분석하였으며, ESI와 표준강수지수, 토양수분, 최고기온에 대하여 0.8(-0.8)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돌발가뭄에 대한 유형별 분석 및 국내 돌발가뭄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증발스트레스지수는 돌발가뭄사상의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속 실리콘 웨이퍼 직접접합 공정 (High Speed Direct Bonding of Silicon Wafer Usi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 차용원;박상수;신호준;김용택;이정훈;서일웅;좌성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웨이퍼의 고속 직접접합 공정을 위하여 상압 플라즈마와 함께 에어로젤 형태의 초순수 분사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활성화 및 결함이 없는 실리콘 직접접합 공정을 개발하였다. 플라즈마 공정의 다양한 인자, 즉 $N_2$ 가스의 유량, CDA(clean dry air)의 유량, 플라즈마 헤드와 기판 간의 간격, 플라즈마의 인가전압이 플라즈마 활성화, 즉 친수화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이 접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접합 강도의 측정은 crack open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접합 강도가 제일 높은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400^{\circ}C$의 열처리 온도 및 2 시간의 열처리 시간이었다. 플라즈마 스캔 속도 및 스캔 횟수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한 결과, 스캔 속도는 30 mm/sec, 스캔 횟수는 4 회에서 최적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열처리 조건과 플라즈마 활성화 조건을 최적화 한 후 직접접합을 하여 적외선투과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접합된 웨이퍼에서 접합 공정으로 인한 공극이나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접합된 웨이퍼의 접합 강도는 평균 $2.3J/m^2$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