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of the causes of fir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Detection of Wildfire-Damaged Areas Using Kompsat-3 Image: A Case of the 2019 Unbong Mountain Fire in Busan, South Korea

  • Lee, Soo-Jin;Lee, Yang-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9
    • /
    • 2020
  • Forest fire is a critical disaster that causes massive destruction of forest ecosystem and economic loss. Hence, accurate estimation of the burned area is important for evaluation of the degree of damage and for preparing baseline data for recovery. Since most of the area size damaged by wildfires in Korea is less than 1 ha, it is necessary to use satellite or drone images with a resolution of less than 10m for detecting the damage area. This paper aims to detect wildfire-damaged area from a Kompsat-3 image using the indices such a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FBI (fire burn index) an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ethods such as Otsu thresholding and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To mitigate the salt-and-pepper phenomenon of the pixel-based classification, a gaussian filter was applied to the images of NDVI and FBI. Otsu thresholding and ISODATA could distinguish the burned forest from normal forest appropriately, and the salt-and-pepper phenomenon at the boundaries of burned forest was reduced by the gaussian filter. The result from ISODATA with gaussian filter using NDVI was closest to the official record of damage area (56.9 ha) publish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Unlike Otsu thresholding for binary classification,since the ISODATA categorizes the images into multiple classes such as(1)severely burned area, (2) moderately burned area, (3) mixture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and (4) unburned a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ies consisting of burned and normal forests can be better expressed. It is expected that our approach can be utilized for the high-resolution images obtained from other satellites and drones.

국내 화학사고의 휴먼에러 기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Human-errors in Major Chemical Accidents in Korea)

  • 박정철;백종배;이준원;이진우;양승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6-72
    • /
    • 2018
  • This study analyses the types, related operations, facilities, and causes of chemical accidents in Korea based on the RISCAD classification taxonomy. In addition, human error analysis was carried out employing different human error classification criteria. Explosion and fire were major accident types, and nearly half of the accidents occurred during maintenance operation. In terms of related facility, storage devices and separators were the two most frequently involved ones. Results of the human error-based analysis showed that latent human errors in management level are involved in many accidents as well as active errors in the field level. Action errors related to unsafe behavior leads to accidents more often compared with the checking behavior. In particular, actions missed and inappropriate actions were major problems among the unsafe behaviors, which implicates that the compliance with the work procedure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education/training for the workers and the establishment of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human error, the frequency of skill-based mistakes leading to acci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rule-based and knowledge based mistakes. However, there was limitation in the analysis of the root causes due to limited information in the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 To solve this, it is suggested to adopt advanced accident investigation system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in regulation.

신경회로망과 고장전류의 변화를 이용한 고장판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orithm for Fault Discrimination in Transmission Lines using Neural Network and the Variation of Fault Currents)

  • 여상민;김철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8호
    • /
    • pp.405-411
    • /
    • 2000
  • When faults occur in transmission lines, the classification of faults is very important. If the fault is HIF(High Impedance Fault), it cannot be detected or removed by conventional overcurrent relays (OCRs), and results in fire hazards and causes damages in electrical equipment or personal threat. The fast discrimination of fault needs to effective protection and treatment and is important problem for power system protection. This paper propolsed the fault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algorithm for LIFs(Low Impedance Faults) and HIFs(High Impedance Faults). This algorithm uses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variation of 3-phase maximum currents per period while faults. A double lines-to-ground and line-to-line faults can be detected using Neural Network. Also, the other faults can be detected using the value of variation of maximum current. Tes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discriminate LIFs and HIFs accurately within a half cycle.

  • PDF

한국 소방공무원 복제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Korean Standards for Firefighters' Uniforms)

  • 정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1
    • /
    • 1998
  • In this paper the Korean standards of clothing for firefighters were examined and analysed to improve the uniform's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Korean standards for firefighters' uniforms first established in 1949 and were amended eleven times before 1983. The standards were reestablished in 1983 and had been amended four times by 1995. Recently there have been different causes of fire, and fires have become bigger and bigger.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Korean standards for firefighters' uniforms. 2. The Korean standard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and USA. In Japan, firefighters' uniforms are classified by factors such as season and working conditions, while in Korea they are classified by factors such as sex and position. Furthermore, there are many items which are not mentioned in the Korean standards, such as ear covers and gloves. Textile materials are specified by brand names or company-designated item names. Classification of clothing items also needs to be esamined. 3. Such words as fire-proof, water-proof and heat-proof clothing just mean that the clothing blocks fire, water, or hear, and do not specifically include the meaning of protecting firefighters. Some word such as "firefighters' clothing" must be developed to imply all these types of blockage and protection. 4. Considering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e rules of romanization of borrowed words, and technical terms for clothing many technical words in the Korean standards for firefighters' uniforms are not appropriate, and need to be corrected and improved.

  • PDF

가스사고 통계 및 분석에 관한 고찰 (A Gas Accident Statistics and Analysis)

  • 권혁진;박찬옥;박찬일;여창훈;이장우;홍지룡
    • 한국화재조사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9-65
    • /
    • 2008
  • 각종 화재사고 분류 중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가스사고는 그 형태와 원인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가스사용량은 사용가구수가 증가와 사용 장소 및 가스기기의 다양화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도 가스사용량은 35,078천톤으로서 연평균 9.4%증가하였다. 가스사고는 95년 557건을 최고로 하여 2007년도에는 123건 발생하여 연평균 11.5%감소되었다. 가스의 종류에 따른 사고건수는 LP가스의 경우 전체 가스사고중 약 80%를 차지하고, 도시가스와 고압가스가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LP가 많았고, 특히 공급자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스사고는 사용자취급부주의, 공급자 취급부주의, 시공불량 및 노후제품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하여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스사고의 분류와 형태별, 원인별, 지역별 등에 대한 사고분포를 통해 가스사고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하고 가스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 PDF

다중이용업소의 내장재 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s in Entertainment Occupancy)

  • 이주헌;윤명오;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0-107
    • /
    • 2001
  • 건물 내장재는 화재 발생 시 화염 확산 및 유독성 가스발생의 주원인으로 피난안전계획에 매우 중요하지만 다중이용업소의 인테리어 공사 시 화재성능에 대한 검증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동일한 유형의 인명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내장재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현행 관련규정상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체 밀착재를 제외한 내장재는 가칭 화재안전코드규정에서 사용규제하고, 소방·방화완비증명제도 시행 전 허가·신고된 다중이용업소는 건축법시행령에 소급하여 적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며 지하 소규모 업소에 대한 소방방화시설 법제화, 내부 용도 변경 시 내장재사용 도면첨부 및 무단 변경 시 관련기관에 통보조치, 이동성가구에 대한 방염 처리 의무조항 신설, 화재확산 빛 연기 유독성을 기준으로 하는 재료등급 평가 및 시험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 해양선박사고의 인적 오류의 요인 평가 (Evaluation of Human Factors in Ship Accidents in the Domestic Sea)

  • 김동진;곽수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8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identified criterial human factors(errors), most of which lead to terrible ship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sinking, fire and explosions resulting both in human lives and physical damages to ships as well as surrounding environments. To this end, we went through the accident reports of 413 cases over 2005~2009 period and classified the human factors into 6 major factors with 19 sub ones which were constructed in hierarchical ord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major factors was calculated and among others the lack of awareness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the weight of 0.391. The contributions of the results in the research are two fold: it will help (i) identify the root causes of ship accidents and prevent further potential ship related incidents, (ii) analyze the degree of the risk associated with the ship accidents, when risk analysis is performed.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Spalling Phenomenon of High Strength Concrete during a Fire Accident)

  • 김형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0-86
    • /
    • 2006
  • 본 고찰은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주요 이슈 중의 하나인 폭열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폭열의 정의, 분류 및 각각의 특징, 발생원인과 그 반응기구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폭열은 급격한 온도 상승, 높은 수분 함유량, 낮은 물시멘트비(W/C), 콘크리트 내에 국부적인 높은 응력 발생 등과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을 토대로 폭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콘크리트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방법, 콘크리트의 비산을 억제하는 방법, 그리고 빠르게 내부 수분을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이러한 방법 가운데 가장 효율적인 폭열 방지 방안으로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폭열에 이르게 하는 함수율 이하로 낮추어서 콘크리트 자체의 내폭열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실제 강제건조를 통해 함수율을 어떤 임계치(critical value) 이하로 낮추게 되면 폭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수동적인 자연건조 외에 강제건조 등으로 함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계치 결정을 위해 추가적인 많은 실험 및 자료가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옥내배선, 콘센트 및 플러그 개선을 통한 전기화재 예방대책 (Electrical and Fire Prevention Measures through Improvement of Indoor Wiring, Outlets and Plugs)

  • 정성효;안희석;이용수;김창은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1-39
    • /
    • 2018
  • 국내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 중 약 20%가 전기설비에서 기인한 화재로 확인되고 있다. 복잡하고 대형화되어있는 건축물에서 전기화재는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가 증가하면서 대형화하는 양상으로 발생하고 있다. 여러 가지 전기화재의 원인 중 누전에 의한 발화가 약 71.5%를 차지하고 있고, 전기설비별 분류에서는 배선 및 배선기구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약 38.3%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옥내배선 형태를 개선하여 누전으로 인한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배선기구에서 범용 되고 있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개선하여 배선기구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는 근원적 방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되는 전기화재 예방대책은 전기화재의 근원적 원인을 제거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MS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연기 탐지 (Detection of Wildfire Smoke Plumes Using GEMS Images and Machine Learning)

  • 정예민;김서연;김승연;유정아;이동원;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967-977
    • /
    • 2022
  • 산불의 발생과 강도는 기후 변화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다. 산불 연기에 의한 배출가스 대기질과 온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산불 연기의 효과적인 탐지를 위해서는 위성 산출물과 기계학습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산불 연기 탐지에 대한 연구는 구름 식별의 어려움 및 모호한 경계 기준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위성 센서인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의 Level 1, Level 2 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연기 탐지를 목적으로 한다. 2022년 3월 강원도 산불을 사례로 선정하여 산불 연기 레이블 영상을 생성하고, 랜덤 포레스트 모델에 GEMS Level 1 및 Level 2 자료를 투입하여 연기 픽셀 분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훈련된 모델에서 입력변수의 중요도는 Aerosol Optical Depth (AOD), 380 nm 및 340 nm의 복사휘도 차, Ultra-Violet Aerosol Index (UVAI), Visible Aerosol Index (VisAI),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포름알데히드, 이산화질소, 380 nm 복사휘도, 340 nm 복사휘도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2,704개 픽셀에 대한 산불 연기 확률(0≤p≤1) 추정에서 Mean Bias Error (MBE)는 -0.002, Mean Absolute Error (MAE)는 0.026, 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0.087, Correlation Coefficient (CC)는 0.981의 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