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cal poetr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 (On the reading method of Korean old poetry in the digital age)

  • 염은열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65-90
    • /
    • 2008
  • This study is on the reading method of Korean old poetry in the digital age. Now days, we are living in digital media. The method of getting, organizing, and producing information is changed a lot. So for keeping pace with this change, we should reflect our teaching method. Of course, the purpose of our reflection is not to follow digital media's method and change or alter existing reading or teaching method, but it is to identify proper own reading strategy of old poetry and adjust existing method for our student who are skilled with digital media. We propose three kinds of method for student readers in school. These are 1) starting like a newspaper reader, 2) getting context (reading, making hyperlink), and 3) figuring as an architect (reading as space or scenery creator). In addition, we think about recent tendency that Korean old poetry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as digital contents in digital space. We call it digitalizing of old poetry. The experiencing old poetry as a digital contents is different from reading old poetry, so we cannot alter old poetry reading experience into experience of digital contents. In conclusion, digitalizing contents should be used restrictively to fertilize reading experience of original old poetry.

언어 시각화를 통한 한국의 시대별 고전화장 연구 (A Study of Classical Makeup of the Korean Age by Using Language Visualization)

  • 방기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114-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elements for effectively conveying the make-up method of the Korean history. We will do basic research on language visualization through visual poetry by using a make-up method as a visual expression element. Our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a related literature research, an internet search, and case study methods. The make-up methods of Korean classical make-up through visual poetry consisted of a through literature review. First, make-up methods, cosmetics, jewelry, and hair styles are shown in the classic make-up style of each age. Second, classical make-up visual poetry shows the identity, gender, and character depictions. Third, there were many visual metaphors about the hair types, figures, and hair among the classical make-up methods of each age. I think that this topic is worth researching as an appropriate medium to increase attractiveness. This research is with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the Korea make-up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traditional make-up method that expresses and reinterprets visual metaph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basic research.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Accepting Method i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Past, Present, and Future)

  • 손태도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7호
    • /
    • pp.5-45
    • /
    • 2018
  • 문학활동은 이를테면 '문학생산' 활동과 '문학수용' 활동으로 양분된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은 고전문학의 수용과 관계된다. 그러나 문학수용 활동은 사실상 문학생산 활동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것이기에, 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논의에는 문학수용 활동 외에도 문학생산 활동에 대한 논의도 흔히 같이 다뤄진다. 오늘날 현대의 시, 소설 등과 같은 문자문학의 경우 '문학생산 : 문학수용'은 '쓰기 : 읽기'로 비교적 간단하다. 그런데 고전문학에서는 시가문학, 소설문학, 구비문학, 한문학 등에 있어 그것은 '가창, 음영, 구연, 공연, 강독(講讀), 쓰기 : 듣기, 읽기'의 방식들이 있다. 또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은 문학만으로 이뤄진 이른바 단독예술이지만, 가창, 공연되기도 하는 고전문학은 음악, 연극 등이 수반된 복합예술들도 많다. 이러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에 대한 문학적 소양도 가질 필요가 있고, 문학 외의 음악, 연극 등에 대한 시각도 필요하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들과 관계해서 오늘날에도 연구할 만한 과제들이 많이 있다. 고전시가에는 신라시대 불교의 향찬(鄕讚)으로서의 향가, 가곡과 무가(巫歌)의 관계, 가곡 한바탕에서의 가곡창사들의 순서, 시용향악보에 실린 무가(巫歌)들은 국가의 별기은(別祈恩)과 같은 국행 굿에서 불린 사실, 가사 장르의 향유방식으로서의 '창조로 불림' 등이 오늘날에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연구과제들이다. 고전소설의 경우에는 지금에라도 전통사회의 소설 강독에 대한 현지 조사들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에는 전문 이야기꾼에 대한 조사와 그의 구연 영상물 제작이 이뤄져야 한다. 한문학에는 시창(詩唱), 한문 사(辭) 부(賦) 문(文)의 '창조로 불림', 한문경서(經書)의 성독(聲讀) 등에 대한 조사,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오늘날 고전문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입각한 여러 시각들도 가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과 같은 '듣는 문학'에는 '구전공식구(formular)'(일반적 언술), '핵심적 주제(theme)'(일반적 주제), '즉석변개작법'(improvisation) 등과 같은 A. 로드의 '구전공식구 이론(formular theory)'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수한 언술', '특수한 내용', '원전비평'을 중시하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정반대되는 면이 있다.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이 많은 고전문학은 구비문학의 이러한 문학적 방식을 기본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려가요나 실창 판소리들에 있는 과도한 음란(淫亂) 지향의 경우는 흥행을 목적으로 한 개방된 공간에서의 연행이란 문학 실현 공간 설정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한편 문학수용에 있어 '읽기'만 있고 예술적으로도 단독예술로 문학만 있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달리, '듣기'도 있고, 고전시가나 구비문학에서처럼 문학 음악, 문학 연극 음악, 문학 연극무용 음악 등의 복합예술로도 있는 고전문학은 역시 '듣기'로 수용되고 문학 음악, 문학 연극 영상 음악 등의 복합예술로 있는 대중가요, 영화, TV 드라마 등과 같은 현대의 매스미디어 문학의 이해, 연구에도 분명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은 물론 문학 곧 문학사설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나 향유방식에 의해 그 문학사설들이 결정되는 면도 분명히 있다. 특히 '읽기' 외에도 '듣기'에 의한 향유가 많았고, 문학 단독 외에 문학이 음악, 연극, 무용 등과 같이 향유된 면들이 많은 고전문학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고려는 고전문학의 이해, 연구, 교육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19세기 말 20세기 초 시가(詩歌) 수용 태도 고찰 -노래에서 시문학으로의 시가 향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ceptance of Hae-Dong-Yu-Yo(海東遺謠) as a form of poetry -focus on reception of songs into poetry-)

  • 정소연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287-326
    • /
    • 2016
  • 본고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인 ${\ll}$해동유요(海東遺謠)${\gg}$에 나타난 편저자의 수용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작품의 목록과 배열, 구성 등을 통하여 한시의 비중이 상당한 점과 작품들이 일련의 관련성을 가지고 작품군으로 배열되고 있는 점, 기존 작품의 수용이 적극적 창작으로까지 나아간 점 등을 통해 국어시가의 노랫말을 기록하는 기존의 가집으로서의 성격보다는 시로서 한시와 국어시가를 대등하게 인식하고 시가에 대한 감상과 수용자의 인식 태도를 기록하는 시집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기원전 4세기부터 12세기까지는 한시 위주로, 12세기 이후에는 한시와 국어시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어서 국문 매체의 시대에 한시와 국어시가가 공존하는 시가사적 흐름을 잘 포착하였다. 나아가 편저자가 직접 짓거나 한역한 신출작을 소개하고 이 역시 수용자로서의 적극적 태도라는 점을 밝혔다. 3장에서는 편저자의 수용태도를 잘 보여주는 청홍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추출하였다. 청홍점이 찍히지 않은 곳을 빼고 작품을 읽었을 때에 대화체가 약화되고 반복, 나열 등의 리듬감과 노래의 맛이 적어지는 등의 노래로서의 구술성이 적어지는 점, 내용 전개에 요긴하지 않고 장황한 설명이나 묘사는 빠지고 내용의 핵심적 전개를 보이는 점, 하층민의 삶에 해당하는 내용은 빠지고 상층 취향의 풍류를 즐기는 주제가 강화되는 점 등을 통해 노래로서의 시가가 아니라 시문학으로서 시를 읽어내는 지식인으로서의 수용 태도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ll}$해동유요${\gg}$가 놓여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시가 향유의 한 측면이지만 특수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공동 향유 작품의 개인화, 가창 가사의 시각적 읽기 향유의 흔적들로서 ${\ll}$해동유요${\gg}$의 문헌에 접근하였고, 이는 고전시가에 대한 수용 태도의 한 단면이자 고전시가의 수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관련해 교수학습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이전 일문 「최치원」의 독법(讀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Method of "Choi Chi-won")

  • 이지선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5호
    • /
    • pp.123-152
    • /
    • 2017
  • 전기(傳奇) 갈래는 시(詩)와 문(文)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갈래다.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은 시(詩)가 중요하게 활용된 초기 전기(傳奇) 갈래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최치원(崔致遠)"이 시체(詩體)의 비중이 높은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시 중심의 읽기 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시체를 중심으로 한 첫 번째 독법으로서 한시(漢詩)의 갈래 특성에 천착하여 '운(韻)'의 변화에 주목한 읽기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로 '흥(興)'을 중심으로 한 음미의 읽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에 초점을 맞추어 읽게 될 경우, 작품을 읽는 독자는 그 정서적 작용성에 더욱 큰 초점을 두게 되므로, 시 중심의 독법을 통해 "최치원(崔致遠)"의 서정적인 특질은 보다 미학적으로 포착될 수 있다. 시체 중심의 읽기 방법은 복합적인 문체로 구성된 전기(傳奇) 갈래의 다층적인 미학적 특질을 포착하는 독법 중 하나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Data Mining Research on Maehwado Painting Poet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Haeyoung Park;Younghoon 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4호
    • /
    • pp.474-482
    • /
    • 2023
  • Data mining is a technique for extracting valuable information from vast amounts of data by analyzing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operations, rules, and relationships. In this study, we employed data mining technology to analyze the data concerning the painting poetry of Maehwado (plum blossom painting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data was extracted from the Hanguk Munjip Chongga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in the Hanguk Gojeon Jonghap database (Korea Classics DB). Using computer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we carried out web scrap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painting poetry from the Hanguk Munjip Chonggan. Subsequently, we narrowed down our focus to the painting poetry specifically related to Maehwad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refined dataset, we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data at the syllable corpus level. As a result, we foun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orpus statistics for each syllable in Maehwado painting poetry and the symbolic meaning of plum blossoms.

다산(茶山) 우화시(寓話詩)의 확장(擴張)과 전이(轉移) -<오즉어행>과 <리노행>을 중심(中心)으로- (Expansion and Transition of Tasan's Allegoric Poetry)

  • 이경아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329-353
    • /
    • 2008
  • Tasan Jeong Yak-yong is great scholar, who makes a synthesis of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of Korea], reformer of society, and a poet in the Joseon Dynasty. He expressed contradiction and conflict of those days by intellectual language, and reperceived basic ideology of the Joseon society. Also he theorized dissatisfaction of the people about those days and its system as form of religion. We can divide Tasan's life into two times. The first part is his ages 16~39 in the period of Jeong-jo(1777~1800). The second part is in the period of Sun-jo(1801~1834). In this period, he was exiled into Gang-jin for 17 years. After banishment, he lived a quiet life for the rest of his life in his hometown. His allegoric poetry were written in this second period. The special feature of allegoric poetry is strong satire. An allegory would be that is 'king's ear', which the barber has sight, or the barber's voice, which has divulged king's secret among the bamboos. Otherwise it would be that is the sound 'king's ear is donkey's ear' in the bamboos. This sound is divulging of the true donkey's ear. It doesn't travel to audiences, but travels trough wind in the bamboos. The narration exists just as story that barber can't stand to keep silence about king's secret. There are exposure of true and critical motive as allegoric expression. Tasan's allegoric poetry stand on the basis of his love for the people. Also there reveals his thought deeply with an enormous amount of reading and self-communion. Moreover there are his warm mind with his sharp insight in which captures alive lives as allegoric materials. Most of allegoric poetry satirize actuality of those days to make an excuse for external distinguishing marks of animals and plants. However Tasan's poetry are different from them. After he grasped serious problems from his contemporary actuality, and then choosed allegoric media to express correctly. Because he grasped the special features of lives after minute observation, he could exposure controversial point of the actual. His sharp insight was not limited to allegoric media. He noticed his period and the current of his society sensitively. It made his allegoric poetry as important materials to make us to know the condition of the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Tasan's allegoric poetry is inherited by Baek Seok[白石, 1912~1995] as regular juvenile literature. Baek Seok's juvenile stories are the results of expansion and transition for Tasan's allegoric poetry. Allegoric poetry was the shout of barber to prosecute about social irregularities and contradiction, and the sound of the bamboos to travel moaning of the people in the past. Now allegoric poetry create new emotion to make us to speculate ourselves with our surrounding. This changes are caused by special feature of allegoric poetry as a form to reflect our general lives.

중당(中唐) 승려(僧侶) 시풍(詩風)의 선구자(先驅者) 영일(靈一)의 시세계(詩世界)와 문학사적(文學史的) 의미(意味) 고찰(考察) (As a Pioneer of the mid-tang dynasty Monk's poem style of Ling-yi's Poem world & th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 이경민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55-84
    • /
    • 2012
  • This paper is to study the Tang Dynasty monk poet Ling-yi's poem world and his significance on history of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history, "the monk poets" is a very unique literature creation group. The means of a word "the monk poet", from the literal can see " he is the monk that Can write poems", which is dedicated to professionally writing poetry monk. Buddhism spread to China, from the Wei and Jin Dynasty beginning has been writing poetry of the monks, but the real meaning of "the monk poet" (i.e., professionally poetry monk) appeared to the Mid-Tang Dynasty period. The monk Ling-yi is the pioneer of the monk poets group and Buddist monk creative poem in Mid-tang Dynasty period. Although the Lingyi life is very short, only 35 had died, and his poetry has not been too much, only 44 songs, but he in this life of 35 years and 44 poems, for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poetry left noticeable imprinting. He is not just as monk's high practice and by advocating for great Buddhist scholar, also through the daily meditation in poetry creation practice were obtained at that time of many men of literature and writing respected. This paper from the poem monk Ling-yi double identity - the first is a Buddhist monk, the second is addicted to poetry poet to proceed, step by step, in-depth study as the poem monk Ling-yi's poetry creation characteristic and the creative mentality characteristics. This thesis also explores the poem monk by the creation of poetry pursuit, exploration, finally realized "poem" and "Zen" together as one "Zen poetry" creation mechanism.

진사도(陳師道), 『후산시화(後山詩話)』의 시론(詩論) (The Research of Houshan's Comments on Poets and Poetry)

  • 김규선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9-31
    • /
    • 2018
  • 북송의 대표적인 시화 중 하나인 진사도의 "후산시화"는 송대에 들어와 성숙하기 시작한, '시화(詩話)'라는 문학비평 양식의 초기 대표작으로 심대한 의의가 있다. 수필식의 단편적인 기록도 적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전문적인 비평과 이론 저작의 단초가 드러나 있다. 특히 "후산시화"의 시론은 송대 문학의 유행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면서 송대 시학의 전형적인 주장들을 깊고 정교하게 담아냈다. 시 창작주체의 인격 수양과 지식의 축적, 역대 시인들에 대한 학습과 황정견을 경유한 두보 시의 학습 그리고 '어의개공(語意皆工)'을 통한 '무공(無工)'의 지향 등은 북송 중후기 문인들의 창작 실천 및 심미 취향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진사도는 지금까지 형식주의적 시인으로 알려져 있었고 실제로 시 창작의 법도와 전범의 학습을 중시했다. 하지만 그의 시론의 최종적인 목표는 '자유자재함'(自在)함이었지 엄격한 법도 그 자체가 아니었다. 단지 끊임없이 전범을 학습하고 법도에 맞는 엄격한 훈련을 해야만 '자유자재함' 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을 뿐이다. 따라서 "후산시화"에 개진된 그의 시론은 단순히 형식주의적 견해로 간주될 수 없다. 그는 정교한 형식과 내용을 두루 갖춰 이상적인 창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을 지향했기 때문이다.

한국 문학 속의 비극 (Tragedy in Korean Literature)

  • 고정희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4호
    • /
    • pp.223-257
    • /
    • 2017
  • 오랫동안 동양 문학에는 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이는 행동을 모방하고 극적 구조를 지닌 고대 그리스 비극을 비극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었다. 이 글은 이러한 고정된 기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한국의 비극 작품들이 지니는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비극이라는 장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극과 서정의 장르적 성격을 살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즉 어떤 작품이 고통을 당하고 있는 작중인물과, 그 작중인물을 바라보며 관찰하는 자가 분리되어 있는 극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작중인물에 대한 관찰자의 연민이 드러난다면 서정적인 담화양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비극'이라고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 3장의 논의를 통해 한국의 서정시 중에는 시적자아가 고통스러운 교착상태에 빠진 작중인물과 관찰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관찰자가 작중인물을 연민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비극 작품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비극의 특징들은 비극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서구의 비극 개념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웠던 현대 비극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실마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