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satisfaction

검색결과 1,114건 처리시간 0.032초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 Lee, Jungmi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6호
    • /
    • pp.135-147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online studio classes within apparel and fashion-related departments during the spring of 2020 was conducted in June 2020. Responses from a total of 21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Respondents rated lecture clips as the most useful, followed by teacher demonstration and feedback, PowerPoint (PPT) supplements, and Q&As. Frequently mentioned areas of improvement were online platform stability and video quality. Many respondents also stated that more streamline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channels, immediate and meticulous teacher feedback, the adoption of course contents developed specifically for an online environment, and provisions for equipment usage would be desirable. Student satisfaction of an online fashion desig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and affective response toward COVID-19. Students satisfaction of an online garment constructio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developing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llow students to feel included in class and establish an online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to enhance the sense of social connection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las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 JUNG, Myung-He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543-55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aimed to not only analyze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but also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of life within the socioeconomic status where the elderly consider themselves to be an integral part. The elderly's satisfaction in life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The correlations of objectiv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were also observed. For this purpose, the Korea Labor Panel 17th data (2014) was used to conduct a one-way batch distribu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the Korean elderly in terms of class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with a lowe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The relative influences were stronger than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much higher than the objective income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independent of the objective income level.

온라인 수업 운영 방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 초등 영어과 과목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Instruction Satisfaction by Online Class Types - Focusing on the English Class in Elementary -)

  • 이재호;이승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시행되는 온라인 수업 운영 방법 중 '콘텐츠 활용 및 과제수행 수업 운영 방법'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 방법'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콘텐츠 활용 및 과제수행 수업 운영 방법'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 방법'의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집단은 경기도 화성시의 D 초등학생 98명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활용 및 과제수행 수업' 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각각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수업 운영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 방법'에 대한 수업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학생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과제수행을 잘 못 하는 학생과 수업에 집중을 잘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콘텐츠 활용 및 과제수행 수업 운영 방법'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이를 통해 '콘텐츠 활용 및 과제수행 수업 운영 방법'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 방법' 간의 장단점이 있으며, 학생의 실태를 명확히 조사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맞춤형 온라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제언한다.

학습자의 원격수업 만족도와 LMS만족도와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MS Satisfaction)

  • 한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5-31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소재 C대학에서 코로나19 이후 이루어진 원격수업에서 LMS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고, 전체 수업 만족도와 LMS 만족도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C대학에서는코로나19 이후 시행된 대규모 원격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차세대 스마트 LMS 구축 사업을 시작하여 2021학년도 1학기부터 운영하였다. LMS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수업 만족도와 LMS 만족도에 관한 다섯 요인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C대학에서 원격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140명을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C대학에서 원격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는 전체 수업 만족도뿐만 아니라 LMS 만족도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LMS 만족도와 전체 수업 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LMS 기능의 편리성과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관련 요인이 전체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가 LMS 기능이 편리하다고 느낄수록, LMS를 통해 교수자와 원활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전체 수업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정된 변수 측정만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이한샘;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40-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내 대학에서 시행된 비대면 강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원격화상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면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등 수업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9-2020년도에 운영된 총 8707개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유형 및 수업규모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격화상수업의 만족도가 대면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이 병행된 수업이 단일형태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각 수업형태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업규모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는 대면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모두 소규모 수업의 만족도가 중형 또는 대형 수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격화상수업이더라도 소규모 수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학 수업의 패러다임을 확립해 나갈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에서 시간적 기대 효익, 학습효과 기대 효익, 기술적 친숙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 COVID-19, the Effect of Expected benefit of Time, Expected benefit of Learning, and Technology Familiarity in Online Class on Class Satisfaction)

  • 유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57-263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북과 충북에 소재한 치기공과 재학생의 208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적 통계, 평균분석(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시간적 기대 효익은 3.87, 학습효과 기대 효익은 3.30, 기술 친숙도는 3.40, 수업만족도는 3.21로 나타났다. 수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적 친숙도이었다. 온라인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 도구의 활용능력과 온라인 수업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친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호텔조리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Intensive Major Course in Bachelor Degree Major College -Focusing on hotel culinary department enrolled student-)

  • 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48-660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공심화과정 호텔 조리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구조를 유형화 하며,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6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5) : 전공심화과정 교수법 만족형(In-depth major curriculum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ype), 제 2유형(N=4) : 실기중심 수업 만족형(Practical learning class satisfaction type), 제 3유형(N=3) : 현장 중심 수업 만족형(Place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4유형(N=3) : 취 창업 중심 수업 만족형(Employment Establishment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5유형(N=3) : 이론중심 수업 만족형(Theory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6유형(N=2) : 일 학습 병행 수업 만족형 (Work learning concurrent class Satisfying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호학과 학생들의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s on Career Decision Efficacy)

  • 백경화;지치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9-33
    • /
    • 2009
  • 본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 진로요인, 진로 결정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미래계획, 목표해결, 직업정보, 문제해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 학교와 학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수업만족이 미래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수업만족이 목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이 목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수업만족이 직업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수업만족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진로요인이 문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Flow and Satisfaction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51-7059
    • /
    • 2014
  •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와 G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중 교양체육수업에 참여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개 대학에서 총 300명을 표집 하였다. 배부된 300부의 설문지 중 총 264부가 회수 되었으며(응답률 88%), 이들 중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무응답 혹은 오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6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03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교양체육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교양체육수업 만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수업 몰입,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교양체육수업 이외에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여가스포츠 참여 수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화상 수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에 대한 초등학생 및 교사의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for Software Practice Education in Real-Time Video Classes)

  • 강두봉;박한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25-83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과정을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운영한 후 학습자 만족도와 교사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는 다소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과 수업 만족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 학생들의 개인별 PC 환경 및 수업 교구에서 발생하는 문제, 모둠 활동에서 학생들간의 상호작용, 부진 학생에 대한 개별 피드백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에 대한 사전 안내, 수업 교구의 사전 점검 안내문 및 예비부품 제공, 보조강사를 활용한 부진 학생 및 접속 오류 지원, LMS를 활용한 개별 과제 피드백 실시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