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rcumvallate papill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Differential Expression of Taste Receptors in Tongue Papillae of DBA Mouse

  • Choi, Ha-Jung;Cho, Young-Kyung;Chung, Ki-Myung;Kim, Kyung-N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1권1호
    • /
    • pp.25-32
    • /
    • 2016
  • The tongue has 4 kinds of papillae, which are filiform, fungiform (FU), foliate (FO) and circumvallate papilla (CV). Tongue papillae except filiform papilla include taste buds. The papillae differ in taste sensitivities, likely due to differential expression of taste receptors. In this study, we evaluated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in FU, FO and CV. Male DBA2 mice, 42-60 days old, were used in the study. Messenger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murine epithelial tissues including FU, FO and CV. Cloned DNAs were synthesized by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CRs (qPCR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mRNA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Results of qPCR revealed that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and patterns were different among FU, FO and CV. All three type 1 taste receptors were expressed FU, FO and CV at varying relative expression levels. All 35 kinds of type 2 taste receptors showed higher expression in FO and CV than in FU. Tas2r108 and Tas2r137 showed the two highest expression levels in all tested papilla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levels and patterns of taste receptors among the three papillae could contribute to the different physiological sensitivities by tongue areas. Additional studies such as in situ hybridization or taste receptor cell activity recording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and taste sensitivity.

출생후 성장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CGRP 면역양성 신경분포변화 (POSTNATAL DEVELOPMENT OF CGRP-IMMUNOREACTIVE NERVE DISTRIBUTION OF RAT CIRCUMVALLATE PAPILLA)

  • 이재문;김현정;배용철;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9-351
    • /
    • 1997
  • 출생 후 성장 발육에 따른 흰쥐 유곽유두의 신경분포 및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1, 5, 10, 15, 20, 25, 35일 및 완전히 성장한 흰쥐를 대상으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이 혀의 양측에서부터 유두 내로 진입하여 성장발육에 따라 그 분포밀도가 증가하다가 10일군부터는 상피의 직하방에 특히 풍부하게 분포하여 subepithelial plexus를 형성하고 있었다. 1일군에서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의 특징적인 양상인 염주알 모양이 명확히 관찰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염주알 모양은 다소 감소하였고 하나의 선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상피 내로 진입하는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들은 5일군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taste pore를 가진 성숙한 미뢰가 처음으로 관찰되는 10일군에서 그 수가 증가하여 출생 후 15일군에서는 상피 전반에 걸쳐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20일군부터는 미뢰가 존재하는 trench wall의 하방 2/3부위의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는 감소하고 유두의 top surface와 trench wall의 상방 1/3에 CGRP-면역양성 신경섬유가 제한적으로 관찰되었다.

  • PDF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구강편평태선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by Electrogustometer)

  • 김정우;박준상;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13-120
    • /
    • 2006
  • 편평태선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5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부산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구강편평태선으로 진단되어진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2006년 2월에서 4월까지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 00치과병원에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국소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치과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편평태선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전기미각역치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여성에서는 구강편평태선환자군에서 전기미각역치가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남성에서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구강편평태선환자군의 다수의 병소가 있는 경우에는 혀끝, 혀 측방 중앙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곽유두, 연구개 부위에서는 오히려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구강편평태선환자군의 만성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급성환자에서 혀끝, 혀 측방중앙부위에서 만성에서는 유곽유두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구강편평태선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는 모든 부위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고, NAS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국인에 있어서 연령증가에 따른 미각의 변화 (Changes in Electrical TAste Threshold with Advancing Age in Korea)

  • 박성근;김선희;기우천;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4호
    • /
    • pp.327-341
    • /
    • 1998
  • Aim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taste sensitivity with advancing age and to see if smoking or oral hygiene can affect the taste sensitivity. Method : Nine hundred and thirty four subjects(458 male and 476 female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4 age groups( under 20, 20 to 39, 40 to 59, and over 60 age group ).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s were measured using an electrogustometer for the 4 different sites in the oral cavity, I.e., tongue tip, tougue alteral, circumvallate papilla, and soft palate. Results : The elctrical taste thresholds were significantly incresed with advancing age in both gender, but the pattern of change is moere abrupt in female after 40.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ctrical taste threshold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people. Taste threshol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with higher frequency of daily toothbrushing than the groups with lower frequency Conclusion :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s increased with aging. It is not influenced by smoking but by toothbrushing.

  • PDF

Cholinergic and Neurokinergic Agonist-induced $Ca^{2+}$ Responses in Rat von Ebner's Gland Acinar Cells

  • Chung, Ki-Myung;Kim, Sang-Hee;Cho, Young-Kyung;Roper, Stephen D.;Kim, Kyung-N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99-105
    • /
    • 2006
  • Von Ebner's glands (vEG) are minor salivary glands associated with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 The secretions of vEG consist of microenvironment of the taste buds in the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e, and thus saliva from vEG plays a role in the perception of taste. The $Ca^{2+}$ signaling system in rat vEG acinar cell was examined using the $Ca^{2+}$-sensitive fluorescent indicator Fura-2. Agonist-induced increase in intracellular $Ca^{2+}\;([Ca^{2+}]_i)$ was stimulated by carbachol (CCh) and substance P (SP), but not by norepinephrine (NE), and recovered to control levels by their receptor antagonists dose-dependently. The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Ca^{2+}$-free medium, suggesting mobilization from intracellular $Ca^{2+}$ store. These results in the vEG acinar cell indicate that 1) $[Ca^{2+}]_i$ is at least regulated by muscarinic and neurokininergic (NK1) receptors; 2) the increases in $[Ca^{2+}])i$ activated by CCh and SP are mainly mediated by discharge of cytosolic calcium pool.

Type II and III Taste Bud Cells Preferentially Expressed Kainate Glutamate Receptors in Rats

  • Lee, Sang-Bok;Lee, Cil-Han;Kim, Se-Nyun;Chung, Ki-Myung;Cho, Young-Kyung;Kim, Kyung-N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6호
    • /
    • pp.455-460
    • /
    • 2009
  • Glutamate-induced cobalt uptake reveals that non-NMDA glutamate receptors (GluRs) are present in rat taste bud cells. Previous studies involving glutamate induced cobalt staining suggest this uptake mainly occurs via kainate type GluRs. It is not known which of the 4 types of taste bud cells express subunits of kainate GluR.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e of Sprague-Dawley rats (45~60 days old) were used to search for the mRNAs of subunits of non-NMDA GluRs using RT-PCR with specific primers for GluR1-7, KA1 and KA2. We also performed RT-PCR for GluR5, KA1, $PLC\beta2$, and NCAM/SNAP 25 in isolated single cells from taste buds. Taste epithelium, including circumvallate or foliate papilla, express mRNAs of GluR5 and KA1. However, non-taste tongue epithelium expresses no subunits of non-NMDA GluRs. Isolated single cell RT-PCR reveals that the mRNAs of GluR5 and KA1 are preferentially expressed in Type II and Type III cells over Type I cells.

구강건조증환자의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Taste Threshold of the Patients with Xerostomia)

  • 고명연;권경민;허준영;태일호;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67-73
    • /
    • 2008
  • 구강건조증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6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하여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 혀의 측면, 혀끝, 유곽유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2. 남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여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환자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구강건조증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초진 시와 1차 치료 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곽유두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 혀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Tongue of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and Pipistrellus savii)

  • 박지원;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67-276
    • /
    • 2009
  •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한국산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의 혀유두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종 모두 세 가지의 혀유두, 즉, 실유두, 버섯유두 그리고 성곽유두가 관찰되었다. 실유두는 다시 두 종류로 세분화되어졌으며, 침상의 돌기물을 갖는 유형1은 혀의 전반부의 1/2 지점까지 분포하며, 유형2는 밋밋하고 두꺼운 돌기물을 갖고 있으며 혀의 후반부의 1/2에 분포한다. 두 종 모두 35~45개의 버섯유두가 혀의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들 버섯유두는 혀의 측면과 혀의 전반과 후반부의 끝 쪽에서 나타난다. 두 종의 버섯유두는 각각 두 개 혹은 세 개의 매우 큰 유두로 혀의 후반부 중앙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두 개의 성곽유두는 혀의 후반부 끝쪽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성곽유두는 크고 둥글며 각각은 두 층의 pad를 갖고 있다. 긴가락박쥐와 검은집박쥐의 혀유두의 전체적인 형태는 다른 익수류와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종 사이에 드물지만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실유두와 버섯유두에서 나타났다. 검은집박쥐와는 달리 긴가락박쥐의 유형2의 실유두는 두 개 혹은 세 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혀의 후반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큰 버섯유두의 경우, 긴가락박쥐에서는 3개, 검은집박쥐에서는 단지 2개만 관찰되었다.

Expression of Kainate Glutamate Receptors in Type II Cells in Taste Buds of Rats

  • Lee, Sang-Bok;Lee, Cil-Han;Cho, Young-Kyung;Chung, Ki-Myung;Kim, Kyung-N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83-89
    • /
    • 2008
  • Glutamate-induced cobalt uptake reveals non-NMDA glutamate receptors (GluRs) in rat taste bud cell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glutamate-induced cobalt uptake in taste cells occurs mainly via kainate type GluRs. Cobaltstained cells were immunoreactive against GluR6 and KA1 subunits of GluRs. However, the functions of those type of receptors are not known yet. It is important question which types of taste cells are cobalt-stained when stimulated by glutamate and whether they express these kinds of GluRs. Circumvallate and foliate papilla of Sprague-Dawley rats (45-60 days old) were used. A cobalt-staining technique combined with immunohistochemistry against specific markers for taste bud cell types, such as blood group H antigen (BGH), $\alpha$-gustducin (Gus), or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NCAM) was employed. We also performed double labeling of GluR6 or KA1 subunits of GluR with each specific marker for taste bud cell types. Lots of cobaltstained taste bud cells expressed Gus-like immunoreactivity, and subsets of the cobalt stained cells appeared NCAM- or BGH-like immunoreactivity. Stimulation with 1 mM glutamat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obaltstained cells in Gus-like immunoreactive cells, but not in NCAM- or BGH-like immunoreactive cells. In the double labeling experiments, GluR6 and KA1 subunits of GluRs were mainly expressed with G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ainate glutamate receptor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type II taste bud cells in rat.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Recurrent Aphthous Ulceration by Electrogustometer)

  • 전진용;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1. 서론 : 미각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으며 국소적 병소나 전신적 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에 좋은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미각역치검사는 검사방법에 따라 화학용액법과 전기미각측정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전기미각측정법이 자주 사용된다. 전기미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전신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구강내 병소와 관련된 미각의 연구는 불충분 하였다. 이에 구강내 질환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RAU와 미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재발성 구내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27명을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인천 소재 00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는 환자 70명을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 Model EG-2B, Nagashima Medical Instrument Co., Nagashima, Japan)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미각역치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왼손에 전기 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 증가시켰다. 각 부위에서 5분 간격으로 2회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그 부위에 대한 전기미각역치로 정하였고, 측정단위는 dB로 하였다.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들은 진단이 되었을 때 미각역치를 측정하고, 1회 치료 후 한 번 더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4dB에서 느끼지 못하는 연구대상자들의 전기미각역치는 34dB로 기록하였고,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인 실험군에서는 구강증상의 변화를 Numerical Analougue Scale(NAS)로 평가하였다. 3. 결론 : 1.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전기미각역치는 매우 낮았다. 2. 여성에서는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전기미각역치가 매우 낮았으며, 남성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전 부위에서 낮았다. 3.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구내병소가 단일병소일 경우보다 복수 병소일 경우에 미각역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만성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만성환자군에서 혀끝, 유곽유두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급성환자군에서는 혀 측방중앙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는 혀끝, 혀 측방중앙부위, 유곽유두부위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연구개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NAS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