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liver fibrosi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Interferon Alfa 치료 후 혈청학적, 조직학적 소견의 변화 (Ser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after Interferon Alfa Therapy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 고재성;정주영;장자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56-62
    • /
    • 2000
  • 목 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치료에 interferon alfa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소아에서의 치료 후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아 만성 B형 간염에서 interferon alfa의 치료 효과와 추적 생검이 가능했던 환자에서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6개월 이상 HBsAg과 HBeAg 및 HBV DNA가 양성이었으며 간 조직검사상 만성 간염으로 확진된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recombinant interferon alfa 3~6 MU(평균 $3.4\;MU/m^2$)를 주 3회씩 6개월간 피하주사 하였다. 치료 시작 12개월 이상 혈청학적 변화를 추적 관찰하였다. interferon에 반응이 있는 환자 중 18명에서 치료후 간생검을 실시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1) 치료 환자 35명 중 17명(49%)에서 인터페론 치료 시작 6개월에 HBV DNA의 감소가 있었고, 12개월째에 22명(63%)에서 HBeAg 및 HBV DNA의 음전이 생겼으며 18개월까지는 25명(71%)에서 관찰되었다. 반응군에서 혈청 ALT치는 모두 정상화되었고, HBsAg의 음전은 1명에서 관찰되었다. 2) 어머니가 HBsAg 보유자가 아닌 수평감염, 치료전 ALT가 정상의 2배 이상, 간조직의 심한 괴사와 염증이 interferon에 대한 반응이 좋은 예측인자이었다. 3) 치료 후 반응군의 간조직 소견에서 간맥주위괴사, 소엽내 활성도, 간맥내 염증, 간섬유화, total HA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소아 만성 B형 간염에서 interferon alfa 치료 후 63%에서 반응을 보였으며, 혈청학적 변화는 조직학적 소견의 호전과 연관이 있다. 소아 만성B형 간염 환아에서 interferon 치료는 혈청학적, 생화학적, 조직학적 관해를 유도하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이다.

  • PDF

만성 연중독자에서 발생한 신장해 (Nephropathy in Chronic Lead Poisoning)

  • 김병권;김성률;홍영습;나서희;김정만;정갑열;김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43-50
    • /
    • 1996
  • We experienced a case of nephropathy in chronic lead poisoning. The patient was 43-year-old male who has been working in secondary lead smelting plant for 14 years. On admission, blood pressure was 160/90 mmHg and the others were non-specific. In past history, he received chelating agent administration for lead poisoning irregularly and medicated for gout, and the blood lead concentration was $180.0{\mu}g/dl$ on 2 months before admission. Smoking habit has been 1 pack per day for 15 years and drinking habit has been 1 bottle of Soju per day but less flow. In liver function test, AST/ALT were 27/28 IU/l and $\gamma-GT$ was 456 IU/l. In blood test, Hb : 11.5 g/dl, Hct : 34.0% and basophilic stipplings were found in peripheral blood smear. Chest PA was normal and abdominal ultrasonographic finding was non-specific except fatty liver. In the test of lead exposure indices, $PbB:83.0{\mu}g/dl,\;PbU:28.3{\mu}g/l$, and blood ZPP was $300.0{\mu}g/dl$. And in renal function test, BUN : 31.4 mg/dl, blood creatinine : 2.7mg/dl, blood uric acid. 9.1 mg/dl, urinary albumin : 100.0 mg/g creatinine, urinary $\alpha_1-microglobulin$ : 120.5 mg/g creatinine, urinary $\beta_2-microglobulin$ : $183.8{\mu}g/g$ creatinine, and 24 hours urinary creatinine clearance was 31.9 ml/min. The ultrasonoguided renal biopsy showed the global sclerosis of glomerulus, moderate atrophy and loss of tubule, and interstitial fibrosis in light microscopy. There were diffuse losse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 in electronmicroscopy.

  • PDF

당귀(當歸)가 간성상세포의 섬유화 기전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on Fibrogenesis in Rat Hepatic Stellate Cells)

  • 손현수;김영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5-424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on cultur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Hepatic stellate cells(HSC-T6)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ngelica Gigantis Radix extract for both 24 and 48 hours. The extraction was done either with distilled water or 80% EtOH.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procollagen production and the mRNA expression of the ASMA, TIMP1, TIMP2, procollagen Type 1a2, and Cytokine IL-6 production were measured by using MTT assay, BrdU assay, RT-PCR,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and IL-6 ELISA assay. Results : The cell viability treated with water extra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treated with 80% EtOH extraction. The cell proliferation treated with water extraction decreased only in the 24 hours group,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either in the 24 and 48 hours groups treated with 80% EtOH extraction. The mRNA expressions of the ASMA, TIMP2 and procollagen 1a2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48 hours group. Procollagen production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both the 24 and 48 hours groups. Cytokine IL-6 production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both the 24 and 48 hours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elica Gigantis Radix is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cirrhotic patients as well as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젖소 만성 창상성심낭염의 증례보고 및 고찰 (A case study of chronic traumatic pericarditis (Hardware disease) in a Holstein cattle)

  • 김종호;이경현;노수권;조헌호;소병재;김희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5-49
    • /
    • 2021
  • A 23-month-old Holstein cattle showed excess salivation and reluctance of walking and suddenly died after forced sudden movements. Grossly, numerous fibrous adhesions were present within cranial abdominal cavity including the reticulum and diaphragm and thoracic cavity involving lungs, pericardial sac, and heart. A perforation made by a 10 cm-long sharp-ended wire was detected in the reticulum. Histopathologically, fibrous suppurative epicarditis and myocardial necrosis were observed. Fibrosis with neovascularization were found in lungs, spleen, and liver. And granulomatous reticulitis was observed. For differential diagnosis, no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through microbiological tests and PCR results were also negative for bovine susceptible pathogenic antigens. Based on the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e diagnosed this case as chronic traumatic pericarditis. Cattle are inquisitive and prone to swallow various kinds of metallic foreign bodies since they do not use their lips. Therefore, avoiding ingestion of metallic objects in animal feed and animal areas by careful environmental management of farms is required and farmers should give the adequate minerals and vitamins into the feeds not to lick or shallow foreign bodies in case of mineral deficiency. For veterinary practitioners, physical examination, blood tests, and diagnostic imaging (X-ray and Ultrasonography) are required for an exact diagnosis. Furthermore, placing the magnets in rumen would be effective for prophylactic administrations.

Fermented ginseng, GBCK25, ameliorates steatosis and inflammation i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odel

  • Choi, Naeun;Kim, Jong Won;Jeong, Hyeneui;Shin, Dong Gue;Seo, Jeong Hun;Kim, Jong Hoon;Lim, Chae Woong;Han, Kang Min;Kim, Bumse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196-208
    • /
    • 2019
  • Backgrou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is one of the chronic inflammatory liver diseases and a leading cause of advanced liver fibrosi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GBCK25 fermented by Saccharomyces servazzii GB-07 and pectinase, on NASH severity in mice. Methods: Six-wk-old male mice were fed either a normal diet (ND) or a Western diet (WD) for 12 wks to induce NASH. Each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vehicle or GBCK25 once daily at a dose of 10 mg/kg, 20 mg/kg, 100 mg/kg, 200 mg/kg, or 400 mg/kg during that time. The effects of GBCK25 on cellular damage and inflammation were determined by in vitro experiments. Results: Histopathologic analysis and hepatic/serum biochemical levels revealed that WD-fed mice showed severe steatosis and liver injury compared to ND-fed mice. Such les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ivers of WD-fed mice with GBCK25 administration. Consistently, mRNA expression levels of NASH-related inflammatory-, fibrogenic-, and lipid metabolism-related genes were decreased in the livers of WD-fed mice administered with GBCK25 compared to WD-fed mice.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decreased protein levels of cytochrome P450 2E1 (CYP2E1) with concomitantly reduced activ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JNK) in the livers of WD-fed mice administered with GBCK25. Also, decreased cellular damage and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alpha mouse liver 12 (AML12) cells and RAW264.7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GBCK25 ameliorates NASH severity through the modulation of CYP2E1 and its associated JNK-mediated cellular damage. GBCK25 could be a potentially effective prophylactic strategy to prevent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NASH.

육미지황탕 효능의 동의보감과 실험연구결과의 비교고찰 -한의학과 중의학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Effects of Yugmijihwangtang in Donguibogam and Experiment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the Korean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한유창;김명동;이선동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3-251
    • /
    • 2017
  • Objectives : A lot of experiment results of Yugmijihwangtang(YM) are reported in various kinds of journals. Many of them report on the new effect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traditional medic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take it into consideration that newly reported effects could be of help to clinical practice, because this process of comparison of Donguibogam and scientific experiment results will have basis to lead into the evidence based medicine. Methods : We compared the effects of in Donguibogam and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Results : The effects of YM in Donguibogam are to replenish essence and marrow, and to treat red wen, fatigue, treat hypouresis, urinary sediment, urinary urgency, hematuria, hydrocephalus, speech and movement retardation, yin-deficiency, diabetes mellitus, nonalcoholic fatty liver, melanoma, disability to see near and far sight, tinnitus, hearing loss, alopecia, angiogenesis, cough, cough at night, trachyphonia, and, infantile convulsion.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since 2000 in both Korea and China are to inhibit atopic dermatitis, renal interstitial fibrosis, anti-oxidant, emphysema, stress, glomerulosclerosis, diabetic nephropathy, chronic glomerulonephritis, hemorrhage, plantar sweating, dermal aging, kidney aging, bone loss, breast cancer, pathological myocardial cell, primary liver cancer, thrombosis, osteoporosis,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chronic renal failure, IgA nepropathy, slow cerebral development, and hippocampal tissue lesions on the one hand, and to help bone formation, renin-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 cerebral recovery, cognitive function and expression,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learning and memory, cold-tolerance and oxygen deficit-tolerance and anti-fatigue, endometrial formation,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immune regulation effect, Hypothalamus-Pituitary-Ovary Axis, and spermatogenesis, on the other hand. Conclusion : When we compared the effects of YM with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there existed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m. So, from now on, it is expected that a great effort and consideration are needed to solve these gaps from an academic and clinical point of view.

만성 신생아 간염의 임상적 고찰: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 (The Clinical Features of Chronic Neonatal Hepatitis: Non-familial, Non-metabolic and Non-A, B, C Viral Hepatitis)

  • 박지애;이창훈;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242-248
    • /
    • 2006
  • 목 적: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은 양호한 경과를 취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장기적인 경과 관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연자들은 이 질환의 임상적 특징을 연구하여 임상 경과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생후 3개월 이내에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신생아 간염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중 임상 소견 및 생화학적 검사의 이상 소견이 6개월 이상 지속되었던 34명을 대상(A, B, C형 바이러스성, 대사성, 유전성 신생아 간염은 제외)으로 하여 임상적 소견, 검사실 소견 및 조직학적 소견을 병력지와 조직 슬라이드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성비는 2.4 : 1로 남아가 많았고, 진단 시 연령은 생후 1~2개월 사이가 가장 많았다. 혈청 ALT의 최고치의 범위는 광범위(100~1,000 IU/L)하였으나, 300 IU/L 미만이 41%였다. 혈청 직접형 빌리루빈의 최고치는 50%에서 1.0~5.0 mg/dL 사이였다. CMV에 대한 IgM 항체 검사 또는 PCR 검사에서 34%가 양성이었다. 추적 기간의 조건을 충족한 29명 중 11명(37.9%)의 환자가 1년 이내에 ALT 수치가 정상화되었고, 1년 이상 ALT 수치가 증가된 환자 13명 중에서는 2년 이내에 정상화된 경우가 9명(69.2%),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된 경우가 4명(30.7%)였다. 2년 이상 지속적으로 ALT 수치의 상승이 있었던 경우 간 조직 검사에서 간문맥 주변 섬유화, 간문맥 염증 및 간소엽 염증 등의 변화가 2년 이내에 회복된 경우보다 심했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은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지만 혈청 ALT 수치의 상승이 1년 이상 지속 시 간 손상의 정도에 대한 평가와 만성 간질환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 PDF

C형 간염의 가족 내 집단 감염 1례 (A Case of Familial Clustering of Hepatitis C Virus)

  • 정훈;장현섭;이윤진;이균우;김혜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91-95
    • /
    • 2005
  • HCV의 가족 내 집단 감염은 드물게 발생하며 배우자에서 감염의 위험이 가장 높고 수직 감염의 빈도는 매우 낮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환자와 환자의 어머니, 외할머니, 이모, 이종 사촌 언니에서 HCV 감염이 확인되어 가족 구성원의 50%가 HCV에 감염된 극히 드문 가족 내 집단 감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Standardized Leonurus japonicus Extract and Its Bioactive Leonurine on TNF-α-Induced Muscle Atrophy in L6 Myotubes

  • Lee, Jiyeon;Kim, Changhee;Lee, Hyerin;Hwang, Jae-K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2호
    • /
    • pp.1896-1904
    • /
    • 2020
  • Muscle atrophy, characterized by a reduced number and size of myofibers, occurs due to immobilization, aging, and several chronic diseases. Leonurus japonicus, belonging to the Labiatae family, is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L. japonicus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bacteria, anti-cancer, and liver protection. Leonurine, which is a major bioactive in L. japonicas, is known to possess bi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ion, anti-fibrosis, anti-angiogenesis, and anti-diabetes. However, the preventive effects of L. japonicas and leonurine on muscle have not been reported.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standardized L. japonicus extract (LJE) and leonurine on muscle atrophy by clarifying their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stimulated L6 myotubes. LJE and leonurine stimulated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pathway that was reduced by TNF-α treatment. LJE and leonurine not only increased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pathway for protein anabolism but also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E3 ubiquitin ligases by blocking the translocation of Forkhead box O,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proteolysis. Additionally, LJE and leonurine alleviated inflammatory responses by downregulating TNF-α and interleukin-6 mRNA expression and reduc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 B, a major transcriptional factor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ollectively, LJE and leonurine have potential as therapeutic candidates for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skeletal muscle atrophy by activating the PI3K/Akt pathway and reducing inflammatory responses.

소아의 만성 B형 간염: 새로운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임상 소견의 상관 분석 (Chronic HBV Infection in Children: The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 이선영;고재성;김종재;장자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56-78
    • /
    • 1998
  • 연구목적: 만성 B형 간염의 간조직 소견은 진단 및 예후의 평가 뿐아니라 치료여부의 결정 및 치료효과의 평가를 위해서 중요하고, 이는 좀 더 객관적, 구체적, 포괄적으로 새롭게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 소아의 만성 B형 간염의 빈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직 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고찰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점수로 평가한 최근의 반정량적 분류 방법(Ludwig 분류법)을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De Groute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연관성을 밝히고, 반정량적 분류법이 좀 더 객관적으로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는 유용한 방법임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간조직 생검을 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아 99명을 대상으로 병리조직 소견과 병록지 고찰을 시행하였다. B형 간염 표식자로는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ti-HBc(IgG, IgM), HDV를 방사면역측정(radioimmunoassay)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간생검조직은 전통적인 De Groute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법과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문맥강 및 문맥강 주변의 염증(Portal/Periportal activity), 간소엽 내 염증(Lobular activity), 섬유화(Fibrosis)로 나누어 각각의 정도를 0에서 4로 점수화(Numerical scoring)한 Ludwig의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두가지 분류법 간의 연관성과, 병리조직 소견에 따른 빈도, 연령 및 성별 분포, 임상적 특징,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검사 소견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간세포암 5례는 따로 분류하여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총 99례 중 남아 83례, 여아 16례였고, 연령별 분포는 1년 5개월에서 16년 4개월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9.4세였다. 병리조직형별 연령 및 성별분포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병리조직형별 분포는 정상 조직 소견 2례, 만성 소엽성 간염 2례, 만성 지속성 간염 22례, 경도 만성 활동성 간염 40례, 중등도 만성 활동성 간염 19례, 고도 만성 활동성 간염 1례, 간경변을 동반한 만성 활동성 간염 7례, 간경변증 1례, 간세포암 5례였다. 두가지 분류법은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간경화의 경우는 연관성이 떨어져서, 간조직내 염증과 섬유화는 따로 분리하여 평가하거나, 섬유화의 중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간세포암을 제외한 94례 중 66례(70%)가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였으며, 2례는 전신 부종이 주소로서 B형 간염과 관련된 막성 사구체 신염이 동반되어 있었다. 그 외는 비특이적인 간염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진단되었다. 내원시 임상 증상으로는 이피로성,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복부팽만, 체중감소, 발열, 진한 소변색, 황달, 비출혈, 부종, 혈뇨 등이 있었고, 이학적 소견으로는 간장비대, 비장비대, 우측 상복부통이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및 그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총 99례 중 가족력상 어머니에 B형 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54례, 아버지가 12례, 형제들의 경우가 25례 있었으며, 그 외의 동거 가족에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7례 있었고, 가족력이 없는 경우는 28례였다. 가족 중 간경화가 있는 경우는 9례였고, 간세포암도 2례에서 있었다. 어머니가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사망한 례가 1례 있었고, 형제가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한 경우도 1례 있었다. 병리조직형별 가족력의 차이는 없었다. 5) 간기능 검사소견을 보면, AST와 ALT의 평균은 각각 $151{\pm}158$ U/L, $215{\pm}221$ U/L이고,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 염증소견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리조직형별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AST, ALT치로 조직형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웠다. Ludwig의 분류와 간기능 검사치와의 관계를 보면, 혈청 알부민은 섬유화가 진행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T, AS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Prothrombin time은 조직형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길어졌고, 특히 간경화가 진행될수록 나빠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도 조직형이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반정량적 방법에 의한 분류와의 관계를 보면, Prothrombin time과 APTT는 간조직내 염증 및 섬유화가 심할수록 길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7) IgM anti-HBc는 검사가 이루어진 80명 중 1명에서만 양성이었고, HDV는 검사가 이루어진 83명 중 양성인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HBeAg은 간생검 당시 81례에서 양성이였고, 이 후 평균 $41.8{\pm}31.3$개월간의 추적 중에 HBeAg 음전을 보인 경우는 50례가 있었고, 1년 음전율은 37%였다. 병리조직형별로는 조직형이 심할수록 음전시까지의 기간이 짧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8) 간세포암 5례의 남녀 분포는 남아 4례, 여아 1례이고, 평균연령은 $10.4{\pm}3.1$세(7세~13세 6개월)였다. 모두에서 HBsAg양성, HBeAb양성과 어머니의 만성 B형 간염의 가족력이 있었다. 간세포암 주변 조직 소견은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에서 간경화의 소견을 보였다. 추적 중 혈청 AFP의 증가로 조기발견된 1례는 종양절제술 후 항암요법으로 추적 중에 있고, 그 외에는 모두 수술 후 항암요법 혹은 방사선요법을 병행하여 시행했으나 사망하였다. 결 론: 만성 B형 간염의 간손상 정도는 임상증상이나 생화학적 검사소견으로 평가할 수 없었고, 간조직검사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분류가 필요하였다. 이는 De Groute의 분류와 잘 연관되는 반정량적 Ludwig 방법에 의해 좀 더 포괄적, 구체적, 객관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후자는 예후를 예견하고, 형태학적 변화를 감시하며,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