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disease/disabilit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1인 가구의 의료이용 형평성: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The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By Comparis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 나비;은상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8-302
    • /
    • 2019
  • Background: The one-person households (OPH) are rapidly increasing and vulnerable to socioeconomic and health problems. Because it is predicted to be inequitable to health care utilization, we would like to find out about the equ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OPH by comparison with the multi-person households (MPH). Methods: This study follow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Wagstaff and van Doorslaer (2000), O'Donnell and his colleagues (2008), where the horizontal inequity index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indices of actual health care utilization and health care needs. This study employed the 9th Korea Health Panel survey, and a total of 10,807 cases were analyzed. Health care needs were measured by age, sex,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count, Charlson's Comorbidity Index, limitation of activities, and disability. Results: Compared with the MPH, there were pro-poor inequities in hospitalization, emergency utilization, hospitalization out-of-pocket payments, and pro-rich inequities in outpatient out-of-pocket payments for the OPH. The decomposition of the concentration index revealed that chronic disease count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socioeconomic inequality in outpatient utilization. Age, health insurance, economic activiti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lso proved more important contributors to inequality. The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hospitalization and emergency utilization inequity were age, education, Charlson's Comorbidity Index, marital status, and income. Conclusion: Because the OPH was more vulnerable to health problems than the MPH and there were pro-poor inequities in medical utilization, hospitalization, and emergency cos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licy that can correct and improve the portion of high contribution to medical utilization of the OPH.

성인 장애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What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 김예순;민진주;호승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3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life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the 2020 Survey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were 2,725 women with disabilities aged 20 or older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SPSS Windows 26.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echnology analysis, chi-test, and multi-log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Results: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type of medical insurance type,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severity,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chronic disease,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variables that can go out alone. As a result of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chronic disease, stress cognitive status,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variables that can go out alo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operate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Subjective and Objective Caregiver Burden in Parkinson's Disease

  • Kim, Keum-Soon;Kim, Bog-Ja;Kim, Kyung-Hee;Choe, Myoung-Ae;Yi, Myung-Sun;Hah, Yang-Sook;Chung, Sun-Ju;Kwon, So-Hi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2-248
    • /
    • 2007
  • Purpose. Parkinson's disease (PD) is a common neurodegenera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motor disabilities and increasing dependence on others for daily life activities with consequent impact on patients' and caregivers'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burden on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PD,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eventy-six primary caregivers of PD patients in a neurology out-patient clinic, Seoul, Korea comple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which 68 were analyzed.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ed (1) demographic information on the caregivers, (2)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3)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regiver burdens as assessed on Montgomery, Gonyea, & Hooyman's scal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caregivers was 54.56 years, and spouses represented the largest proportion (47.0%). Caregivers of PD patients experienced high levels of burden (mean scores o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s were 45.22 and 34.90, respectively), which were comparable to the caregiver burdens in stroke, and higher than the caregiver burdens in general chronic disease. Older caregivers and spousal caregiver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burdens (p=.004 and p=.019, respectively). A greater motor disability and higher modified Hoehn and Yahr grade were related to higher caregiver burden (p=.001 and p=.018, respectively). Conclusion. Caring for PD patients i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caregiver burden.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identify the burden of caregivers who look after PD patients and develop comprehensive management strategies both fo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한국어판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 김영삼;변민광;정우영;정재희;최상봉;강신명;문지애;한숙정;남정모;박무석;김세규;장준;안철민;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2호
    • /
    • pp.121-128
    • /
    • 2006
  • 연구배경: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세인트조지 호흡기 설문(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SGRQ)이 개발되어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측정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영어권국가에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의 정확한 적용을 위해서 언어, 기술, 개념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한국어 설문지를 만들고 이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방 법: 한국판 세인트조지 호흡기 설문은 번역, 역번역, 전문가 패널의 수정을 통해 완성되었고,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 설문을 시행하였다.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alpha$를 구하여 측정하였고 타당도는 폐기능검사, 6분보행검사, 호흡곤란지수와 산소포화도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설문 검사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남녀 비는 2.2:1, 평균연령은 $63.8{\pm}10.3$세였다. 이 중 천식환자는 27명(36.5%),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39명 (52.7%)이었고, 결핵에 의한 파괴 폐환자는 8명(10.8%)이었다. Cronbach's ${\alpha}$ 값은 증상영역, 활동영역, 영향영역 및 총 점수에서 각각 0.63, 0.87, 0.89, 0.92 이였다. 총점수와 $FEV_1$, FVC, 6분보행거리, 산소포화도, 호흡곤란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한국어판 세인트조지 호흡기 설문은 만성폐질환 및 천식과 같은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신뢰도가 높았고 총점수와의 상관관계는 6분보행검사 및 산소포화도에서 높음을 알수 있었고 폐기능 검사와의 상관계수는 원저인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 및 타 국가의 번역본 호흡기설문에서와 같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호흡기질환의 삶의 질에 대한 치료효과 판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xamination of the Online and Offline Educational Programs for Ankylosing Spondylitis Patients)

  • 이인옥;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87
    • /
    • 2003
  • Ankylosing spondylitis(AS)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chronic arthritis causing pain and progressive disabil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velop an offline educational program and onlin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nd 2)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each program in terms of changes in ankylosing spondylitis self-efficacy, exercise continuity disease activity, physic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The convenient samples for three groups were selected acce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Online education group consists of 7 patients, and 14 patients were included for the offline group, while 12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Outcomes variables included self efficacy, exercise continuity, disease activity,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and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was ranged from .88 to .95 in the present study. The offline educational program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exercise continuity, disease activity, and depression, whereas the online educational program on exercise continuity, disease activity, and depression. The self-efficacy was showed positive effect only in the offline educational program, whereas physical functioning did not improve in both intervention groups. These partial improvements may be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methods of online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offline and online educational programs was partially supported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programs, the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apply this kind of intervention program with larger sample and to test the psychometric of the newly development tools.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의료이용 현황 및 관련 요인: 전국조사를 통한 1990년에서 2008년까지 변화추이 (Trends and Factors in Health Care Utiliz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from 1990 through 2008)

  • 이기동;도세록;이재승;노창석;이상도;김동순;오연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4호
    • /
    • pp.307-314
    • /
    • 2011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major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worldwide and one of the most prevalent diseases in Korea. We examined trends and risk factors of health care utilization for COPD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base of Patient Surveys from 1990 through 2008, which were nationwide surveys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through outpatient department (OPD) visits and hospitalization. Physician-diagnosed COPD patients whose ages were 45 years and older were included. Results: OPD visits and hospitalization of COPD patients between 1990 and 2008 were estimated to be 68,552 and 17,774 persons, respectively. Trends in OPD visits and hospitalization for COP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990 through 2008 (p=0.019, p=0.001, respectively). The increment rate for OPD visits was 2.0 fold over those years; for hospitalization it was 3.3 fold. Risk factors for OPD visits for COPD were male gender (odd ration [OR], 1.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39~1.43), those aged 65 years and older (OR, 1.50; 95% CI, 1.47~1.53), residential area other than a metropolis (OR, 1.08; 95% CI, 1.07~1.010) and access to a physician's office (OR, 1.17; 95% CI, 1.14~1.21). Risk factors for hospitalization were male gender (OR, 2.15; 95% CI, 2.07~2.23), those aged 65 year and older (OR, 2.86; 95% CI, 2.72~3.00), residential area other than a metropolis (OR, 1.98; 95% CI, 1.90~2.07) and access to a hospital (OR, 2.88; 95% CI, 2.59~3.22) (p<0.001, both). Conclusion: Health care utilization for COPD subjects increased from 1990 to 2008. Risk factors for the utilization were male gender, older age, and residential area other than a metropolis.

만성 틱 장애 뚜렛씨 장애의 임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 신성웅;임명호;현태영;성양숙;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03-114
    • /
    • 2001
  • 뚜렛씨 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 틱장애는 근육틱 혹은 음성틱중 하나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 틱 장애 아동과 뚜렛씨 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학습장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틱장애(n=13)와 뚜렛씨 장애 환자(n=29)의 평균 발병연령은 각각 $7.3{\pm}2.5$, $7.2{\pm}2.2$세, 입원시 연령은 평균 $11.7{\pm}2.7$, $11.5{\pm}2.6$세, 입원기간은 $5.7{\pm}5.4$, $11.0{\pm}8.7$주였고 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학습장애의 경우 발병연령($4.2{\pm}1.9$세)이 두 장애보다 빠르고 의료기관을 찾는 시기($9.8{\pm}3.2$세)도 빨랐다. 출생 계절은 틱장애 환자들에서 6월에서 9월 사이가 가장 적었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남녀의 성비율은 각각 10:3, 26:3, 11:5였고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가 출생할 때의 아버지와 어머니 연령은 세 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각각 24.1%, 46.2%, 56.3%였다. 발병전 유발 요인이 확인된 경우는 만성틱장애와 뚜렛씨 장애에서 11.1%와 35.7%로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학습장애(56.3%)에 비해서는 적었다. 셋째,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환자의 지능지수는 각각 언어성 지능 $92.3{\pm}10.7$, $94.7{\pm}14.9$, $94.3{\pm}13.8$이었고, 동작성 지능은 $93.0{\pm}20.5$, $97.5{\pm}13.0$, $95.0{\pm}16.9$이었으며, 전체 지능은 $91.9{\pm}20.1$, $95.8{\pm}14.5$, $93.9{\pm}15.1$로서 세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기질적 뇌장애 소견은 CT/MRI 등에서 0%, 27.3%, 6.3%, 뇌파 이상은 8.3%, 17.2%, 12.5%에서 나타났고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항도파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환자에서 각각 84.6%, 77.0%가 부분관해를 보였고 완전 관해된 경우는 한 명도 없었으며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공동 유병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학습장애에서 의미 있게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 결과 입원한 환자의 경우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학습장애를 가진 환자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구분해야 하는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 PDF

소아 및 청소년의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가입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Purchasing Indemnity Private Health Insurance among Adolescents and Children)

  • 유창훈;강성욱;최지헌;권영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99-110
    • /
    • 2018
  • 최근 자녀의 건강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아 및 청소년의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2009-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소아 및 청소년 4,567명을 대상으로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가입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패널로짓을 활용한 분석 결과, 소아 및 청소년의 특성에서는 연령, 출생 순서, 거주지, 장애 여부가, 아버지의 특성에서는 실손형 의료보험 가입, 만성질환 및 장애, 어머니의 특성에서는 자녀와의 연령 차이, 실손형 의료보험 가입, 미충족의료, 가구 특성에서는 1인당 가구소득이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만혼과 고령출산, 저출산으로 인한 자녀의 건강위험에 대한 불안감과 의료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소아 및 청소년의 의료보장성 강화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다자녀 가구,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목의 기능장애 환자들에게 SNAGs기법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통합적 고유수용성 감각과 목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NAGs and Biofeedback Training on the Integrative Propriocepcion and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Cervical Disorder)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84-290
    • /
    • 2020
  • 본 연구는 SNAGs(Sustained natural apophyseal glides)기법과 시각을 융합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목 기능 장애 환자에게 고유수용성 감각과 목의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 기능장애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SNAGs기법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으로 할당하였으며, 관절위치 감각과 목 기능장애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6명의 SNAGs 중재그룹은 멀리건 벨트를 이용하여 굽힘, 폄, 회전을 실시하였고, 15명의 바이오피드백군은 시각적 피드백을 통한 깊은목 굽힘근 훈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동일한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20분 동안 주당 2회를 4주간 실시하였다.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이 SNAGs 집단보다 고유수용성 감각에서 좌, 우 회전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 0.05), 목 기능장애는 SNAGs기법을 이용한 집단이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따라서 SNAGs기법은 목의 기능제한 해결에 효과적이며,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고유수용성 감각 향상에 긍정적인 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향후 목 통증 환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 질환의 특성에 따라 중재방법을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Gender Difference)

  • 송미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43-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장애문제와 노인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 취약한 집단인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성별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 중 만65세 장애노인 386명을 추출하였다. 연구질문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은 독립표본티검정,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의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 차원 중 6가지 차원이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성 장애노인과 남성장애노인은 일상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 하층', '건강상태: 나쁜 편', '만성질병 있음', '가족과 타인의 도움필요', '장애정도: 중증'이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남녀장애노인에 대한 건강지원정책 및 프로그램을 제공,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확대, 중증장애노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및 실천적으로 지원할 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반면에 차별영향 요인은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성 장애노인은 연령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 장애 노인은 교육수준이 무학일 경우보다 중졸과 고졸이상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