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phyl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인제한에 따른 Scenedesmus quadricauda의 광합성 특성 및 질소, 이 함량 변화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ell Quota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Scenedesmus quadricauda under P Limitation)

  • 안치용;김희식;윤병대;오희목
    • ALGAE
    • /
    • 제17권2호
    • /
    • pp.83-87
    • /
    • 2002
  • Photosynthetic parameters of Scendesmus quadricauda, such as the maximum photosynthetic rate ($P_{max}$), photosynthetic efficiency (α) and the initial saturation intensity of irradiance for photosynthesis ($I_K$) were obtained using photosynthesis-irradiance (P-I) curve in a phosphorus-limited chemostat. S. quadricauda exhibitied no photoinhibition until at 200 μmol·$m^{-2}$ . $P_{max}$ (r=0.963, P=0.002) and $I_K$(r=0.904, P=0.013) showed linear relationships with growth rate. Chlorophyll-α concentration and cell dry weight decreased at higher growth rates, ut chlorophyll-α content per cell dry weight increased. The increase in photosynthetic rates at higher growth rates was due to the increase of $P_{max}$ and $I_K$ which was caused mainly by the increase in the absolute amount of chlorophyll-α rather than the increase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individual chlorphyll-α. The α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owth rate (r=0.714, P=0.111). The cell quota of carbon (r=0.554, P=0.254) was not correlated with growth rate, but cell quota of nitrogen (r=0.818, P=0.047) and phosphorus (r=0.855, P=0.030) exhibited linear correlations with growth rate.

건해태(김)의 아연 및 마그네숨 함양과 품질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AND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IN DRIED LAVER, PORPHYRA TENERA KJELLMAN)

  • 이연우;한성빈;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68
    • /
    • 1974
  • The growth of sea weed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mbient water. Especially nutrient salts in sea water function as a major factor to the growth of lavers, so that the content of inorganic substances in lavers could he a criterion for quality evaluation of lavers. In this experiment,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and the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which are not only physiologically active and closely related with pigments such as chlorophll and phycobilins but also important in quantify is discussed if such a measurement to be an index for quality evaluation. Sixteen samples of layer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culture farms, 7 from Jangrim-Busan, 6 from Wando-Jeon Nam, 3 from Hadong-Gyeong Nam, and classified into 3 quality grades to each farm and to whole samples by organoleptic test. Zinc and Magnesium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For pigment analysis, chlorphyll was extracted with 85 percent acetone, filtered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660 nm and the residue was further extracted with phosphoric buffer solution to determine the optical density for phycobilins at 560 nm.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tal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varied between the farms, but kept consistent with quality grades from the same farm. The Zinc content was correlated proportion- ally with the content of phycobilins, and Magnesium content in total ash could roughly represent the content of chlorophll except some examples in which the Magnesium content of chlorophyll-ext ractresiduewasexceptionallyhigher.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se metals provide an applicable index for quality judgment of lavers.

  • PDF

인삼엽요병에서 효소활성도의 변화 (Study on the Enzyme Activity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2-97
    • /
    • 1989
  • 인삼엽을 강광(100 KLuw) 및 고온($45^{\circ}C$, 암상태)에 처리하여 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catalas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구에서 공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특기 강광에서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활성도 감소는 효소의 thermal stabilities나 coagulation 등과 같은 광에 의한 2차적인 엽온상승 효과에 따른 inactivation이 아니며, proteolytic activity 증가로 인한 효소단백질의 함량감소로 확인되었다. 인삼엽에서 proteolytic activity가 강광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엽(normal leaf)에 inactive 상태로 내재(compartmentation)되어 있는 proteinase가 타 식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lorphyll bleaching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superoxide radical(${O_2}^{-}$)의 광화학적 생성율이 비교식물(Solanum nigrum)보다 높게 나타나고 crude saponin이 superoxide의 생성율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superoxide에 의한 pigment system의 광산화율이 타 식물에 비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두(大豆)에 대한 Ammonia 가스의 영향 (Effects of ammonia gas on soybean plant)

  • 김복영;한기학;김선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6
    • /
    • 1979
  • Ammonia 가스를 $0.15mg/{\ell}$, $0.25mg/{\ell}$, $0.5mg/{\ell}$로 대두(大豆)의 영양생장기에 각(各) 1시간(時間)씩 접촉(接觸)시켰고, $0.2mg/{\ell}$의 Ammonia 가스를 1일중시각별(日中時刻別)로 06:00-07:00, 10:00-11:00, 14:00-15:00, 18:00-19:00, 22:00-23:00시(時)에 각각(各各) 1시간(時間)씩 접촉(接觸)시켜 대두(大豆)의 수량(收量), 피해증상, 피해엽율(被害葉率), 체내질소 및 엽록소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Ammonia 가스농도(濃度)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성(有意性)있는 피해엽율(被害葉率) 및 감수율증가를 가져왔고, 주간(晝間)에 접촉(接觸)한 것이 야간(夜間)에 접촉(接觸)한 것보다 감수(減收)가 컸다. 나. 피해엽율(被害葉率)과 수량간(收量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否)의 상관($r=-0.9553^{**}$)이 있었다. 다. $0.2mg/{\ell}$의 Ammonia 가스는 14:00-15:00시(時)에 접촉(接觸)한 것이 피해엽율(被害葉率)이 가장 컸으며 22:00~23:00시에 접촉(接觸)한 것이 가장 적었다. 라. Ammonia 가스농도증가에 따라 식물체내 전질소(全窒素) 및 수용성질소함량(水溶性窒素含量)은 증가하는 경향(傾向)이고 엽록소함량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엽록소 a는 b보다 감소정도(減少程度)가 컸다. 마. 체내질소함량은 오후(午後)에 접촉(接觸)한 것이 오전(午前)에 접촉(接觸)한 것보다 많았으며 엽록함량은 야간(夜間)에 접촉(接觸)한 것이 주간(晝間)에 접촉(接觸)한 것보다 많았다. 바. 엽록체의 Spectra는 10~11시(時)에 가장 감소(減少)가 컸고 22~23시(時)에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 PDF

대청호(大淸湖) 저니(底泥) 및 조류(藻類)의 농업적(農業的) 활용(活用) 연구(硏究) (The Agricultural Utilization of Daecheong Lake Sediments and Algae)

  • 장기운;임재신;이인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6
    • /
    • 1994
  • 댐 저위층에 축전된 저니와 수강조류를 규조토드럼에 흡착시킨 물질에 대한 농업적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Windrow method를 이용한 저니의 부숙퇴비화를 시도하였으며, 저니자체 및 저니함유 부숙퇴비에 대하여 토마토를 공시하여 식물영양적 효과를 포트실험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계분과 톱밥을 부재료로 한 저니의 부숙방법은 Windrow method를 이용하였다. 부숙과정중 50일 경과후 최종 대(對) 초기 탄질율의 비율은 0.69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양이온치환용량은 약 66%가 증가하였으며, 온도변화는 15일째 $52^{\circ}C$까지 상승하였다가 50일 경과후 $30^{\circ}C$를 유지하여 이 지점을 부숙완료점으로 판정하였다. 2. 미부숙 저니의 토마토에 대한 건물중, 초장 및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미부숙 저니 시용구의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시용 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건물중 및 초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니 부숙퇴비의 시용 역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체중, 건물중 및 초장의 현저한 증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미부숙 저니에 비해 저니부숙퇴비의 생육효과가 우수하였다. 3. 미부숙 저니 및 저니부숙퇴비를 시용하여 작물재배 후 토양의 물리화학성질을 조사한 결과, pH, T-N, O.M. 및 CEC 면에서 다소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니 및 조류를 직접 토양에 이용하기는 곤란하나 퇴비제조시 충진제로 사용했을 때 부숙화된 저니 퇴비는 토양개량제 및 퇴비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득량만과 가막양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 조창환;박경양;양한섭;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3-240
    • /
    • 1982
  • 남해안 서부에 위치한 득량만과 가막양에서 1981년 하계 중 해수의 클로로필-a양과 저이 중 COD, 강열감대, 파오파이틴양 그리고 황화물양을 측정하였다. 노경노은 약 $300km^2$로서 근래 피조개의 채묘 및 양성이 급증하고 있고, 가업양은 약 $150km^2$로서 수하식에 의한 굴 선성이 많다. 득량만 해수 중 클로로필-a양은 9월에 많아 $1.0\sim5.0{\mu}g/l$로서 평균 $2.5{\mu}g/l$이었다. 양적인 분포에선 득량만의 서북쪽에서 많았다. 저이 중 유기물양은 양서 모두, COD$5.0\sim10.0mg/g$, 강열감양$5.0\sim9.0\%$,체페오파이틴양 $2.0\sim 5.0{\mu}g/g$ 건이이었으며 황화물양은 $0.1\sim0.3mg/g$ 건이이었다. 유기물과 황화물양 모두, 득량만에서는 만입구에서 깊숙히 들어갈수록 증가하였고, 가막양에서는 만의 서편과 서북쪽에 많았다. 상기의 모든 양은 낙산$\cdot$거제만의 양들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었다. 클로로필-a양에 의한 해수의 부영선화는 제산$\cdot$거제만과 같이 중간 수준인데 비해, 저이의 부영양화는 초기단계이었다. 저이중 COD와 페오파이틴양으로부터 산출한 저오염도는$6\sim11$로서, 낙산$\cdot$거제만의 $7\sim18$, 진해서의 $11\sim30$에 비해 낮았다. 이는, COD양이 적다는 이유도 있지만, 굴 양성을 많이 하는 낙산$\cdot$거제만이나 진해만 서부해역과는 달리 페오파인틴양이 COD양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 PDF

염분 구배가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의 수직이동 및 DNA/RNA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nm)

  • 조은섭;이영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8-473
    • /
    • 2005
  • 여수연안은 어류 치사성 유해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이 돌산을 중심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도 변화가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했다. 실험장치는 60l들이 아크릴 수조에 일반해수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킨 시험구를 설정하여 C.polykrikoides의 수직부상 속도와 DNA/RNA함량 비교를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시행했다. 실험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 시험구의 경우 상층부위에서는 염분이 20으로 나타난 반면에, 하층은 30 정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pH 변화는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hlorophyll a도 수조의 하층보다 상층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24시간동안 C. polykrikoides 상$\cdot$하층 이동을 조사한 결과 점등이 되는 순간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었다. 소등이 되는 동안은 점등에 비하여 상$\cdot$하층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고 대부분 균일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 종료시나 24시간 주 $\cdot$야간 수직이동 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에 분포하고 있는 C. polykrikoides의 DNA 및 RNA 변화폭이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담수유입은 C. polykrikoides 세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속한 수직상승으로 인하여 여기에 대한 C. polykrikoides의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거금수도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2. 수질과 엽록소 양의 변동특성 (Th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Kogum-sudo,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윤양호;박종식;고남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7-99
    • /
    • 2000
  • 거금수도의 수질환경과 엽록소 양의 계절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1993년 2월, 4월, 8월과 10월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수로내 25개 관측점의 표층과 저층해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 환경요인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으로 수온염분, 현장밀도, 투명도, 용존산소량(산소포화도와 겉보기 산소소비 포함), 화학적 산소요구량, 영양염류(암모니아염, 아질산염, 질산염, 인산염 그리고 규산염), N/P 비 그리고 총 부유물질량이고, 생물학적요인으로서 엽록소량을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 거금수도 해역은 빠른 유속과 조석혼합 등으로 성층의 발달은 보여지지 않았으며, 일부 계절과 항목을 제외하고는 표층과 저층의 관측 값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또한, 수로적 특성으로 저층의 풍부한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원활이 공급되어, 해조류 양식장 등으로서 최적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나, 높은 부유물질량에 의해 서식생물에의 나쁜 영향도 우려되었다. 영양염류는 연가 기초생물의 생산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충분한 농도가 용존 하고 있고, 질소와 인의 농도는 비교적 높은 반면, 규산염의 농도가 매우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거금수도의 영양염류 공급원은 육상으로부터의 담수유입에 의한 비율보다 해역 내 유기물 분해에 의한 영양염류의 재순환과 비교적 높은 영양염류를 포함하는 남해 연안수의 유입에 의한 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복잡한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에 의해 변동되는 특성을 나타내나, 영양염류만을 고려할 때, 여름에는 인산염의 용존량에 의해, 기타 계절은 용존 질소의 용존량에 의해 성장이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금수도는 현재 부영양화의 초기단계 수준으로 높은 생물생산이 가능하나, 영양염류의 불균형, 해저 퇴적물에 유기물의 축적현상 등으로, 현재의 높은 생물생산을 오랜 기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해역의 이용과 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단색광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사상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Conchocelis Growth and Maturation in Pyropia yezoensis (Rhodophyta))

  • 정상목;강슬기;손지수;전재혁;이한주;전지영;박태희;이광수;신현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8-92
    • /
    • 2017
  • 본 연구는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사상체의 생장에 대한 단색광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blue light(480 nm), green light(550 nm), yellow light(600 nm) and red light(730 nm)에서 방사무늬김(P. yezonesis)의 유리 사상체를 배양한 후 colony 직경, chlorphyll a 함량, 각포자낭 형성률을 측정하여 생장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lony 직경과 chlorophyll a 함량이 480(blue light) nm에서 각각 $2,472.6{\pm}27.0{\mu}m$ and $1.55{\pm}0.03mg\;g.dw^{-1}$로 최대값이 나타났고 각포자낭 형성률 역시 $37.87{\pm}1.08%$로 blue light에서 최대값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blue light는 다른 단색광(green, yellow, red light)에 비해 김 사상체의 성장 및 성숙을 촉진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김의 실내 양식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도시공단의 대기오염이 해송의 쇠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Decline of Pinus thunbergii forest in Urban Industrial Area)

  • 이성식;김정운;이총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SO_2$$NO_2$ 그리고 산성비 등의 건성 및 습성강하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공단지역 주변 산림과 대조지역의 해송림에서 해송림의 쇠퇴도 사이에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해송 잎의 쇠퇴와 엽록소 함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였다. 수관통과우의 pH는 도시공단지역이 봄철 4.65, 가을철 4.72이었고, 대조지역이 봄철 5.32과 가을철 5.34였다. 음이온 성분 중에서 ${NO_3}^-$의 농도는 도시공단지역이 $52.13mg/{\ell}$ 대조지역은 $37.85mg/{\ell}$이었다. ${SO_4}^{2-}$ 함량은 도시공단지역이 $57.89mg/{\ell}$, 대조지역이 $36.21mg/{\ell}$이었다. $Ca^{2+}$의 농도는 도시공단지역이 $27.27mg/{\ell}$, 대조지역이 $9.48mg/{\ell}$ 이었다. 해송 잎의 엽록소 a의 함량은 도시공단지역이 0.2378이었고, 대조지역은 0.4378이었다. 해송의 쇠퇴도는 도시공단지역 2.97, 대조지역 1.20이었다. 해송 임분의 쇠퇴도와 강우의 이온성분, $SO_2$, $NO_2$ 농도와 상관분석 결과에서 강우산도 상호간에는 부의 상관(r=-0.8672)이었고, 대기 중 $SO_2$ 농도는 정의 상관(r=0.8924)이었으며, $NO_2$ 농도도 정의 상관(r=0.8428)이었다. 이러한 산성강하물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pH(r=-0.8672), ${NO_3}^-$(r=0.6996), ${SO_4}^{2-}$(r=0.8497), $SO_2$ (r=0.8924), $NO_2$(r=0.8428)는 1% 수준에서 상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