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remova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응집.침전공정에서 무기고분자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제거 (Removal of Microalgae Using Inorganic Coagulants in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Processes for Water Treatment)

  • 정정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5-89
    • /
    • 2008
  • 정수 처리공정의 응집 침전공정에서 무기고분자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제거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응집제의 종류(Alum, PAC)와 응집영향인자(알칼리도, 응집제 주입량, 침전시간)에 따른 미세조류의 제거율과 미세조류의 크기(micro-, nano-, picoplankton)별 제거율과 주입된 응집제가 미세조류의 제거에 미치는 기여율을 평가하였다. 알칼리도의 주입량에 따른 조류의 제거율은 Alum의 경우 알칼리도가 25 mg/L의 조건에서 87.2%, PAC의 경우 알칼리도가 30 mg/L의 조건에서 90.1%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조류의 제거율이 가장 높은 응집제 주입량은 Alum의 경우 40 mg/L로 제거율이 88.1%이었고, PAC의 경우는 주입량이 50 mg/L에서 제거율이 89.0%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류의 제거에는 PAC보다는 Alum이 다소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가 주입되었을 경우 주입되지 않은 조건에 비해서 조류의 제거율이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적조건 하에서 조류의 제거율은 nanoplankton > microplankton > picoplankton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icoplankton의 제거율은 약 30% 미만으로 제거율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규산질다공체 (CellCaSi)에 의한 미세조류 제어 (Control of Microalgae Using a Porous Silicate Material, CellCaSi)

  • 이석준;윤병대;이욱재;이승규;최롱;오희목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45-151
    • /
    • 2000
  • 부영양 상태의 연못에서 채취한 시료수에 규산질다공체(CellCaSi)를 첨가한 후 미세조류의 제거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규산질다공체는 입도의 크기(1, 2, 그리고 4 mm 이하) 및 첨가량(0, 1, 5, 그리고 10 g/l)에 따라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엽록소-a 농도는 1 mm 이하의 규산질다공체를 10 g/l로 첨가한 경우 처리 3일에 7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즉, 규산질다공체의 조류제거 효과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가 높았다. 규산질다공체 첨가구의 우점조류종은 Chlorella ellipsoidea로 대조구와 차이가 없으나, 출현 조류종 및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규산질다공체의 첨가에 의하여 총질소 함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총인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규산질다공체의 첨가로 인하여 pH와 turbidity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onductivity는 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원수 및 음용수에 있어서 전기전도도의 상한값으로 알려진 500 ${\mu}$mhos/cm를 유지하기 위해서 규산질다공체의 첨가량은 6.6 g/l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조류제거 효과에 대한 Top-down 어류 조작실험 (Top-down Fish Biomanipulation Experiments on Algal Removal Effects)

  • 이상재;이재연;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31-438
    • /
    • 2007
  • 본 연구는 Top-down 어류조작 실험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써, 실험대상 어종으로 국내 농업용 저수지에 우점하는 8종의 어류를 선정하였다. 대조군 수조 및 어류처리군 수조($3{\sim}6$개체)의 엽록소-${\alpha}$ (CHL-${\alpha}$) 초기 농도는 $100{\sim}120{\mu}g\;L^{-1}$로 고정하였으며 용존산소 $5.3{\sim}8.2\;mg\;L^{-1}$, 수소 이온농도는 pH $7.4{\sim}8.1$를 유지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어류 처리군 수조의 용존산소량과 수소이온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측정된 반면 전기전도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한편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CHL-${\alpha}$는 각각 13%, 6%로 증가하여 여전히 조류의 생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으나, 어류처리 군에서 CHL-${\alpha}$ 증가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조군과 어류처리군의 남조류는 각각 32%, 20% 감소를 보였으며, 남조류 생장률은 대조군보다 어류처리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어류 배설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어류조작에 의한 조류제거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와 조류입자의 제타전위가 부상분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Zeta Potential of Clay and Algae Particles on Flotation Efficiency)

  • 최도영;김성진;정흥조;이세일;백도현;이재욱;곽동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37-445
    • /
    • 2005
  • Zeta potential is a key parameter of double layer repulsion for individual particles and can usually be used to interpret the trend of coagulation efficienc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zeta potential of algae and clay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water characteristics (pure water, stream water, reservoir water) and coagulant dose (10~50 mg/L).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tion of zeta potential was highly sensitive depending on the water characteristics and coagulation conditions. Zeta potential of two genera of algae (anabaena sp. and microcystis sp.) were changed highly with coagulant dosage, especially. On the basis of trajectory analysis, bubble-floc collision efficiency simulated in terms of zeta potential was fitted well with removal efficiency of chlorophyll-a from algae p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of zeta potential was important for effective removal of algae particles.

A study on the diatomaceous earth filtration of recycling basin supernatant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 Shin, Dae-Yewn;Park, Young-Ho;Moon, Ok-Ran;Park, Hymg-Il;Chung, Kyung-Hoon;Chin-Surk ko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3년도 Challenges and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Health
    • /
    • pp.94-97
    • /
    • 2003
  • This study performed the research about the recycling basin supernatant by pre-coat filtration in the D water treatment plant at Gwangju. Choice the prompt conditions with diatomaceous earth filtration which makes contaminant reduced in the basin supernatant. Element disk of candle used in this experiment are pore size 10$\mu\textrm{m}$(R), 20$\mu\textrm{m}$(B) and 40$\mu\textrm{m}$(Y). Diatomaceous earth are cake pore size 3.5$\mu\textrm{m}$(A), 7$\mu\textrm{m}$(B) and 17$\mu\textrm{m}$(C). The filtrate concentrations were from 0.18 to 0.92$\mu\textrm{g}$/1 of Chlorophyll-a. And then, removal rate percentage were from 78.30 to 95.57(R-A). In addition SS 80%, CODMn32% COD 61%, T-N 10% and T-P 39% on the D water treatment plant. The R(40$\mu\textrm{m}$) C(17$\mu\textrm{m}$) process can be substituted of reusing the recycled water of recycling basin supernatant view of capacity and removal rate of filtrate.

  • PDF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Estuarine Behavior and Flux of Nutr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 권기영;문창호;이재성;양성렬;박미옥;이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4호
    • /
    • pp.153-163
    • /
    • 2004
  • In order to estimate the nutrient flux of the Seomjin River into the coastal waters of South Sea, and to understand the estuarine reactions during mixing between river water and seawater, we collected surface water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from Mar. 1999 to Apr. 2001. We found that nitrate and silicate were delivered by fluvial input, while phosphate was, supplied from disposed wastes in the Gwangyang Bay. Mean annual flux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phosphate and silicate into the Gwangyang Bay was estimated 10.9 molesㆍsec$^{-1}$(4,820 tonnesㆍyr$^{-1}$), 0.07 molesㆍsec$^{-1}$(68 tonnesㆍyr$^{-1}$), 13.3 molesㆍsec$^{-1}$(11,747 tonnesㆍy$^{-1}$), respectively. An evident removal of phosphate, silicate and ammonium at the mid-salinity zone during the dry season was attributed to the active uptake of phytoplankton, and consequently nutrient flux into the Gwangyang Bay was low. Whereas, during the flood season in summer, conservative or additional distribution of the nutrients was observed in the estuary. As a rsult nutrient flux into the Gwangyang Bay was maintained high. High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and the active removal of nutrient during the dry season at the mid-salinity zone suggest that nutrient distribu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as mainly controlled by biological processes and nutrient fluxes into the Gwangyang Bay might be significantly modified of by the primary production.

Morphological and Ginsenoside Differences among North American Ginseng Leaves

  • Proctor, John T.A.;Sullivan, Alan J.;Rupasinghe, Vasantha P.V.;Jackson, Chung-Ja C.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55-161
    • /
    • 2011
  • Leaf characteristics of mature 2, 3 and 4-year-old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leaves on fruiting and non-fruiting(NF) plants were studied. Leaflets of the 2-year-old plants had the lowest fresh and dry weight, area, volume and internal gas volume. Inflorescence removal in 3-year-old plants did not affect leaf characteristics or ginsenoside concentration but in 4-year-old plants it increased leaf fresh (38.6%) and dry (43.9%) weight, leaf area (29.1%), specific leaf mass (11.4%), leaf volume (43.1%), and leaf thickness (12.1%), and decreased leaf water content (6.2%). Cultivated ginseng, although an understorey plant, had the specific leaf mass, 35.6 g $m^{-2}$ (range, 36 to 39 g $m^{-2}$) and a chlorophyll a/b ratio of 2.40 to 2.61, both suggesting the ability to perform like a sunny habitat plant. Also, specific leaf mass of 35.6 g $m^{-2}$ is similar to that reported for perennial plants, 36.8 g $m^{-2}$, rather than that for annuals, 30.9 g $m^{-2}$.

정수처리과정중 응집및 여과에 미치는 조류의 영향 (The Effect of Algae on Coagulation and Filteration of Water Treatment Process)

  • 임영성;송원섭;조주식;이홍재;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2000
  • 낙동강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과정의 주요 공정인 응집과 여과에 미치는 조류의 장애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하류지역인 칠서정수장 취수원에서 1995년 1월부터 1998년12월까지 발생되는 계절별, 종별 조류 천이과정과 조류가 응집과 여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정수장에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수원인 낙동강의 Chlorophyll-a 농도는 최저 $20.7{\mu}g/l$ 에서 최고 $180.9{\mu}g/l$ 이었고,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각각 3.4mg/l 와 0.1mg/l 이상으로 년중 과영양상태로 평가되었다. 조류 우점종은 $Stepanodiscus\;sp.\;{\to}\;Asterionella\;sp.\;{\to}\;Melosira\;sp.\;{\to}\;Microcystis\;sp.\;{\to}\;Synedra\;sp.\;{\to}\;Stepanodiscus\;sp.$로 천이되었다. 정수장애는 여과시 폐쇄 및 응집, 침전불량 이었고, 장애 발생빈도는 Stepanodiscus sp.와 Synedra sp.가 각각 42%와 38%이었다. 조류 개체수가 Stepanodiscus sp.와 Synedra sp.는 각각 1,820cells/ml와 800cells/ml일 때 정수장애가 시작되었다. Chlorophyll-a 농도가 $18.9{\mu}g/l$ 일 때 Alum과 PACS의 최적응집제 주입량은 각각 40mg/l 과 16mg/l 에서 처리수 탁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Chlorophyll-a 농도가 $154.1{\mu}g/l$ 로 증가될 때 Alum과 PACS의 최적응집제 주입량은 각각 75mg/l 과 35mg/l 에서 처리수 탁도가 양호하여 Chlorophyll-a 농도가 증가할수록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하였다. 응집제를 최적으로 주입하였을때의 조류 제거율은 Stepanodiscus sp. 경우 Alum과 PACS 주입량이 각각 60mg/l 과 30mg/l 일 때 각각 85%와 83%이었으며, Synedra sp. 경우 Alum과 PACS 주입량이 각각 50mg/l 과 25mg/l 일 때 각각 79%와 81%이었다. 여과지에 유입된 Synedra sp.의 개체수가 1,500cells/ml일 때 여과지 폐쇄를 유발하였고, 이 때 여과지속시간은 8hr이었다. 여과지 폐쇄를 일으키는 대부분의 조류는 안트라사이트 표층으로부터 10cm 깊이에서 억류되었으며, Synedra sp.는 표층 5cm 깊이에서 97% 억류되었다.

  • PDF

황토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iodinium종의 제거효과 (Removal Efficiency of Cochi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Loess)

  • 최희구;김평중;이원찬;윤성종;김학균;이흥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3
    • /
    • 1998
  • 황토에 의한 Cochlodinium 종의 제거효과실험을 실내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은 Cochiodinium 적조생물을 배양하여 황토 및 이를 산처리로 활성화시켜 살포농도를 $2\;g/\ell$에서 $10\lg/\ell$로하여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황토의 적조생물제 거효과는 살포농도 $2\;g/\ell$에서 $43\%$, $6\;g/\iota$에서 $64\%$로 점차 향상되기 시작하여 $10g/{\ell}$에서는 살포 60분후 $88\%$의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현장조사는 Cochlodinium 적조가 빈발한 통영 활목-오비도해역에서 1996년 9월에 2회 실시되었다. 황토살포 전후로 해서 실시된 조사에서도 역시 황토살포 30분후에 Cochlodinium 적조생물이 $72\~83\%$가 제거됨으로써 좋은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수질인자중 수온과 pH는 살포전후 변화가 없었으나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클로로필 a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였고 부유물질은 증가하였다. 부영양화 인자중 용존무기인은 살포전후 농도변화가 없는 반면, 용존무기질소는 살포후가 살포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따라서 황토살포는 $10\;g/{\ell}$전후로 살포하는 것이 적조생물 제거효과에 바람직하며 수질에도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물리적 녹조 제거 장치의 제거 효율 평가 방안 (Evaluation Methods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Physical Algal Removal Devices)

  • 박별님;김경미;조영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19-430
    • /
    • 2023
  • 국내 상수원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녹조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녹조제거기술이 개발되어 적용 중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녹조제거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제거 효율을 비교·평가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서화천 수역에서 이동식 녹조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제거 작업을 시행한 결과를 활용하여, 녹조제거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녹조 제거 작업시 수거된 슬러지의 양, 함수율, 클로로필-a의 농도로부터 작업 구간 중 클로로필-a의 농도 감소량(ΔChl-a)을 계산하였다. 또한 작업 대상 수역의 면적, 일일 최대 작업 면적과 ΔChl-a로부터 대상 수역에서 1 mg/m3의 클로로필-a 농도를 저감하는데 필요한 작업일수(WD)를 계산하였다. 작업 전후 수체에서 클로로필-a의 농도 저감율, 제거 기술의 처리 용량, 작업 대상 수역의 수체 용량으로부터 녹조제거능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이동식 녹조제거장치의 녹조제거능은 6.64%/day (대청호 서화천 수역 대상, 약 500,000 m2)이었으며, 이는 다른 물리·화학적 녹조제거 기술의 녹조제거능(0.02~4.72%/day)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류제거효율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녹조제거 기술의 비교 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국립환경과학원이 운영하고 있는 「조류제거시설 설치·운영 및 살포용 조류제거물질 사용지침」에서 물리적 또는 물리·화학적 복합 조류제거기법의 조류제거 성능 및 제거 효율 평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