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검색결과 3,176건 처리시간 0.037초

해수색 원격탐사에 의한 동해 연근해역 클로로필 a 이상분포 연구 (Study on Abnormal Distribution of High Concentration Chlorophyll a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Season using Ocean Color Satellite Remote Sensing)

  • 서영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6
    • /
    • 2006
  •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occurred around the Ulleung Warm Eddy off Ulleung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season. The abnormal distributions of chlorophyll a were captured by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measured field data. The temporal and spatial scale of the abnormal distributions were around 20days and 50km diameter off Ullung Island. The anomalies were quantified b)'estimated chlorophyll a derived from OCM and SeaWiFS ocean color data from 2000 to 2004. The origin of abnormal hish concentrations was estimated by this study. It was that suspend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Nakdong River and the coastal water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moved to northeastern coast, and then moved to off Ullung island, The high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cluding inorganic materials were accumulated by anticyclonic eddy such as the Ullung Warm Eddy around Ullung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season.

환경장애(環境障碍)에 대(對)한 수도(水稻)의 생리반응(生理反應) II IR667계통(系統)과 장려품종(奬勵品種)의 엽녹소질소(葉綠素窒素) 및 가리함량(加里含量)에 대(對)한 저온(低溫)의 영향(影響) (Physiological Respone of Rice Plant Enviromental Stress II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contents of chlorophyll, nitrogen and potassium m leading local and IR667)

  • 박훈;김영우;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37
    • /
    • 1973
  • Phytotron을 사용(使用) 열대형질(熱帶形質)인 IR667 계통(系統)(수원 213 및214)과 기존장려품종(진흥(振興) 및 팔달(八達))의 생육(生育) 시기별(時期別)(묘대말기(苗代末期), 최분기(最分期), 출수기(出穗期))로 저온처리(低溫處理)($15^{\circ}C$, $20^{\circ}C$, $25^{\circ}C$, 3일(日) 및 7일간(日間))를 하여 엽록소(葉綠素),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상부제(上部第) 2엽신(葉身)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chl. 함량이 $25^{\circ}C$ 에서는 IR667계통(系統)이 장여품종(奬勵品種)보다 크나 $20^{\circ}C$이하(以下)에서는 그 반대(反對)였으며 chi. a/b 값은 장려품종(奬勵品種)이 언제나 큰 경향이다. 2.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생육(生育)에 따라 감소(減少)하며 chl.a가 b 보다 저온(低溫)에 의(依)한 감소(減少)가 크고 묘대기(苗代期)가 저온(低溫)의 영향(影響)을 가장 심히 받았다. 3. chl.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chl. a/b 값도 증가(增加)하는데 장해(障害)를 받으면 chi.당(當) a/b. 비율(比率) 증가(增加)가 감소(減少)하며 저온(低溫)에 약(弱)한 IR667이 장려품종보다 더욱 감소(減少)한다. 4. Chl. 잔존율(殘存率)로 보아 IR667계통(系統)이 장려품종(奬勵品種)보다 저온장해(低溫障害)를 크게 받는다. 5. 전질소(全窒素) 및 methanol 가용질소(可溶窒素)(S-N)는 저온(低溫)에 의(依)하여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다. 6. chl. (a+b)/S-N 값은 생육(生育)에 따라 감소하며 온도(溫度)에 크게 영향(影響)받지 않으며 장려품종(奬勵品種)이 언제나 큰 경향(傾向)이다. 7. 저온(低溫)에 의하여 K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며 methanol 가용(可溶)K가 증가(增加)하면 chlorophyll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8. IR667이 고온(高溫)에서 생체당(生體當) chlorophyll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이의 다수성(多收性)의 한 원인(原因)이며 chl. /S-N가 적은것은 엽신(葉身)의 저온(低溫)이나 비절(肥切)에 의(依)한 적변(赤變)의 한 원인(原因)이 될 것으로 보였다.

  • PDF

클로로필 $\alpha$ 추정시 OSMI 밴드의 광학 반응 특성 (Characteristic Response of the OSMI Bands to Estimate Chlorophyll $\alpha$)

  • 서영상;이나경;장이현;황재동;유신재;임효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7-199
    • /
    • 2002
  • 해수광 특성이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변동하는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현장 클로로필 $\alpha$와 OSMI 밴드(412, 443, 490, 555nm) 및 해수 다중 광측정기(PRR-800) 밴드(412, 443, 490, 510, 555, 670, 765nm)간의 관계성을 구한 결과, 클로로필 $\alpha$에 대한 각 밴드별 remote sensing reflectance (Rrs) 값이 맑은 해수(미국 캘리포니아 근해)에서 보다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크게 나타났다. 또한 440nm와 670nm 영역에서 현장 관측 클로로필 $\alpha$에 대한 입자 물질들의 광흡수 값이 맑은 해수의 경우보다 큰 값을 보였다. 그러므로, OSMI밴드에서 클로로필로 인해 최대 흡수가 일어나는 밴드가 443nm을 추정할 수 있었다. 동중국해를 관측한 OSMI 위성의 각 band (412, 443, 490, 555 nm)로부터 nLw (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와 현장 클로로필 $\alpha$(Chl $\alpha$)값의 관계성(Chl $\alpha$= f(nLw)을 구하였다. OSMI 밴드에서 클로로필 $\alpha$ 값과 각 밴드별 nLw 값과의 상관성은 412nm에서 최저 상관성을, 555nm에서 최고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alpha$ 현장 관측 값 및 OSMI 복합밴드 비 값(nLw412/nLw555, nLw443/nLw555, nLw490/nLw555)을 비교 분석한 결과, nLw490/nLw555 비 값과 현장 클로로필 $\alpha$ 값간에 최고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nLw443/nLw555 순으로 안정된 값을 보였으나, nLw412/nLw555와 클로로필 $\alpha$ 값간의 상관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시간이내 현장 측정 클로로필 $\alpha$ 값을 기준으로 OSMI 및 SeaWiFS 위성 자료를 OC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한 클로로필 값간의 차이는 해양의 수평 공간 변동에 관계없이 OSMI 추정 값이 약 0.3mg/m$^3$ 정도 일정하게 낮게 나타났다. 향후 OSMI 위성 밴드를 이용한 클로로필 $\alpha$ 추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삼 Light Harvesting Chlorophyll Protein의 특성 및 엽소병에서 Singlet Oxygen($^1O_2$) Quenching (Characteristics of Light 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 and Singlet Oxygen ($^1O_2$) Quenching in Leaf-burning Disease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조;이성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8-164
    • /
    • 1989
  • 인삼엽소병(leaf-burning disease) 원인과 light-harvesting chlorophyll-protein(LHCP) complex의 solar energy 분배능력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인삼 thylakoid의 chlorophyll-protein(CP) complex의 조성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CP-complex는 non-denaturing SDS-PAGE 방법에 의해 4개 bands로 분리되었으며 각 band는 Bassi와 Dunahay의 결과에 따라 CPI(PSI의 reaction center와 LHCP I antennae), CP I(PSI reaction center), LHCP II(LHCP II)의 oligoform), 그리고 LHCP II(PS II antennae; CP29, CP26)로 확인되었다. 인삼의 LHCP II 는 양지식물인 spinach, soybean과 비교해 볼 때 오히려 인삼의 band intensity가 더 높았으며, CP I band는 인삼에서만 분리되었다. 인삼 CP-complex band의 absorption 및 fluorescence spectra, chlorophyll a.b ratio 에서도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Thylakoid membrane의 polypeptide 함량은 인삼에서 비교식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polypeptide 함량은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polypeptide pattern은 band의 수나 band intensity에서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9-35 kD, 55 kD과 60 kD 근치에서 현저한 band intensity 차이를 확인하였다. Specific $^1O_2$에 의해 chl. a가 60%, chl.b는 90%, 그리고 carotenoid는 70%가 파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N,N-Dimethylformamide와 Dimethylsulfoxide를 이용한 감귤 잎의 엽록소 측정방법 확립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Chlorophyll Using the N,N-Dimethylformamide and Dimethylsulfoxide in Citrus Leaves)

  • 한승갑;강석범;문영일;박재호;박경진;최영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44-349
    • /
    • 2014
  • BACKGROUND: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extinction coefficients of chlorophyll a and b in N,N-dimethylformamide(DMF) and Dimethylsulfoxide(DMSO) solvents and to find out the conditions of optimal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in citrus leaves. METHODS AND RESULTS: Chlorophyll a and b standards were dissolved in DMF and DMSO. Extinction coefficients of chlorophyll pigments were determined and their contents were quantified using spectrophotometer. Chlorophyllous pigments of citrus(Citrus unshiu Marc. cv. Okitsu wase) leaves were extracted at 25, 40, 60 and $80^{\circ}C$ for 4, 6, 8, 24 and 48 hour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CONCLUSION: The extinction coefficients of chlorophyll a(Chl a) and chlorophyll b(Chl b) of DMF extracts for high extinction wavelength were 663.8 and 647.2 nm. Similarly, the high extinction wavelength of DMSO extracts were 665.8 and 649.0 nm for chl a and b respectively. Chl a, Chl b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DMF extracts were Chl a = $12.10A_{663.8}-2.74A_{647.2}$, Chl b = $21.94A_{647.2}-5.06A_{663.8}$ and total $Chl=19.193A_{647.2}+7.04A_{663.8}$. Similarly, Chl a, Chl b and total Chl of DMSO extracts were Chl a = $14.53A_{665.8}-5.40A_{649.0}$, Chl b = $26.98A_{649.0}-7.11A_{665.8}$ and total $Chl=21.58A_{649.0}+7.43A_{665.8}$. The chlorophyll extracts of DMF and DMSO were very stable in dark. High chlorophyll contents of citrus leaves were found at $80^{\circ}C$ extraction for 6 hours in DMF and at $80^{\circ}C$ extraction for 24 hours in DMSO. However, the chlorophyll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8 hours in DMF extraction while it was remained up to 30 hours in DMSO extraction.

마산만 표층수에서 물리-화학적 수질요인과 엽록소-$a$ 농도 사이의 관계: 격일 관측 자료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Factors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of Masan Bay: Bi-Daily Monitoring Data)

  • 정승원;임동일;신현호;정도현;노연호
    • 환경생물
    • /
    • 제29권2호
    • /
    • pp.98-106
    • /
    • 2011
  • 마산만의 수질변화와 chlorophyll-$a$의 관계를 밝히고자 이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4개 정점에서 2010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강우와 기온을 포함한 기후학적 요인, 물리 화학적 요인, 그리고 chlorophyll-$a$의 변화를 집중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온, 염분, SS, 규산염은 정점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OD 및 DIN은 마산만 내만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시계열적으로는 여름철 집중 강우 시 마산만 지류 하천 및 낙동강을 통해 담수가 유입되면서 염분의 급강하 및 SS량과 COD의 증가가 나타났다. 영양염류 중 DIN은 여름철 집중강우 시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제외하고는 낮은 농도를 보였고 DIP와 규산염 또한 DIN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마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영향을 주는 영양염류는 봄철 중반까지 규소와 인이 성장제한인자로 작용하고, 늦봄부터 가을까지는 질소원이 주 성장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늦겨울부터 봄철까지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 염분, COD, DIP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여름철에는 봄철과 달리, 염분 및 COD, 강수량이 영향을 주고 있어, 여름철 집중강우에 따른 영향인자들에 의해 chlorophyll-$a$가 빠르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산만 해역의 chlorophyll-$a$의 변화는 영양염류와 같은 화학적 인자의 영향과 함께, 수온 및 강수와 같은 물리적 인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동해 울릉분지에서 봄과 여름동안 시계방향 와류가 영양염과 엽록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icyclonic Eddy on Nutrients and Chlorophy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김동선;김경희;심정희;유신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280-286
    • /
    • 2007
  • 동해 울릉분지에서 봄과 여름 동안 난수성 시계방향 와류가 영양염과 엽록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5년 7월과 2006년 4월에 5개 정점에서 표층부터 수심 200 m까지 수온, 염분, 영양염, 엽록소 등을 관측하였다. 봄에는 와류 내부해역에서 표층 혼합층의 깊이가 150 m 이상으로 매우 깊은 반면, 외부해역에서는 $20{\sim}60$ m로 비교적 얕았다. 와류 내부해역에서 수직혼합이 활발히 일어나 표층해수에 영양염이 풍부한 반면, 외부해역에서는 표층에서 성층화가 생겨 심층에서 표층으로 영양염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농도가 낮았다. 봄에는 와류 내부해역에서 표층 혼합층 깊이가 유광층 깊이보다 훨씬 더 깊어서 엽록소 농도가 낮았으며, 와류 외부해역에서 측정한 총 엽록소(depth-integrated chlorophyll) 양은 내부해역에서 측정한 것보다 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여름에는 봄과 달리 모든 정점에서 표층 성층화가 강하게 발생하여, 영양염이 표층에서 완전히 고갈되었다. 여름에 관측한 엽록소는 모든 정점 수심 30 m 내외에서 최고 농도를 나타내어, 아표층 엽록소 최대(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를 보였으며, 와류 내부해역에서 측정한 총 엽록소 양은 외부해역에서 측정한 것보다 두 배가량 높았다. 동해 울릉분지에서 거의 매해 나타나는 시계방향 와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데, 그 영향이 봄과 여름에 다르게 나타났다; 봄에는 시계방향 와류가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을 제한하는 반면, 여름에는 반대로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을 증가시킨다.

대한해협의 식물플랑크톤의 기초생산력 (The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진평;홍성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4-83
    • /
    • 1985
  • 대한해협 서수도의 거제도 남단 연근해를 중심으로 3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수층별 chlorophyll a 함양을 분석하고 in situ 법으로 기초생산량을 측정하였다. 1. 1983년 추계의 기초생산력은 표층에서 $9.24{\sim}13.05\;mg\;C/m^3/h$ 범위로서 연중 가장 높았다. chlorophyll a 함량은 $0.66{\sim}1.22\;mg/m^3$ 범위로서 역시 가장 높았다. 2. 1984년 동계의 기초생산력은 표층에서 $0.75{\sim}1.77\;mg\;C/m^3/h$ 범위로서 하계보다 높았다. chlorophyll a 함량은 $0.19{\sim}0.41\;mg/m^3$ 범위로서 역시 하계보다 높았다. 3. 1984년 춘계의 기초생산력은 표층에서 $3.42{\sim}6.68\;mg\;C/m^3/h$범위로서 추계보다 낮았다. chlorophyll a 함량은 $0.34{\sim}0.64\;mg/m^3$ 범위로서 역시 추계 보다 낮았다. 4. 1984년 하계의 기초생산력은 표층에서 $0.57{\sim}0.79\;mg\;C/m^3/h$ 범위로서 연중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 함량은 $0.11{\sim}0.17\;mg/m^3$ 범위로서 역시 가장 낮았다. 5. 동화수는 연중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추계와 춘계에 높았고 겨울에 가장 낮았다. 6. 기초생산량은 수심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고추장아찌 숙성 중 아스코르브산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 정숙자;김경업;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14-818
    • /
    • 2001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장아찌류의 일종인 고추장아찌를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여 5$^{\circ}C$와 15$^{\circ}C$에서 보관 숙성시키면서 염도, pH, 아스코르브산,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장아찡의 염 농도는 담근원의 염도와 상관이 있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은 쪽이 염의 침투 속도가 빨랐다. 숙성 중 pH는 5$^{\circ}C$의 경우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15$^{\circ}C$의 경우는 된장 담금은 32일째부터 pH 5.0 이하로 낮아졌다.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특히 15$^{\circ}C$에서 된장 담금인 경우에 보다 급속하게 감소되어 16일째에 잔존율이 2% 정도였고 그 이후로는 소실되었다. 고추장아찌가 숙성됨에 따라 chlorophyll a 및 chlorophyll b의 함량은 크게 감소되었고, pheophytin과 pheophorbide a의 함량은 크게 증가되었는데, 이는 된장 담금인 경우가 간장 담금한 경우보다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아스코르브산의 함량과 chlorophyll 분해율과의 관계를 검토해보면 아스코르브산이 급격하게 파괴됨에 따라 chlorophyll 분해도 급속하게 일어났으며 pheophorbide 생성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운영의 생육 및 성분에 미치는 지베레린의 영향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GROWTH AND INTERNAL COMPONENTS OF ASTRAGALUS SINICUS L.)

  • CHA, Jong Wha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4호
    • /
    • pp.1-5
    • /
    • 1962
  • 본 실험에서 지베레린이 자운영의 생육및 내부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토양재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잎에 살포한 지베레린의 비교적 적은 농도 차는 자운영의 내부 성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생육의 증가는 지베레린의 농도증가에 관련되었다. 엽녹소 및 Carotene 함량은 지베레린 농도와 상반되고 생장율은 엽록소와 Carotene 함량과 크게 상반되었다. Carotene 함량은 엽록소량과 함께 변하였는데 엽록소와 Carotene의 비는 Beck와 Redman이 얻은 결과처럼 높지 않았다. 엽록소와 Vitamin C의 함량은 발육이 진전함을 따라 차이가 생기는데 이 차이는 엽록소만 유의하다. Anthocyanim 함량은 지베레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ucrose 및 Reducing Sugar의 함량과 함께 감소되었다. Anthocyanim 함량은 Jacob Straus의 옥수수에 대한 실험 결과와 같이 많지 않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