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ated compound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18초

Chlorosmaridione; A Novel Chlorinated Diterpene Quinone Methide from Rosemarinus officinalis L.

  • El-Lakany, Abdalla 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59-62
    • /
    • 2004
  • A novel chlorinated diterpene quinone methide; chlorosmaridione (7-chloro-11-hydroxy-abeita-7,9(11),13-triene-6,12-diode) was isolated from petroleum ether extract of the stems of Rosemarinus officinalis L. growing in Egypt. In addition, ${\beta}-sitosterol$, stigmasterol, lupeol acetate, ${\alpha}-amyrin,\;{\beta}-amyrin$, lupeol, acetyloleanolic acid, acetylursolic acid taxodione, horminone, and cryptotanshinone were also identified.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have been elucidated on the bases of physical, chemical, and spectral data including IR, UV, MS, 1D-and 2D-NMR spectra.

Column Removal of Trichloroethylene and Dichloromethane using Low Cost Activated Carbon

  • Radhika, M.;Lee, Young-Seak;Palanivelu, K.
    • Carbon letters
    • /
    • 제11권1호
    • /
    • pp.13-21
    • /
    • 2010
  • Coconut shell activated carbon (CSAC) was investigated for its ability in the removal of two neutral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namely trichloroethylene (TCE) and dichloromethane (DCM) from aqueous solution using a packed bed column. The efficiency of the prepared activated carbon was also compared with a commercial activated carbon (CAC).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such as flow rate and bed height were studied. In all the cases the lowest flow rate (5 mL/min) and the highest bed height (25 cm) resulted in maximum uptake and per cent removal.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sed using bed depth service time model (BDST) and Thomas model. The regeneration experiments including about five adsorption-desorption cycles were conducted. The suitable elutant selected from batch regeneration experiments (25% isopropyl alcohol) was used to desorb the loaded activated carbon in each cycle.

Tolyl계 Chloro 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lorinated Tolyl Compounds.)

  • 조윤상
    • 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5-156
    • /
    • 1974
  • P, P'-Hexachiorobitolyl, p, p-hexachlorobitolylketone and p, p' hexachlorobitolylthiourea were synthesized by the radical chlorination method of Hass and McBeer. Among these comppounds, l wormicidal activity of p.p'-hexachlorobitolythiourea was much most potent against Clonorchis sinensis than Hetol in vitro. In the process of the p, p'-biolyl chlorination, ${\alpha, \alpha, \alpha}$-trichlorobitolyl was not detected, but small amount of ${\alpha, \alpha, \alpha}$-dichlorobitolyl was detected. This compound was immediately converted bitolyl compounds were analyzed, lin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retention indices and number of chlorine in two series of odd and even numbered chlorine compounds.

  • PDF

산화망간으로 촉매화된 펜톤유사반응을 적용한 염소계화합물의 환원분해 (Manganese Oxide Catalyzed Fenton-like Reduction of Chlorinated Compounds)

  • 김상민;공성호;김용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3호
    • /
    • pp.95-10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염소계화합물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효율적인 처리방안으로 산화망간을 이용한 염소계화합물의 환원분해반응을 유도하였다. 기존의 펜톤반응은 산성 pH에서 효율적이며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소모하는데 비하여, 산화망간/과산화수소 시스템에서는중성 pH에서 낮은 과산화수소 농도($\leq$294mM)로도 효율적인 CT의 분해율을 보였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CT의 분해율도 증가하였다. 또한 산화망간 농도의 증가율에 비하여 CT의 분해율은 그다지 높은 증가율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반응시 발생하는 산소의 생성율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발생하는 산소가 산화망간표면과 과산화수소의 접촉빈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난분해성물질인 염소계화합물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 시 토양의 pH완충효과 때문에 전통적인 펜톤반응을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산화망간으로 촉매화된 펜톤유사반응은 매우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처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 : 수분과 탄소원의 영향 (Natural Dissipation of Chlorin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in Soil :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Carbon Source)

  • 조장환;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3호
    • /
    • pp.46-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에 대한 흡착과 미생물분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표적인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인 TCA (1,1,1-trichloroethane), TCE (trichloroethylene) 및 PCE (tetrachloro ethylene)의 자연저감율을 비교하기 위해 세가지 조건에서 바이얼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멸균, (2) 비멸균 그리고 (3) 비멸균/탄소원첨가.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수분함량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로 적용하였다; (1) wilting point (12%, w/w), (2) field capacity (29%, w/w), (3) saturation (48%, w/w). 100일 경과 후, TCA 및 TCE는 field capacity에서 미생물에 의한 자연저감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일어났다. 비멸균/탄소원 첨가 토양은 멸균한 토양에 비해 유기물질의 제거율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CE는 미생물 및 탄소원 첨가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발색법에 의한 Peroxidase의 신속한 스크리닝법과 2, 4-DCP 분해균주의 스크리닝 (Rapid Screening Method of Peroxidase by Colorimetric Assay and Screening of 2, 4-DCP Degradable Strains)

  • 류강;이은규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84-48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peroxidase 활성의 신속한 스크리닝을 위해 peroxidase의 활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으로 agar plate와 96-well plate에서 peroxdase의 활성에 비례하여 색상감도를 측정할 수 있는 colorimetric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RP-HPLC 결과와 매우 비례적으로 상관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 colorimetric 분석법을 사용하여, 폐수에서 한천 고체배지에서 7회에 걸친 스크리닝으로 높은 농도의 2,4-DCP(1000 ppm)에서 생존하는 균주를 스크리닝하였고 선별된 이들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2,4-DCP 만을 대사할 수 있으며 높은 peroxidase 생산량을 보였다. 분리된 균주들 중 높은 peroxidase 활성을 가지는 2,4-DCP 분해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 분리된 균주는 염색폐수의 COD를 4시간 동안 44%에서 61%까지 제거하였다. 상기의 결과에 의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색법이 페놀화합물 분해 균주 스크리닝법이 빠르고 쉬운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 혼합물의 분해 균주 탐색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mino Silane, Vinyl Silane, TESPD, ZS(TESPD/Zinc Complex) Effects on Carbon Black/Clay Filled Chlorobutyl Rubber(CIIR) Compounds Part I: Effects on Hard Clay/Carbon Black Filled Compounds

  • Kim, Kwang-Jea
    • Carbon letters
    • /
    • 제10권2호
    • /
    • pp.101-108
    • /
    • 2009
  • Various silanes, amino silane, vinyl silane, TESPD, and ZS (TESPD/zinc soap complex), are added into chlorinated isobutylene-isoprene copolymer (CIIR)/hard clay/carbon black (CB) compound and they a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the processabilit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hard clay/CB filled system, only ZS silane added compound shows both lower Mooney viscosity and extrusion torque while vinyl silane added compound showed only a lower extrusion torque. All the ZS added compounds showed the lowest viscosity among them. The silane added compounds showed an increased modulus. In 'fatigue to failure' count test, the ZS added compound showed superior counts compared to other silane (amino, vinyl, TESPD) added compounds.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S2 and ZS were added into CIIR/hard clay/CB compound. The ZS added compound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elongation modulus.

복합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염소화 페놀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Phenols by a Mixed Culture)

  • 오희목;이완석;정상욱;박찬선;윤병대;김장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1
    • /
    • 2001
  • 복합미생물제재를 사용하여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소화 페놀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에서 8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복합미생물제재의 주된 미생물인 Pseudomonas sp. BM은 Gram-negative, catalase- 그리고 oxidase-positive, rod 형이며 $41^{\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않았다. Pseudomonas sp. BM은 단일 탄소원으로서의 PCP(pentachlorophenol) 500mg/l의 농도로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배양 3일 후에 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복합미생물제재에 여러 가지 종류의 유기탄소 및 질소원을 첨가한 후 PCP의 분해효율을 관찰하였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Pseudomonas sp. BM은 pH 5에서 8까지 넓은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으나 pH 7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류가 다른 염소화 페놀을 함유한 인공폐수에서 염소화 페놀화합물의 분해시험은 7일간 배양후 최저 분해효율 73%(2,4-DCP)에서 최대 96%(2-CP)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속배양 실험에서, 활성 슬러지와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한 것의 PCP 분해효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활성 슬러지만을 첨가한 대조구에 비해 복합미생물제재를 첨가하였을 때는 약 2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염소화 페놀이 함유된 폐수에 복합미생물제재의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 PDF

활성탄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유기질소계 염소 소독부산물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itrogenous Organic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by Activated Carbons and Biofiltration)

  • 서인숙;손희종;최영익;안욱성;박청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4-191
    • /
    • 2007
  • 활성탄 공정에서 chloropicrin, DCAN, DBAN 및 TCAN과 같은 질소계 염소 소독부산물의 제거기작은 운전초기에는 흡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부착미생물의 활성이 중진되면서 부착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와 흡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이들 물질들은 생분해능이 큰 물질들로 조사되었다. 입상활성탄 재질별 chloropicrin, DCAN, TCAN 및 DBAN의 제거 특성은 석탄계와 야자계 재질의 활성탄에서 제거율이 높았고, 목탄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능을 보였으며, 안트라사이트 biofilter에서 가장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활성탄 재질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가 가장 높았고, 야자계, 목탄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변화에 따른 chloropicrin, DCAN, TCAN 및 DBAN의 제거 특성은 수온이 $10^{\circ}C$ 이하로 저하될 경우 부착 bacteria의 생체량과 활성도 감소로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은 수온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부착 bacteria에 의한 직접적인 생물분해가 주 제거 메카니즘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Chloropicrin, DCAN, TCAN 및 UBAN과 같은 질소계 염소소독부산물들의 유입농도가 높은 경우 이들의 제거시에는 수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흡착능이 소진된 활성탄이나 흡착능이 없는 여재를 사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는 수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이들의 유출 가능성이 있었다.

Caulobacter의 세포(細胞)의 형태(形態) 및 기능(機能)의 분화(分化)에 대한 염소 및 염소화합물의 영향(影響) (Effects of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on morphology and function of Caulobacter cells)

  • 김치경;박문국;염곤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1982
  • Caulubacter is distinctive in the morphology and replication and ubiquitous in the biosphere, especially in every type of aquatic environment.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have been used as a main disinfectant throughout the world. Therefore, Caulobacter in the waters should be affected by chlorination of the wat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disinfectants on Caulobacter cells and o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cells. The Caulobacter swarmer cells were disinfected by chlorine at pH 7.0 minutes of the reaction with 2.0 mg/l of infected at pH 10.0. The swarmer cells treated with 2.0 or 4.0 mg/l of chlorine for 15 minutes lost their flagella and we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y to be damaged on their cell surfaces, discharging some cellular materials. When the chlorinated swarmers and untreated control samples were recultivated in fresh PYE broth medium, the control swarmers multiplicated exponentially after one-hour lag phase, whereas the chlorinated swarmers extended the lag phase to about four hours. During the extended lag phase, the cells were proved by electron microscopy to be grown and be in predivisional step, but no swarmer cell was found. When the stalked cells were chlorinated, almost all the cells were observed to have their stalks broken and some cellular materials discharged. In those samples recultivated, many cells differentiated to possess an abnormally elongated stalk with several crossbands on it. This suggests that the chlorine-shocked Caulobacter cells can develope to abnormal morphology in water environments which they can survive and regrow 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