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osan

검색결과 1,612건 처리시간 0.032초

키토산 마이크로캅셀 및 비드의 제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and Bead.)

  • 하병조;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51
    • /
    • 1994
  • Glutaraldehyde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가교반응에 의해 empty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을 제조하였다. 또한 chitosan bead는 sodium hydroxide 용액을 이용한 coaerva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를 위해 수상/유화제/유기상으로 이루어진 w/o emulsion을 형성시킨 후 에멀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조계면활선제로 n-hexanol을 첨가한 결과 유화안정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osan microcapsule은 광택이 나는 형태로 내부가 투명한 반면 chitosan bead는 백탁으로 내부가 불투명하며 매우 porous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Chitosan bead의 유리 아미노기의 분석은 picric acid titration으로 수행하였으며, 아미노산 반응의 종결여부는 ninhydrin color test에 의해 판정하였다. 또한 fluoroscamine에 의한 형광분석으로 chitosan bead의 표면에 많은 반응성 아미노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생리활성 펩티드의 커플링 반응에 이용할 수 있었다. 모델 펩티드로서 콜라겐의 receptor 부분에 해당하는 생체내 growth factor로 알려진 Gly-His-Lys를 각 아미노산 유도체를 차례로 커플링하여 chitosan bead 위에서 합성할 수 있으며, 세포 성장인자와 같은 여러 가지 생리 활성 펩티드의 운반체로서 chitosan bead가 쉽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

수용성 Chitosan을 첨가한 우유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특성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ilk with Water Soluble Chitosan)

  • 이재원;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06-813
    • /
    • 2000
  • 수용성 chitosan의 응용범위 확대 및 기능성 강화식품 개발을 위하여 시유에 수용성 chitosan을 첨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용성 chitosan을 첨가한 시유의 pH와 산도는 ethyl alcohol로 세척한 chitosan을 사용하면 신선유에 적합한 품질을 나타내었다. 점도와 표면색도는 chitosan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좋은 품질을 보였으며, 분자량이 커질수록 점도의 증가와 갈변현상이 일어났다. 살균 온도는 $73^{\circ}C$, 15초간 살균하는 것이 $88^{\circ}C$, 1초간 살균하는 것 보다 단백질의 응고 및 점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었고, 수용성 chitosan의 첨가 농도는 1.0% 이내가 안정적이었다. 저분자 chitosan$(MW\;0.2{\sim}3\;kDa)$은 B. bifibum의 생육을 촉진하는 기능성을 보였으며 배양 32시간 이후에는 약 10배 이상의 생육 촉진 기능성을 나타내었다. Chitosan을 첨가한 시유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깔과 화학적 이취가 강하게 느껴졌다. 커피우유에 수용성 chitosan을 첨가한 경우 삼점검사 결과 관능적으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수용성 chitosan을 첨가한 커피우유를 $0^{\circ}C,\;5^{\circ}C,\;10^{\circ}C$에서 냉장저장한 결과 30일간의 저장 중 $0^{\circ}C$$5^{\circ}C$에서 저장한 시료는 pH, 산도 및 점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10^{\circ}C$에서 저장한 시료는 16일 이후 품질의 변화를 보였다. 표면색도의 변화는 적었으며, 전반적으로 L값은 감소하였으나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의 변화는 향미에서 먼저 느껴졌으며, $10^{\circ}C$에서 저장한 경우 12일 이후부터 변화를 보였다.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크게 증가하였고, chitosan을 첨가한 커피우유에서는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 PDF

PDMS-chitosan 복합막에 의한 수소와 질소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H_2$ and $N_2$ Gases by PDMS-chitosan Composite Membranes)

  • 하정임;강태범
    • 멤브레인
    • /
    • 제23권6호
    • /
    • pp.418-424
    • /
    • 2013
  • 고분자 PDMS에 chitosan을 0.02~0.60 wt%까지 넣어 복합막을 제조하였고, SEM과 TGA에 의해서 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30^{\circ}C$, $4kg/cm^2$ 조건에서 수행하였고, 복합막의 함량 변화에 따른 $H_2$$N_2$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조사하였다. PDMS-chitosan 복합막의 $H_2$$N_2$ 투과도는 chitosan 함량이 증가하면 0~0.20 wt%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선택도($H_2/N_2$)는 0~0.20 wt%까지는 감소하고 0.20~0.60 wt% 범위에서는 증가하였다. PDMS 고분자에 chitosan이 도입되어졌을 때 PDMS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chitosan 함량이 증가했을 때 복합막의 표면은 거칠어지고 홀이 생성되었다.

PHB/chitosan 필름의 항균성 및 필름 포장시 식빵의 품질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PHB/Chitosan Films and Quality of White Bread Packaged with the Films)

  • 김미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21-330
    • /
    • 2005
  • PHB/chitosan 필름의 항균성 실험에서는 chitosan 필름이 실험에 사용한 세균과 곰팡이 모두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PHB(L)도 Fusarium solani KCTC 6636와 Penicillium citreonigrum KCTC 6927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식빵포장 실험에서는 chitosan이 첨가된 필름으로 포장된 식빵이 저장기간 중 수분 보유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빵의 색도에 있어서는 포장 필름의 종류에 관계없이 $L^*$$b^*$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a^*$는 저장기간 동안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Chitosan 필름과 PHB(L) 필름으로 포장한 식빵의 TBA가는 저장기간 중 적게 증가하여 이들 식빵에서 지질의 산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빵의 질감특성 분석에서는 PHB(M), PHB(L), chitosan 필름으로 포장한 식빵이 PHB, PHB(H)로 포장한 식빵보다 유의적으로 탄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에서는 chitosan의 항균력으로 chitosan이 함유된 필름으로 포장된 식빵에서 미생물 수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식빵 포장용으로 PHB(M), PHB(L), chitosan 필름이 PHB(H), PHB 필름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4차 Ammonium 기를 가진 새로운 수용성 Chitosan 유도체의 제조 및 이들의 응집거동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Water Soluble Chitosan Derivatives with Quaternary Ammonium Salt and Their Flocculating Behavior)

  • 김천호;정병옥;최규석;김재진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18-128
    • /
    • 1996
  • 양이온성 천연 고분자 전해질인 chitosan의 수용성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chitosan에 먼저 Schiff's base를 형성시키고, 이를 다시 환원시키는 방법으로 chitosan에 N-methyl, N-butyl, N,N-dibutyl기를 각각 도입시킨 후, NMP중에서 methyl iodide를 이용하여 4차 ammonium 기가 도입된 chitosan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이 반응에서 선택적인 N-alkyl 유도체 뿐 아니라 O-alkyl 또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각 4 차 ammonium기가 도입된 chitosan 유도체의 응집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제지공장 폐수를 대상으로 응집실험을 행한 결과, chitosan 에서와는 달리 거의 모든 pH 영역에서 일정하게 뛰어난 투과도와 COD 제거율을 보였으며, alkyl 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응집능은 증가되었고 그 중에서도 N-butyl dimethyl chitosan ammonium iodide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N-dibutyl methyl chitosan ammonium iodide는 오히려 chitosan 자체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키토산 유도체인 Sulfated N-acetyl Chitosan의 종양전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umor Metastasis by Chitosan Derivative, of Sulfated N-acetyl Chitosan)

  • 류병호;김동석필립그린스판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525-532
    • /
    • 1995
  • 키토산 유도체 인 sulfated N→acetyl chitosan을 합성하여 이 화합물을 쥐에 이식한 B16/BL6 mela noma에 대하여 폐암전이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키토산의 황산유도체는 13C-n.m.r.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 3, 6, O-disulfate 엄을 알 수 있었다. SuI fated N-acetyl chitosan을 1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B16/BL6의 melanoma cells을 가장 효과적 으로 억제하였고 종양 무게의 증식도 대조군에 비해 억제되었다. 폐암의 전이에 있어서 B16/BL6에 sulfated N-acetyl chitosan을 LV. V로 주사하였을 때 B16/BL6의 melanoma의 전이 세포의 수는 자발적인 전이에 있어서도 용량 의존형(20 ~ 1OOmg/kg) 에 따라 줄어들었다. B16/BL6을 접종한 후 sulfated N-acetyl chitosan을 I.V.로 투여했을 때 전이세 포의 수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Sulfated N-acetyl chitosan은 laminin의 종양세포에의 세포접착 능력을 부분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itosan의 유도체인 sulfated N-acetyl chitosan이 세포접착 능력이 실험적으로 자발적인 암전이 모델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

Chitosan 첨가가 메밀묵의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uckwheat Starch Jelly)

  • 이명희;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5-869
    • /
    • 2001
  • 메밀묵의 부패에 관련된 주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chitosan을 농도별(0, 0.5, 1.0, 1.5, 2.0%)로 첨가하여 메밀묵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묵의 부패에 관여하는 주요균은 Serratia liquefaciens와 Staphylococcus lentus로 간주되었다. 메밀묵을 18$^{\circ}C$에서 6일간 저장시 chitosan의 첨가량이 1.5% 이상일 때는 균의 성장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수분활성도 chitosan의 첨가량이 1.0% 이상일 때 변화가 적었다. 색상은 대조구와 chitosan 처리구 모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평가에서는 1.0% chitosan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hitosan 농도가 1.5%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메밀묵 제조시 chitosan을 1.0% chitosan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hitosan 농도가 1.5%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메밀묵 제조시 chitosan을 1.0% 첨가함으로써 대조구에 비하여 관능적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저장성도 1~2일정도 연장시킬수 있으리라 여겨졌다.

  • PDF

고온.고압 처리한 키토산을 이용한 수중의 납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d removal in aqueous solution using autoclaved chitosan)

  • 김동석;이승원;우형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269-1276
    • /
    • 2003
  • In order to know the effect of atuoclaving on the heavy metal removal using chitosan, lead removal capacities and removal rates by various chitosans in aqueous solu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various autoclaving time. The lead removal efficiencies and removal rates by the autoclaved chitosan were found to be on the order of 15 min(98%) > 10 min(95%) > 30 min(83%) > 5 min(53%) > 60 min(47%) > 0 min(22%) chitosan. The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was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autoclaving time. Therefore, the heavy metal removal capacity was not well correlated to the molecular weight. Langmuir isotherm was well fitted to experimental results of equilibrium adsorption on chitosan.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lead removal by the autoclaved chitosan, TEMs, SEMs and FT-IR analyses were used. The surface of autoclaved chitosan was much more porous and the lead removal was mainly occurred on the surface of chitosan. The structure of autoclaved chitosan was same as that of controlled chitosan.

키토산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1. 키토산 섬유와 S-카르복시메틸케라틴 코팅 키토산 섬유의 제조와 특성 (Development of Functional Textile Material by Using Chitosan 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Fiber and Chitosan Fiber Coated with S-carboxymethyl Keratein)

  • 민경혜;신윤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40
    • /
    • 1999
  • Chitosan fiber was prepared by wet spinning with various draw ratio. Chitosan fiber was coated with f-carboxymethyl keratein(SCMK) by extruding chitosan solution into 1 M NaOH solution containing 1% SCMK. Among three chitosan used in this study(chitosans of 5 cps, 50 cps, 100 cps), 50 cps chitosan gave the best tenacity and optimum concentration was 5%. SCMK coating increased the tenacity of chitosan fiber. Regardless of SCMK coating, tenacity and elongation of both chitosan fiber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raw ratio. Chitosan fibe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cus aureus showing 66∼72% of bacteria reduction rates. On the other hand, chitosan fiber coated with SCMK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activity.

  • PDF

다이옥신계 TCDD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관한 키토산의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s of Chitosan on the Disorders of Hepatic Functions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Treated with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 이준호;황석연;이연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9호
    • /
    • pp.689-697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e out the preventive effects of chitosan and chitosan oligomer on the disorders of hepatic functions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using adult male rats (SD) for four weeks. Rats were fed chitosan ($4\%$) or chitosan oligomer ($4\%$) diets respectively before 3weeks of TCDD treatment (50 ug/kg BW)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and then continually supplied these diets for one week until being sacrificed. The elevation of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levels induced by TCDD treat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rats fed chitosan diets. The increment of liver triglyceride levels caused by TCDD treatment was tended to suppress in all rats fed chitosan and chitosan oligomer diets. Fecal total lipid and cholesterol excretion were high levels in the rats fed chitosan diets. The hepatic cytosolic catalase activ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CDD treatment appeared recovering trend by chitosan diets. In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NADPH cytochrome p-450 reductase, ethoxycoumarin-o-deethylase (ECOD) and benzphetamin N-demethylase (BPND) chitosan than chitosan oligomer diets apparently decreased the increasing levels by TCDD treatment. In histochemical observation the fat droplets and apoptosis of hepatocytes by TCDD treatment were markedly alleviated by chitosan and chitosan oligomer die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tosan, more than chitosan oligomer can exert preventive effects on some disorders of hepatic functions and lipids accumulation by TC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