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satisfaction

검색결과 853건 처리시간 0.026초

음료용기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Cap이 달린 유리 및 PET용기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for Drink Bottle)

  • 김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72-181
    • /
    • 2006
  • 유니버설디자인은 사물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음료용기를 통해 지금까지 발견할 수 없었던 모순이나 불합리성을 인식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하여 문제점 도출과 방법에 대하여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음료용기에 대한사용자는 어린이와 노인, 여성과 남성, 일반인과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음료용기의 설계는 건강하고 평범한 남자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어 있어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 즉, 어린이나 장애인은 Cap을 열 수 없거나 외부의 도움 없이는 마실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음료용기를 대상으로 어린이에서부터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문제점에 대한 정량과 정성적 평가를 하였으며 정량적으로는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X^2$)을 활용하였고 정성적으로는 선행연구결과 자료를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서 결과를 지적하였다, 그 대안으로써는 음료용기 디자인을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방법을 개념적 접근에서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PDF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 어머니의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School Foodservice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 안영언;김명희;최미경;김미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24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service. Methods: A total of 28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receiv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Gyeonggi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pon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ir children's school meals from May 29 to June 9, 2017. Results: About 79%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school foodservice.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school foodservice were nutrition (35.8%) and sanitation (34.8%). Over 80% of the subjects were awar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about 54% of the subjects checked for a certification mark whe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dditionally, 72.3% of the subjects knew tha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ere used at school. The advantages of u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service were safety (75.5%) and high food quality (16.3%). About 66% of the mothers knew the school was receiving support from the city or education office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dditionally, 74.5% of the mothers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for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hen subsidies were not supported. Conclusions: The positive perception and high support for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service among elementary students' mother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sion of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service.

미국 직장여성들의 비지니스 쟈켓 착용과 관련된 소비자 특성 분석 (Consumer Characteristics Relating to Business Jacket Practices -Focus on Working Women in the U.S.-)

  • 유설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49-1660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에서 1980년대 후반기 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를 지나오면서 활성화되었던 비즈니스 캐쥬얼과, 2000년대를 시작하면서 재활성화 되기 시작한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직장복 스타일을 배경으로, 미국 직장여성들의 비지니스 쟈켓 착용정도를 그들의 개인적, 인구통계적, 사회경제적, 사회심미적, 신체적 특성과 관련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직장의 근무 환경과 직장에 대한 만족도 또한 비지니스 쟈켓 착용정도와 관련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미국에 거주하는 25세 이상의 직장여성들이였으며, 자료는 1999년도에 Database회사인 National Demographics & Lifestyles(NDL) 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1500명의 직장여성들에게 우편을 통한 설문지 조사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에는 빈도, 백분율, 편차, 표준편차를 비롯한, Canonical Correlation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자료수집에 참여한 미국 직장 여성들의 평균 연령은 44세 였으며, 대부분이 기혼 여성들이였으며(77.4%),전문직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75.9%), 적어도 1명 이상의 자녀가 있었다(78.9%). 가설검증결과에 의하면, 미국 직장여성들의 비즈니스 쟈켓 착용정도에 관련된 요소들은 직장여성들의 (1) 연령, (2) 자녀수, (3) 첫째 자녀의 연령, (4) 가족 사이즈, (5) 의복 착용에 대한 자신감, (6) 직장만족도, (7) 의복의 중요성, (8) 체격 사이즈, (9) 의복 사이즈, (10) 직장상사와 대중과의 교류 정도들 이였다. 그 중에서도, 직장 여성들의 첫째아이의 연령, 가족 사이즈, 직장만족도, 의복 사이즈들은 비지니스 쟈켓 착용 정도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OF CHILD PSYCHIATRIC PATIENTS)

  • 임계원;홍강의;이근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60-175
    • /
    • 199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의 기본이 되는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부부관계와 부모자녀 관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1987년 7월부터 9월사이에 소아 정신과에서 치료받은 환아의 부모들과 일반 아동이 부모들을 대상으로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와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의 두가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환아 부모군은 환아의 진단면에 따라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연의 5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군의 결과가 평가되었다. 1)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결혼만족도가 낮다. 2)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부부 적응도가 유의하게 낮다(P<0.01). 3) 환아부모군, 대조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역할개념이 더 진보적이며 환아부모군에서 역할부담이 여자에게 편중됨으로써, 양육갈등(conflict in child rearing)은 모성 우월현상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4) 원래 가족의 고통스러운 가족력(Family History of Distress)는 결혼의 정서적 의사소통, 성생활, 자녀양육과 연관이 깊다. 5)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의 전반적 고통 척도(Global Distress Scale ; GD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자폐증, 정신지체, 틱의 순서로 불만족도를 보였다. 6)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체의 순서로 부적응도를 보였다. 7) 틱군은 자녀양육 갈등 및 양육태도에 문제점을 시사하였고 부부관계 자체는 유의한 장애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서 부부의 부적응 및 불만족은 자녀양육 및 자녀문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소아의 정신증과 신경증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으며 자폐증이나 정신지연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지 않음을 시사한다.

  • PDF

어린이, 부모, 교사를 위한 웹기반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 김동희;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30-4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감염예방 교육을 위하여 아동,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웹기반 감염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평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결과,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 단계로 2015년 2월 1일에 시작하여 2015년 10월 5일에 웹기반 프로그램이 완성되었다. 완성된 웹사이트는 CHILD4HEALTH라고 명명하였다.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콘텐츠는 아동, 부모, 교사의 3 영역으로 구성된다. 대상에 따른 9개의 카테고리는 애니메이션, 어린이 사전, 엄마와 함께, 노래, 퀴즈, 게임,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교사를 위한 교육내용, 가정통신문이다. 흥미와 교육적 효과를 위해 6개의 캐릭터가 개발되었다. 웹기반 교육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웹사이트, 신뢰도, 만족도로 제시된다. 웹사이트 평가결과, 부모들은 사용 용이성 $3.77{\pm}0.70$, 흥미성 $4.07{\pm}0.27$, 유아 적합성 $3.82{\pm}0.67$, 교육적 가치 $4.02{\pm}0.75$, 디자인 특성을 $3.65{\pm}0.53$점으로 평가하였다. 교사들은 사용 용이성 $3.98{\pm}0.37$, 흥미성 $4.00{\pm}0.17$, 유아 적합성 $4.34{\pm}0.60$, 교육적 가치 $4.25{\pm}0.43$, 디자인 특성을 $3.81{\pm}0.56$점으로 평가하였다. 신뢰도 평가는 부모 $8.33{\pm}0.62$, 교사 $8.50{\pm}0.73$, 만족도 평가는 부모 $7.80{\pm}0.77$, 교사 $8.10{\pm}0.74$이었다. 향후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이다.

생태학적 변인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 동기에 미치는 영향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from on Ecological Perspectives)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74-81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 동기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 즉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371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의 차이에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학업 동기를 보였으며, 둘째, 독립변인들과 학업 동기와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여학생의 경우 가정의 경제 수준, 부모의 교육 수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동기에 대한 각 변인들의 영향력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남학생은 가족건강성이, 여학생은 자아탄력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에 적합한 학업 동기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일반긴장이론(GST)을 이용한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General Strain Theory approach to the Use of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심현진;이일현;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55-363
    • /
    • 2014
  • 본 연구는 Agnew의 GST에 기반하여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 중1 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2,151명을 최종 연구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AMOS 21 Ver.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1398.997$, df=144, GFI=.937, NNFI(TLI)=.902, CFI=.918, RMSEA=.061으로 나타나 GST이론을 통해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대해 검증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긴장요인이 부정적 삶의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부정적 삶의 만족도는 휴대폰 의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중재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려 한다.

특수병동 아동 간호사의 신체활동과 피로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Pediatric Nurses in a Special Care Unit)

  • 채선미;서은영;정현명;이지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8-2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nurs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89 nurses working at an intensive care unit and an operating room in a children's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Brief Fatigue Inventory. Results: Most of the nurses' physical activity was work rela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ing unit. Nurses with higher work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an their counterparts did. Work-related physical activity and the interference of fatigue with relationships were related positively, whereas transport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usual fatigue and the interference of fatigue with life enjoyment. Conclusion: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of nurses were higher than those observed among other populations. The appropri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for these nurses needs to be investigated carefully. Also, in the intervention for nurses' fatigue, their level of work-related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and their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level should be included.

계층적 분석 과정을 이용한 학교급식 운영 품질 평가 분야의 중요도 분석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o Estimate Weights of Evaluation Categories for School Food Service Program in Korea)

  • 이민아;양일선;이보숙;김현아;박소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1호
    • /
    • pp.74-8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identify the evaluation categories, areas, attributes, and criteria of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using both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analyses, (2) def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ategories, areas, attributes, and criteria of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3) organize the evaluation system to improv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04 to collect data from 172 dietitians, 15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10 professionals of school food servic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PSS 12.0 for Windows and Excel,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dicat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evaluation category was 0.4319 (food service manage ment), 0.2369 (nutrition education), 0.1455 (satisfaction) and 0.0912 (parent involvement program). 'Sanitation, safety and facility (0.1739)' was the most important area among the subcategories of food service management, followed by nutrition management (0.1581), procurement (0.1375), production (0.1345),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0.0662), planning (0.0644), food service evaluation (0.0585), financial accountability (0.0555), and information management (0.0554). There existed a relative importance on the three areas of the nutri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evaluation category: students (0.5281, 0.6221), parents (0.1812, 0.1491), and teachers (0.1838, 0.1618). In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evaluation category, relative importance of committee and monitoring management was 0.4658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as 0.3724. The quality of food and service to school children can be improved by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for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은빛독서나눔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of the Eldery: in the Case of the Eldery Reading Assitant Program in GyeongGi-Do)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9-188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 독서도우미' 교육 프로그램과 독서지도 활동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독서도우미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청의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자료협조를 받았으며, 2011년 노인독서도우미 교육에 참가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배경, 교육 참여 목적, 프로그램의 만족도, 개선방안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초급과정 136부, 중급과정에서 166부가 수집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르신 독서도우미 교육의 참여 목적은 일하는 즐거움, 자원봉사 등 개인의 문화적 활동이나 자아실현에 대한 의미가 강했으며 교육 프로그램과 독서지도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전문적인 내용의 교육, 활동기간의 연장, 지역아동센터의 적극적인 협조 등이 지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