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facil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 운영 실태 조사 - 충남 아산 지역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 송은승;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46-860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various operation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Asan, Chungnam Province,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and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directors of 174 child care cen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er. 12.0 program. The followings are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roximately 94.8% of the directors were women with the average age of 40.3. All of the investigated facilities executed foodservice; the facilities of 96.2% had been self-operated, 1.9% was contract-managed and the remaining 1.9% served delivered meal from outside. Only 20.0% of the investigated centers employed a dietitian. In most of the centers, meals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approximately 85.3% of the centers are serving only snacks twice a day as a supplementary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Menu planner of the facilities, which have no dietitian was the director (35.8%) or the cook (25.7%). In most centers, the directors purchased the food materials (67.5%). Material inspection was done by the director (54.9%) or the cook (40.5%). However, home care centers did not inspect the food materi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 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need to be established by the facility type with the government control and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dietitian employment and the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establishment are questions that confront us.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n Children's Adapting Ability in Early Education Settings)

  • 문은영;오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7-19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n adapting ability of children in early education settings. Two hundred ten early educators and six hundred thirty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as well as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higher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lower happiness were related to lower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arative impact that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has on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teacher impacts negatively on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and happiness of the teacher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that help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support teachers to recover from burnout and to increase happiness.

영유아의 보육시설 이용과 감염성 질환 실태 연구 (A Nationwide Survey on the Child Day Care and Common Infectious Diseases)

  • 안종균;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1호
    • /
    • pp.19-27
    • /
    • 2012
  • 목 적 : 최근 부모들의 맞벌이, 조기 교육 등의 이유로 이른 나이부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실태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11년 6월 10일부터 6월 16일까지 전국의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pm}3.1%$이고, 표본추출은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율에 따라 무작위 할당표본 추출(quota sampling)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단체 보육시설 이용 현황, 소아의 감염성 질환 경험, 예방접종 유무 관련 4개 주제로 나누고 그 속에 세부 문항을 두어 총 16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설문결과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5세이하의 영유아들의 보육시설 이용율은 78.5%였고 이 중 약 84%가 3세 이전부터 보육시설을 처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58%)가 그렇지 않은 영유아(34%)보다 감염성 질환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감염성 질환 중에서 장염(47.1%), 중이염(41.8%), 폐렴(19.1%) 등의 순으로 경험 비율이 높았고, 각 질환의 재발 여부는 중이염이 28.1%로 가장 높고 뒤이어 장염 (22.4%), 폐렴 (11.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질환을 앓은 영유아의 약 70% 정도가 생후 24개월 이전에 이들 질환을 처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폐렴 75.2%, 장염 77.1%, 중이염 71%). 예방접종율은 국가필수예방접종이 90.4%인데 반하여 기타예방접종은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76.6%), A형 간염(63.3%), 폐구균 백신(59.4%), 로타바이러스 백신(43.1%)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이른 나이부터 단체생활을 시작하는 영유아가 많았고, 이들의 감염성 질환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의 개인위생에 보다 힘쓰고 시기에 맞게 백신접종을 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아 감염 전문가들에 의한 보육시설에서의 표준화된 감염관리 지침 제정과 함께 보육현장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보육시설에서의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업무수행 난이도 인식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Employees'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 박은혜;이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19-634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센터장을 제외한 팀장, 팀원)을 대상으로 업무 수행 시 난이도 인식 및 효율적 업무 수행 방안에 대해 조사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3년 이전에 개소한 기존센터 19개, 154명의 직원, 2013년 이후에 개소한 신규 센터 11개, 73명으로 총 30개 센터, 22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출장의 빈도가 높은 영양 및 위생 안전관리 순회방문업무, 어린이, 조리원 대상 방문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에게서 공통으로 '지도를 위한 출장 후 체력 소모가 커 업무에 집중이 어렵다'가 높게 응답되었다. 영양 및 위생 안전관리 순회방문업무, 조리원 대상 방문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에서는 '어린이 급식소에 상주하는 영양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계속적인 피드백이 어려워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가 어려움'이 높게 응답되었다. 대상별 집합 교육에 대한 의견으로 '집합 교육 시간이 원장, 조리원, 교사의 업무 시간과 겹쳐 참여율이 저조'가 3.97점, 재정관리에 대한 의견으로 '센터 위탁 기관 내 규정, 지자체의 예산 사용 규정, 식약처 규정이 달라 혼선이 옴'이 4.1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Effects of Personal Background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Classroom)

  • 박창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1-2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그동안 유아교사의 학력과 자격에 중점을 두어왔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학력과 경력, 기관유형과 학급규모, 교육과정 편성유형을 독립변수로 하고, 유아교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의 질은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실의 질에는 유아교사의 개인특성변수인 경력이나 학력보다는 기관유형이나 학급규모와 같은 기관특성변수의 영향력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사립보다 국공립으로 갈수록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높았다. 유아교실의 질을 구성하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의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유형변수의 설명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과 5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5 Year Ol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Daycare Experience and Daycare Quality)

  • 남궁수진;최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day care experience and daycare quality. The subjects were 116 children, age 5 years old, from 17 daycare centers. The teachers at the 17 daycare centers rated the quality of their facility while the mothers of the 116 children assessed their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Daycare experience was composed of: the time period, hours per day, and the child's starting age at enrollment in daycare. Daycare quality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1995).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rated by K-CBCL (Oh et al.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arting daycare experience less than 2 years of age, attending more than 6 days per week, and attending more than 8 hours per day of daycare experience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quality of daycare such as child-centered curriculum, abunda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pportunity for continuing education of teachers, higher levels of rewards and incentives for teachers, and the provision of nutritious food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 PDF

충남 일부 어린이급식소에 제공되는 급식식단에 대한 시설장과 학부모의 인식조사 (Investigation of Facility Directors and Parents' Awareness of some Childcare Center Meal Service in Chungcheongnam-do)

  • 원선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4
    • /
    • 2023
  •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facility directors on children's menus at some child care facilities in Chungnam-do. Parents preferred the menus provided by the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M) without modification, and they wanted more food items that children eat included in menu and lessen the numbers of one-dish meal. They also preferred food cooked and served directly for afternoon snacks. The performanc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menu planning were evaluat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e importance. CCFM can meet the needs of children's food facilities and parents, while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and help with menu planning that is beneficial to children's health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of facilities and parents on children's menus.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및 방문지도에 따른 위생관리 개선 효과 분석 (The Assessment of Food Safety Practices and the Effect of Visiting Education on Food Safety Improvement i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 백재은;이현아;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64-772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경기 남부지역 소재 총 102개소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1년 동안 순회방문지도를 실시한 결과 위생 안전관리 수준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평가 대상 급식소는 어린이집이 84.3%, 유치원과 지역아동센터가 각각 7.8%였다. 그리고 운영주체는 민간이 70.6%, 국공립이 19.6%, 법인이 9.8%였다. 급식 원아수는 50명 미만이 46.1%, 50명 이상 100명 미만인 곳이 53.9%였다. 위생 안전관리 실태 평가 결과 총점은 평균 84.09점이었고, 위생 안전관리 평가 총점은 급식소 구분에 따라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비해 지역아동센터의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또한 급식소 운영주체에 따라서는 국공립으로 운영하는 곳이 민간에서 운영하는 곳에 비해 위생 안전관리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그리고, 급식 원아수가 50명 이상인 경우가 50명 미만인 경우에 비해 위생 안전관리 총점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한편, 위생 안전관리 수행도가 90% 이상 되는 항목은 전체의 41.0%, 수행도가 60%미만인 항목은 전체의 15.4%였다. 이 중 수행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채소와 과일의 세척 소독 실시'(26.5%)였다. 또한 순회방문지도 평가 회차에 따른 위생 안전관리 평가 총점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2회차 때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3회차에서는 1, 2회차에 비해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위생 안전관리 총점은 급식소 구 분(F=21.730, p<0.001)과 순회방문지도 회차(F=7.968, p<0.001)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급식소 운영주체(F=31.387, p<0.001)와 순회방문지도 회차(F=7.507, p<0.001)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급식 원아수(F=17.133, p<0.001)와 순회방문지도 회차(F=17.065, p<0.001)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볼 때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순회방문지도는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안전관리 수행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천안지역 방과후아동지도시설 실태 및 발전방안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fter-school facilities in Cheonan)

  • 김선애;노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51-763
    • /
    • 2004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ildren's after-school facilities in Cheonan, to evaluate their programs, and to further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of those programs. During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facilities in Cheonan are much less in numbers and no better than we expected. Especially, it is shown that most of the study rooms there are evaluated as relatively the worst facilities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health care and safety, daily schedule and management, and program evaluation proc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at such facilities should be greatly expanded and improv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as well as in the working environment. We also propose to newly establish a regional center which supports and certifies educational programs of each after-school facility.

  • PDF

치매노인 부양경험 유무에 따른 부양요구의 차이와 치매노인 부앵실태 (Difference of Caring Needs According to Caring Experi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Caring Situation)

  • 최정신;권오정;김대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95-2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needs of caring between care-givers and non care-givers, and to suggest the way of lessening vigorous task of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nationwide respondents intentionally divided into two groups; care-givers and non care-givers in the middle aged with middle and upper incom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using SPSS package. Since the result of survey, unexpectedl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t could be explained as that these two groups commonly had same needs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Most Koreans stiff thought family should be the main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prior to nation or society. 2)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ould be better to be shared with children instead of focusing to a child. 3) They thought ideal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small-scale professional dementia facility(group home) rather than home or general elderly housing. 4) Professional dementia care hospital was one of the most needed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llowed by short-stay and dar-care center. 5) It was revealed care-giving task was vigorous showing that most care-givers spent 1-5 hours a day for caring, while 13% of respondents spent 11-24 hours a duty. 6) 90% of care-givers took the responsibility of main care-giver because of duty of offsprings or spouses, and wanted to be free from their current circumstances. From the result of this survey researchers would like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facilities for professional dementia care to lessen the caring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group home, chronic hospital, short-stay, day-care center.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e housing renovation of the caring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afterward. It is needed to give the opportunity to select proper paid dementia c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income and situation of househ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