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obesity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학령전기 소아비만에 영향을 주는 영유아기 인자 (Infantile risk factors for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 박선주;문재원;김현지;조민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04-811
    • /
    • 2008
  • 목 적 : 최근 소아비만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소아기 부터 비만의 예방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전기 소아비만에 영향을 주는 영유아기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10월 부산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외래를 방문한 만 3세 이상 5세 미만 아동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중 223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아동들의 현재 신장과 체중에 대한 신체계측은 어린이집과 병원에서 전자체중계와 신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여 85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과체중위험 군, 85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정상체중군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어머니 학력, 직업유무, 부모의 비만 여부), 출생체중, 수유 관련 내용(수유방식, 밤중 수유 지속 기간, 이유식 시작 시기), 양육자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결 과 : 과체중위험 군에 속하는 소아는 68명(30.5%)이었고, 정상체중군에 속하는 소아는 155명(69.5%)이었다. 분유를 수유한 경우가 모유를 수유한 경우에 비해 과체중이상인 경우가 11.3배 높게 나타났고(P<0.05), 출생 후 첫 6개월간 빠른 체중 증가가 학령전기 소아 과체중위험 군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과체중위험 군의 어머니의 체질량지수($22.2{\pm}2.4kg/m^2$)가 정상체중군($20.6{\pm}2.3kg/m^2$)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아버지의 체질량지수(P=0.658), 어머니 학력(P=0.134), 직업유무(P=0.396), 밤중 수유 지속 기간(P=0.530), 이유식 시작 시기(P=0.078), 양육자(P=0.881), 6-12개월간 빠른 체중 증가(P=0.628), 출생체중(P=0.598)은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결 론 : 소아비만이 될 영유아기 인자를 가지고 있는 자녀를 둔 가족들에게 영유아기에 초점을 맞춘 비만 예방 프로그램을 적극 제시해 주어, 영유아기 부터 비만의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단백질 섭취와 과체중 및 비만과의 연관성: 2014-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data from the 2014-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수민;하경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1호
    • /
    • pp.54-69
    • /
    • 2023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청소년의 단백질 섭취와 성장지표 및 비만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18세 아동 및 청소년 5,567명으로 1일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단백질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총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은 14.5 ± 0.1%로 청소년 및 남아에서,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단백질 섭취량을 삼분위수로 분류했을 때, 총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이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과체중 및 비만의 교차비가 1.36배 높았다. 동물성 단백질은 과체중 및 비만과 양의 연관성이 있었으나, 식물성 단백질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동물성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한 남아와 청소년에서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과체중 및 비만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지방 섭취량을 보정 한 이후에는 유의성이 사라졌다. 총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하면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증가하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감소했으며, 탄수화물 섭취량은 감소하고 지방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그룹의 육류 섭취횟수는 4.1회로 가장 적게 섭취하는 그룹 1.2회에 비해 약 4배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의 총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증가하였으며, 총 단백질 및 동물성 단백질의 높은 섭취는 과체중 및 비만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유년시절의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성인 비만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식생활은 아동비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과 비만예방을 위해 전향적 연구수행을 통한 단백질 적정섭취 가이드라인 및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소아 체성분의 새로운 표현법: 체지방량지수(fat mass index)와 제지방량지수(fat-free mass index) (The novel expression method of pediatric body composition : fat mass index and fat-free mass index)

  • 조영규;강재헌;송혜령;김경아;송지현;정명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29-635
    • /
    • 2007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새로운 체성분 표시법인 체지방량지수(fat mass index, FMI)와 제지방량지수(fat-free mass index, FFMI)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 2006년 과천시 초등학교 2학년 학생 466명(남아 : 248명, 여아 : 218명)을 대상으로 체성분 분석을 비롯한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신체계측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와 비만지표들과 대사성 위험인자들의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체지방량지수에 의해 비만으로 진단된 소아와 정상 체지방량지수인 소아의 대사성 위험인자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체지방량지수 및 제지방량지수 백분위수 분포와 Nakao 등이 제시한 일본 소아의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백분위수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대상자들은 후쿠오카 지역의 소아에 비해 체지방량지수는 작고 제지방량지수는 컸다. 체지방량지수는 기존의 비만지표 및 여러 대사성 위험인자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체지방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되었다. 결 론 : 과천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소아에서 새로운 체성분 표현방법인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는 체격과 성장이 다른 소아의 체성분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체지방량지수의 증가는 대사질환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는 국내 소아의 성별 연령별 체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정상 표준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Content Analysis of Food Advertising Directed at Korean Children

  • Kim, Sora;Han, Eun-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101-111
    • /
    • 2012
  • Children have become the target of intense and specialized food advertising effor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of TV food advertising and discussed possible concern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 total of 102 ads were collected from two cable networks aimed at children. Most of the food ads used emotional appeals and did not provide information clues such as nutrition values. Ads with high sales pressure and celebrity endorsements appeared frequently and the ads for snack foods and high-carbohydrate bakery products were dominant. Understanding food ads can be a significant indicator to establish the orientation of consumer ad education and build educational programs appropriate for children. The issue that appears conspicuous in child targeted advertising and marketing is the childhood obesity and food advertising relation; subsequently, there is a need to evolve advertising that targets children into a positive educational information source.

Association between Celiac Disease and Intussusceptions in Children: Two Case Reports and Literature Review

  • Gheibi, Shahsanam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6권4호
    • /
    • pp.269-272
    • /
    • 2013
  • Association between celiac disease and intussusception has been reported in adult. Although intussusception is common in children, it rarely has been reported in association with celiac disease. Two children, 5 and 7 years old, with celiac disease are reported here, whose initial presentation was intussusception prior to investigation for concomitant failure to thrive. They presented with acute and severe abdominal distention with vomiting, and donuts and pseudo- kidney appearance in abdominal ultrasonography. One patient's intussusception had reducted spontaneously, however the other had required surgery. In investigation for concomitant failure to thrive, tissue transglutaminase levels were very high and duodenal biopsies revealed celiac disease. Thus celiac testing is recommended in children with intussusception and growth failure.

학령기 비만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 전미숙;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4-27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to test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explain and predict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obese school-age children in Korea.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65 students from 1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and Amos 7.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ver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Important direct factors were prior health-related behavior, perceived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indirect factors were perceived barrier and activity-related effect. These factors explained 75.3% of variance in the participa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proposed model was concise and extensive in predi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Conclusion: Findings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Noninvasive diagnosis of pediatric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Yang, Hye R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2호
    • /
    • pp.45-51
    • /
    • 2013
  • Becau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an progress towards cirrhosis even in children, early detection of hepatic fibrosis and accurate diagno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re important. Although liver biopsy is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of diagnosis, its clinical application is somewhat limited in children due to its invasiveness. Noninvasive diagnostic methods, including imaging studies, biomarkers of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hepatic apoptosis, hepatic fibrosis, and noninvasive hepatic fibrosis scor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for diagnosing the spectrum of NAFLD, particularly the severity of hepatic fibrosis. Although data and validation are still lacking for these noninvasive modalitie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se methods may be applicable for pediatric NAFLD. Therefore, noninvasive imaging studies, biomarkers, and hepatic fibrosis scoring systems may be useful in the detection of hepatic steatosis and the prediction of hepatic fibrosis, even in children with NAFL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Children

  • Lee, Ji-Hyuk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6권3호
    • /
    • pp.153-161
    • /
    • 2013
  •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brain and retina, and are the essential fatty acids with important physiologically active functions. Thus, PUFAs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and are very important in the brain growth and development for fetuses, newborn infants, and children. Omega-3 fatty acids decreas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improve blood flow. PUFAs have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ction and improved the chronic inflammation such as auto-immune diseases or degenerative neurologic diseases. PUFAs are used for metabolic syndrome related with obesity or diabetes. However, there are several considerations related with intake of PUFAs. Obsession with the intake of unsaturated fatty acids could bring about the shortage of essential fatty acids that are crucial for our body, weaken the immune system, and increase the risk of heart disease, arrhythmia, and stroke. In this review, we discuss types, physiologic mechanism of action of PUFAs, intake of PUFAs for children, recommended intake of PUFAs, and considerations for the intake of PUFAs.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 Students in Ulsan City

  • Seo, Jeong-H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8권3호
    • /
    • pp.134-14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level of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bout 140 middle school girls, 186 high school girls, and 194 college female students in Ulsan Cit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4 vanity sub-scales except physical concern and the body shaping management among the school groups(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and socio-economic status groups(low, middle, high). Socio-economic status, physical concern and view, and age were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body shaping management. Moderate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can prevent obesity and motivate personal developmen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xcessive groups in the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needs to be developed.

아동의 비만 실태 및 체지방율과 비만 판정에 사용하는 방법들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북 의성 지역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Childhood Obesity in Uisung, Kyungbuk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ntage of Body Fat and Criterions Evaluation Obesity)

  • 신경희;권정숙;장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37-1044
    • /
    • 1996
  • 경북 의성초등학교 10~12세 남아 153명, 여아 156명 총 309명을 대상으로 1994년 12월 3일 부터 12월 20일까지 체격지수(BMI, RI)와 체지방율(%fat)을 근거로한 비만의 실태 파악과 비만 판정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방법들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신장은 남아 143.6cm 여아 145.2cm, 평균 체중은 남아 37.1kg, 여 아 36.6kg으로, 상완위 둘레의 경우 평균이 남아 20.7cm, 여아 20.2cm로 나타났다. 2. 체격지수 중 BMI의 경우 남아 17.7, 여아 17.2, RI는 남아 123.9, 여아 118.2로 남아가 여아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체지방율의 경우 남아 14.1%, 여아 15.4%로 남아 보다 여아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3. 체지방율의 기준에 따라 조사대상 아동의 체격분포를 살펴 본 결과, 남아의 경우 여윔군 49명(32.0%), 정상군 91명(59.2%), 비만군 13명(8.5%), 여아의 경우 여윔군 71명(45.5%), 정상군 84명(53.8%), 비만군 1명(0.6%)으로 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정상군에 속하였고, 비만의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남녀 모두 12세로 나타났다. 4. 체격지수와 체지방율로 비만을 판정했을 때, BMI로는 39명(12.6%), RI로는 31명 (10.0%), 체지방율로는 14명 (4.5%)의 아동이 비만으로 나타났고, BMI와 RI모두에 의해서는 23명(7.4%), BMI와 체지방율 모두에 의해서는 10명(3.2%)의 아동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비만판정에 사용한 기준에 따라 비만 출현율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Triceps과 calf 피하지방두께의 합을 사용하는 Slaughter의 공식으로 산출한 체지방율과 비만 판정에 사용하는 기준간의 상관성에서 BMI는 남녀 각각 r=0.63, r=0.62를, RI의 경우 각각 r=0.56, r=0.49를 나타낸 반면, triceps과 subscapular의 합과의 상관성은 매우 높아 남녀 각각 r=0.91과 r=0.88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내아동을 대상으로 고안된 추정식으로 산출한 체지방율과의 상관관계도 매우 높아 남녀 각각 r=0.93과 r=0.88을 나타내었다. 6. 피하지방두께 중 신체하부조직인 Calf가 다른 피하지방두께에 비해 체격 지수인 BMI(r=0.815), RI(r=0.675) 및 체지방율 (r=0.565)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