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cken meat quality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Supplementary Blood Meal on Carnosine Content in the Breast Meat and Laying Performance of Old Hens

  • Namgung, N.;Shin, D.H.;Park, S.W.;Paik,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946-95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lood meal (BM) as a source of histidine, and magnesium oxide (MgO) as a catalyst of carnosine synthetase, on carnosine (L-Car) content in the chicken breast muscle (CBM),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spent old hens. Four hundred eighty laying hens (Hy-Line$^{(R)}$ Brown), 95wk old, were allotted randomly into five replicates of six dietary treatments: T1; 100% basal diet, T2; 100% basal diet+MgO, T3; 97.5% basal diet+2.5% BM, T4; 97.5% basal diet+2.5% BM+MgO, T5; 95% basal diet+5% BM, T6; 95% basal diet+5% BM+MgO. Magnesium oxide was added at 0.3% of diets. The layer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5w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ekly L-Car content in CBM among all treatments during the total experimental period, but some of the contrast comparisions showed higher L-Car in CBM of T6. The L-Car contents linearly decreased (p<0.01 or p<0.05) as the layers got older except in T4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weight (p<0.01) and soft and broken egg ratio (p<0.05). The control (T1) was highest in egg weight and T6 was lowest in soft and broken egg ratio. Among the parameters of egg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strength (p<0.01) and egg yolk color (p<0.05). Magnesium oxid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eggshell strength and BM tended to decrease egg yolk color. Eggshell color, eggshell thickness, and Haugh unit were not influenced by BM and MgO. In conclusion, BM and MgO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L-Car in CBM of spent layers. The L-Car content rapidly decreased as the layers became senescent. Eggshell strength was increased by MgO supplementation.

노폐계(老廢鷄)를 이용(利用)한 육제품(肉製品)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Development of New Products by Old Chicken Meat)

  • 한성욱;이규승;장규섭;전창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87-102
    • /
    • 1980
  • 노폐계(老廢鷄)의 이용성(利用性) 증대방안(增大方案)의 하나로 White Leghorn(WL)종(種)과 Rhode Island Red(RIR)종(種) 노폐계(老廢鷄)의 도체성적(屠體成績)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노폐계육(老廢鷄肉)을 이용(利用)하여 건조육제품(乾燥肉製品)을 제조(製造)하여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노폐계(老廢鷄)의 생체중(生體重)은 WL종(種)이 1,635.40g, RIR종(種)이 2,289.29g이었고 도체율(屠體率)과 정육율(精肉率)은 WL종(種)에서 각각(各各) 58.73%와 43.95%였으며, RIR종(種)에서는 각각(各各) 60.34%와 41.98%였다. 2. WL종(種)과 RIR종(種)의 도체(屠體) 각(各) 부위(部位)의 구성비율(構成比率)은 경부(頸部) 4.13%와 3.94%, 익부(翼部) 9.97%와 8.62%, 흉부(胸部) 32.54%와 29.04%, 배부(背部) 11.35%와 9.75%, 대퇴부(大腿部) 30.75%와 31.34%, 피부(皮膚) 및 피하지방(皮下脂肪) 11.37%와 17.34%였다. 3. 정육(精肉)의 각(各) 부위별(部位別) 구성비율(構成比率)은 WL종(種)과 RIR종(種)에서 각각(各各) 경부(頸部) 4.03%와 3.95%, 익부(翼部) 9.47%와 9.79%, 흉부(胸部) 39.37%와 38.14%, 배부(背部) 11.24%와 9.40%, 대퇴부(大腿部) 36.16%와 38.74%였다. 4. 노폐계육(老廢鷄肉)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은 WL종(種)에서 수분(水分) 68.18%, 조단백질(粗蛋白質) 22.80%, 조지방(粗脂肪) 2.70%, 추출물(抽出物) 5.15%, 조회분(粗灰分) 1.18%였고, RIR종(種)에서는 수분(水分) 68.04%, 조단백질(粗蛋白質) 22.18%, 조지방(粗脂肪) 3.13%, 추출물(抽出物) 5.45%, 조회분(粗灰分) 1.21%였다. 5. 노폐계육(老廢鷄肉)을 $121^{\circ}C(1kg/cm^2)$에서 30분(分), 60분(分) 및 90분간(分間)을 증자(蒸煮)했을 때의 감율(減率)은 WL종(種)에서 각각(各各) 54.91%, 56.43% 및 58.42%였으며 RIR종(種)에서는 각각(各各) 45.23%, 47.68% 및 49.68%였다. 6. 노폐계(老廢鷄) 마리당(當) 건조계육제품(乾燥鷄肉製品)의 수량(收量)은 WL(種)에서 253.01g, RIR종(種)에서는 368.64g이었으며, 정육중(精肉重)과 도체중(屠體重)에 대(對)한 비율(比率)은 WL중종(種)에서 각각(各各) 35.47%와 26.34%였고, RIR종(種)에서는 각각(各各) 38.25%와 26.83%였다. 7. 건조육제품(乾燥肉製品)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은 WL종(種)에서 수분(水分) 16.69%, 조단백질(粗蛋白質) 66.16%, 조지방(粗脂肪) 12.81%, 조회분(粗灰分) 4.35%였고, RIR종(種)에서는 수분(水分) 16.11%, 조단백질(粗蛋白質) 65.95%, 조지방(粗脂肪) 13.78%, 조회분(粗灰分) 4.57%였다. 8. 제품(製品)의 품질(品質)을 결정(決定)하는 중요(重要)한 인자(因子)중의 하나인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검토하기 위하여 인장강도(引張强度), 인열강도(引裂强度) 및 신장율(伸張率)을 측정(測定)하여 본 결과(結果) 압착(壓搾)조건을 $70kg/cm^2$로 하였을 때는 표준구(標準區)인 쥐포의 결착력(結着力)과 비교(比較)하여 노폐계육제품(老廢鷄肉製品)도 이와 유사(類似)하게 나타났다. 9. 각(各) 부위별(部位別) 제품(製品)의 색택측정(色澤測定)에서 명도(明度)는 압착(壓搾)조건이 $70kg/cm^2$인 제품(製品)이 $35kg/cm^2$인 제품(製品)보다 더 좋았으며 쥐포가 16.4%인 경우 가슴살의 $70kg/cm^2$ 조건에서의 제품(製品)은 16.7%로 유사(類似)하였고, Dominant wavelength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따라서 쥐포의 색택(色澤)과 아주 근사(近似)한 황갈색이었다. 10. 노폐계육(老廢鷄肉)의 부위(部位)에 따라 제조(製造)된 제품(製品)과 표준구(標準區)인 쥐포와의 맛, 색깔, 조직(組織) 및 냄새를 비교(比較)한 식미시험(食味試驗) 결과(結果)는 쥐포가 지수(指數) 100일 때 가슴살제품이 118.4로 쥐포보다 높았고 다음이 이보다 낮은 기타살 제품(製品)이 99.7, 다리살이 96.2 였다. 11.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적(綜合的)으로 검토(檢討)하여 볼 때 노폐계(老廢鷄)를 이용(利用)하여 제조(製造)된 육제품(肉製品)은 영양면(營養面)에서나 물성면(物性面)에서 이와 유사(類似)한 기존식품(旣存食品)에 결코 손색이 없는 고단백질식품(高蛋白質食品)으로서의 가치(價値)가 인정되었으며 따라서 공업화(工業化)의 타당성이 높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Probiotic Feed Mixture on Chicken Meat Qua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신종서;엄경환;김창래;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79-788
    • /
    • 2019
  •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Effects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vitamin C on performance, meat quality, intestinal permeability, and stress indicators in broiler chickens

  • Yu, Dong Gwon;Namgung, Nyun;Kim, Jong Hyuk;Won, Seung Yeon;Choi, Won Jun;Kil, Dong 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815-826
    • /
    • 2021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SD) and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intestinal permeability, and stress indicators in broiler chicken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a 2 × 2 factorial arrangement consisting of 2 different SD and 2 supplemental levels of dietary vitamin C. A total of 1,368 Ross 308 broiler chickens of 21 days of age with similar body weights (BW)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treatments with 6 replicates each. Different numbers of birds per identical floor pen (2.0 m × 2.4 m) were used to create 2 different SD levels of low SD (9 birds/m2) and high SD (18 birds/m2).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with no supplemental vitamin C to meet or exceed nutrient recommendations of the Ross 308 manual. The other diet was prepared by supplementing 200 mg/kg vitamin C in the basal diet. The study lasted for 14 days. At the end of the study, 3 male birds per replicate were selected to analyze meat quality, intestinal permeability, and stress indicators such as blood heterophil:lymphocyte (H:L) and feather corticosterone (CORT) concentr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SD and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for all measurements. For the main effects of SD, birds raised at high SD had less (p < 0.01) BW, BW gain, and feed intake with increasing stress responses including greater blood H:L and feather CORT concentrations (p < 0.01) than those raised at low SD.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in the jejunal mucosa was decreased (p < 0.05) at high SD, indicating an increase in intestinal permeability. However, the main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200 mg/kg vitamin C were insignificant for all measurements. In conclusion, high SD of broiler chickens impairs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barrier function with increasing stress responses. However,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may have little beneficial effects on broiler chickens raised at the high SD condition used in the present study.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육계의 도체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acon By-products and Mugwort Powder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8
    • /
    • 2014
  • 본 시험은 육계에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각각 0.5%와 1.0%를 급여하여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다리 육의 도체특성, pH, TBARS, WHC, 전단력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야콘 부산물 분말 0.5% 급여구는 T1, 야콘 부산물분말 1.0% 급여구는 T2, 쑥 분말 0.5% 급여구를 T3 그리고 쑥 분말 1.0% 급여구를 T4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한 육계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 등의 생산성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폐사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 생화학 성상 분석 결과,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의 첨가 급여는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은 증가하였다. 계육의 TBARS는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함에 따라 낮아졌으며(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계육의 육색은 대조구보다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 급여구에서 CIE $L^*$값은 낮아지고, CIE $a^*$값은 높아져 육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으며(P<0.05), CIE $b^*$값은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의 급여에 의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TBARS 값이 낮아지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되어 콜레스테롤 대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경향은 야콘 부산물보다 쑥 분말 급여구에서 뚜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식육의 송풍식 냉동과 전기자장 냉동 중 온도 변화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Temperature Changes during Freezing and Effe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Thawing on Meat by Air Blast and Magnetic Resonance Quick Freezing)

  • 김영붕;우성민;정지윤;구수경;정진웅;금준석;김은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3-7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장 및 송풍식 냉동 방법이 냉동 중육의 온도 변화 및 해동 후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육(등심 및 우둔), 돈육(삼겹 및 뒷다리) 및 계육(가슴 및 다리)을 구매하여 공시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냉동은 전기자장 냉동법 및 송풍식 냉동법($-20^{\circ}C$, $-45^{\circ}C$)의 세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해동감량, 가열감량, 보수력 및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냉동 중 육의 온도 변화 비교에서는 축종 및 부위에 관계없이 전기자장 냉동법(2 h)의 냉동 완료 시간이 $-20^{\circ}C$$-45^{\circ}C$ 송풍식 냉동법(24 h 및 8 h)보다 짧은 결과가 나타났다. 해동 후 품질 평가 결과에서 해동감량은 전기자장 냉동법을 이용한 우육 등심이 4.80%로 가장 낮았지만, 가열감량과 보수력에서는 43.7% 및 60.7%로 가장 높았다(p<0.05). 부위 및 냉동 방법에 따른 회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조단백, 조지방 및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지방함량은 전기자장 냉동법 우육의 등심과 우둔이 각각 10.4% 및 4.7%로 낮았지만, 수분함량은 67.1% 및 71.9%로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계육 가슴(23.4%, 24.1% 및 23.1%)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수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 결과 전기자장 방법이 송풍식 방법보다 냉동 시간이 짧고 해동감량, 가열감량 및 보수력 실험에서 유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육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으며, 축종 및 부위별 비교 결과 수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고 지방함량이 높은 부위일수록 드립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제제 첨가가 돈육과 계육의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icrobes Additive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Production in Meat of Pig and Chicken Broiler)

  • 김병기;홍진규;박지현;김현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9-404
    • /
    • 2004
  • 본 연구는 공시균인 Aspergillus terreus와 유산균을 이용하여 혈중 및 고기내 콜레스테롤이 저하된 육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거세돈 60두를 60일간 및 육계는 6주간을 공시하여 대조구는 일반 시판사료만 급여하였고, T1구는 Aspergillu terreus 배양체, T2구는 시판중인 EM-pro 배양체(Lactobacillus acidophilus, Bacillus subtilis와 Saccharmyces cervisiae의 3종 혼합배양물)를 각각 0.2%씩 첨가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고기내의 스테아린산은 T1구와 T2구가 높았으나, 올레인산은 대조구와 T1구가 높았다(p<0.05). 또한 닭고기의 스테아린산은 대조구가 높았으나, 올레인산은 T1구와 T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 중 돼지고기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은 T1구(63.77mg, 111.19mg)가 대조구(101.69mg, 132.37mg)보다 크게 낮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고(p<0.05), 육계의 경우는 T1구(78.50mg, 143.61mg)가 대조구(119.26mg, 240.43mg)보다 크게 낮았다(p<0.05). 돼지고기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은 T1구(78.53mg, 117.64mg)가 대조구(140.5mg, 150.55mg)보다 크게 낮아 유의차를 나타내었고(p<0.05). 육계의 경우는 T1구 (93.35mg, 72.03mg)가 대조구(111.90mg, 116.88mg)보다 크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spergillus terreus 처리한 T1구가 돼지와 육계의 혈액 및 고기내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이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Aspergillus terreus 배양체가 체내의 콜레스테롤 합성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저 콜레스테롤 고기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zhen on Growth Performances, Serum Traits, Immunity, Mea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aiwan Country Chickens

  • Lien, Tu-Fa;Lin, Kou-Joong;Yang, Ling-Ling;Chen, Lih-Ge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675-682
    • /
    • 2013
  • One hundred and sixty Taiwan country chickens (d-old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with four replicates and equal sex. Basal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0, 0.5, 1 and 2% of Bazhen powder,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complex.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4 wk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Bazhen supplement did not influenc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gain ratio.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erum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inearly increased (p<0.03) and that of VLDL+LDL (very low-density+low-density lipoprotein) linearly decreased (p<0.03)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that 2% Bazh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group (p<0.05).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2% Bazhen displayed reduced (p<0.05) serum GOT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levels. The IgG, ${\gamma}$-globulin levels and PHA (phytohemagglutinin) skin challenge results in 1% Bazhan supplemented group were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SRBC (sheep red blood cell) and ND (newcastle disease) titers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were linear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iver catalase activity and the capacity of scavenging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were linearly increased (p<0.03)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and the 1 and 2% groups were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p<0.05). Liver TBAR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levels in all Bazhen supplemented groups and total glutathione level in the 2% group were reduced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displayed a linear response (p<0.05). The TBA (thiobarbituric acid) and pH value of the breast muscle after 24 h post-mortem in the Bazhen supplemented groups was linear low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azhen supplement in chicken had several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increased SRBC and ND titers, HDL and IgG, ${\gamma}$-globulin levels, PHA skin challenge result, decreased VLDL+LDL and GOT levels, and displayed antioxidation effects in serum and carcass meat parameters.

나트륨 섭취 경감을 위해 패각칼슘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첨가한 닭고기 패티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ith Added Shell Calcium and Transglutaminase to Reduce Sodium Intake)

  • 임영호;박규태;안기수;최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
    • /
    • 2024
  • 닭고기 패티에 소금함량을 줄이며 칼슘을 강화하기 위해 패각칼슘분말(SCP)을 첨가하며,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G)를 첨가했을 때 나타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첨가하는 소금과 SCP, TG의 함량을 달리한 5개의 처리구(CON, 소금 2%; T1, 소금 0.75% + SCP 0.2%; T2, 소금 0.75% + SCP 0.2% + TG 0.2%; T3, 소금 0.5% + SCP 0.4%; T4, 소금 0.5% + SCP 0.4% + TG 0.2%)를 제조하여 패티의 육질특성 및 저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닭고기 패티에 소금 첨가량을 낮췄을 때 회분 함량이 감소했으며 가열감량이 증가했다. 그리고 SCP와 TG를 첨가할수록 pH가 상승하였다. 소금, SCP, TG의 첨가량에 따른 육색의 변화는 없었으며, TG 없이 소금 0.5%와 SCP 0.4%를 첨가했을 때 경도와 씹음성이 감소했다. 소금을 0.5%로 줄이며 SCP 0.4%를 첨가했을 때 관능적으로 다즙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전체기호도를 포함한 나머지 관능평가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금의 첨가량은 닭고기패티의 TBARS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소금을 적게 첨가할 시 미생물 오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닭고기 패티에 소금을 줄이면서 SCP를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소금을 0.5% 이하로 첨가 시 패티의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TG의 첨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소금 첨가량이 감소할 시 미생물로 인한 저장성에 취약해지므로 제조 시 이에 대한 추가 첨가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여기간과 첨가수준이 저장기간 중 육계의 부위별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Levels and Periods on Meat Quality in Breast and Thigh Muscles of Broiler)

  • 문성실;신철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07-114
    • /
    • 2006
  • CLA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계의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첨가수준과 급여기간에 따른 부위별 CLA 축적율과 지방산 조성 및 지방산패도를 분석하였다. CLA 축적율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급여기간에 따라서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급여 1주와 급여 2주 및 3주의 비교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불포화 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CLA와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linoleic acid(C18:2)는 CLA 함량이 증가한 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지방산패도의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근육내 CLA 축적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최적의 급여기간은 1주이며, 지방산패도의 효과적인 억제를 위해서 첨가수준 4.8%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