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 유치원 및 국민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How Do Korean Young Children Conceptualize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 이경희;정완호;정진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6-13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young children conceptualize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For this study, a total of 465 young children was sampled in Krea, and a questionnaire of paper test was administered to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re than 80% of young children recognized dogs and dandelions as living things, but less than 60% of children recognized bird's eggs and chestnuts as living things. 2. Mostly, young children's ability to distinguish exactly between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improved by increasing grade level. 3. Criteria to distinguish about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are firstly to be mobilized and secondly to be breathed.

  • PDF

조전후기 상주읍치(尙州邑治)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ial Structure of Sangju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 정명섭;곽동엽;조영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1호
    • /
    • pp.47-64
    • /
    • 2008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of Sangju which has an old histor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 1. Sangju placed on the plains in the castle, it is established in Korea Dynasty 2. The formation of Sangju is infruenced Feng-shui. They plants Chestnuts against centipede mountain 3. Sangju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nother city in Feng-shui and elements of Component. But, many buildings(jin-Young(Military site), Choong-Ui-Dan, Choong-Yeol-Sa) are associated with the war in Sangju. 4. The City hall is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hotel(Kaek-Sa). It is located on Wang-San which is a place where citizens with symbolism. So, the City hall is higher than Kaek-Sa 5. The cruciform style road which connected with 4 gates was formed in the castle.

  • PDF

탄수화물 간식류 식품 및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 (Analysis and Evaluation of Glycemic Indices and Glycemic Loads of Frequently Consumed Carbohydrate-Rich Snacks according to Variety and Cooking Method)

  • 김도연;이한송이;최은영;임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3
    • /
    • 2015
  •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간식류의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에게 포도당과 탄수화물 간식을 조리방법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당질부하량은 50 g 당질 함량으로 계산하였고, 식후 혈당과 혈청 인슐린 반응은 2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옥수수죽, 찐옥수수, 찐감자, 군감자, 찐고구마, 군고구마는 고혈당지수에 해당하였고 강냉이, 고구마튀김, 군밤이 중 혈당지수에 해당되며, 감자튀김, 감자전, 군밤, 찐팥, 팥죽은 저혈당지수 수치에 해당하였다. 조리방법별로 비교했을 때 기름을 사용한 찐감자와 군감자의 혈당지수가 감자튀김과 감자전보다 높았고 군고구마의 혈당지수가 고구마튀김에 비해 높았으며, 찐팥의 혈당지수가 팥죽에 비해 낮았다. 식품별로 비교했을 때 찐 형태에서는 찐팥이 저 혈당지수, 찐밤이 중 혈당지수 간식에 해당하였고, 구운 형태로는 군밤이 저 혈당지수 식품에 속하였다. 죽 형태로는 팥죽이 저 혈당지수에 해당하였고, 튀긴 형태로는 감자전, 감자튀김 모두 저 혈당지수에 속하였지만 감자전만이 고구마튀김에 비해 낮았다. 혈당부하지수는 찐팥, 군밤, 찐밤, 팥죽, 군감자, 찐감자, 감자전, 감자튀김이 저 혈당부하지수, 고구마튀김, 강냉이, 찐옥수수가 중 혈당부하지수, 군고구마와 옥수수죽은 고 혈당부하지수 간식에 해당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탄수화물 간식류에 대한 혈당지수는 외국의 데이터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는 간식류를 대상으로 혈당지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름을 사용하여 조리된 간식류는 혈당지수가 낮더라도 만성질환예방을 위해 적당량 섭취를 권고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당뇨병의 식사요법에서 탄수화물 간식류는 무조건 제한하기보다는 적절한 조리방법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산출한 탄수화물 간식류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 지수를 참고적인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탄수화물 간식류의 혈당지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 이현주;정미자;조재열;함승시;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095-1100
    • /
    • 2008
  •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 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밤의 저장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 나영아;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64-1170
    • /
    • 1996
  • 밤의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하고져 실온$(20^{\circ}C)$ 및 냉장$(1^{\circ}C)$에서 각각 9주간 및 15주간 저장하면서 vitamin C, 당, 유기산 및 아미노산의 함량변화를 측정 하여 다음과 잘은 결과를 얻었다. 밤의 vitamin C함량은 환원형이 17.76 mg/100 g,f.w., 산화형이 4.08 mg/100g,f.w.로 환원형이 전체의 81.3%나 차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 환원형은 감소하였으나 산화형은 저장온도 $20^{\circ}C$에서는 5주까지, $1^{\circ}C$에서는 7주까지 증가하였다. 밤의 유기산 조성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quinic acid는 적은 양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citric acid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malic acid는 $20^{\circ}C$에서는 증가되었다. 밤의 유리당조성은 sucrose, malt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glucose와 fructose는 감소한 반면 sucrose와 maltose는 증가하였다. 밤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전체의 51%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 aspartic acid, arginine, 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20^{\circ}C$에서는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 threonine, phenylalanine, valine, lysine 등은 증가하였으나, proline, serine, isoleucine, leucine 및 ${\gamma}-aminobutyric{\;}acid$ 등은 감소하였으며 $1^{\circ}C$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천연 추출물 처리가 박피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Extracts on the Quality of Peeled Chestnut)

  • 오성일;김철우;박윤미;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26-32
    • /
    • 2017
  • 박피한 '대보' 밤을 천연 추출물(녹차, 당귀, 황기, 감초 : 각각 1%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후 $5{\mu}m$ 두께의 PE+ Nylon재질의 7-layer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4^{\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동안 박피밤의 갈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변도는 무처리구보다 천연 추출물 처리구에서 다소 적게 갈변되었고, 특히 황기와 감초 추출물 처리가 갈변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35일 후 박피밤의 색차(${\Delta}E$)는 무처리구에서 5.6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천연 추출물 처리는 박피밤의 중량 및 수분감소율과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장 35일 후 부패율은 무처리구에서 9.0%, 녹차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당귀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 21.0%, 감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7.0%로 나타났다. 종합적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추출물 처리가 향 때문에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감초 추출물 처리구가 저장기간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박피밤의 천연 추출물 처리는 갈변을 억제시킴으로써 박피밤의 관능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였고, 특히 감초 추출물 처리 후 진공포장하는 것이 박피밤의 품질유지와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내 유통 중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 조사 (Monitoring of Melatonin Contents in Nuts, Seeds, and Beans in Gyeonggi-Do)

  • 송유나;홍해근;권연옥 ;하진옥 ;김현지 ;손명진 ;박정화 ;권보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4-191
    • /
    • 2023
  • 견과류는 영양가가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성 생리활성을 가져 건강한 식단에 중요한 요소이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각종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견과류의 멜라토닌 추출 및 정량을 위한 분석법을 마련하였고, 견과류의 높은 지방함량을 고려한 최적화된 추출 절차를 이용하여 경기도에서 유통되는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을 조사하였다. 땅콩 또는 견과류, 유지종실류 및 두류의 평균 멜라토닌 함량은 각각 1200.83(409.76-2223.56), 934.83 (454.10-1736.60), 616.46 (494.70-825.12) pg/g으로 나타났다. 호두와 밤의 경우 속껍질을 포함한 반탈각 상태와 과실만 있는 경우의 멜라토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반탈각 상태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호두, 밤 및 땅콩의 경우 2022년 재배된 햇 견과보다 2021년 재배 후 저장된 견과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견과종실류 등의 멜라토닌 함량이 높아 우수한 기능성 식품임을 시사하였다.

잡과병 관련 조리법에 관한 문헌고찰 -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 (A Literature Review on Recipes in Connection with Japgwabyung - Focus on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

  • 강재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50-46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in connection with the names and recipes of japgwabyung recorded between 1392 and 2000. The names of japgwabyung wer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including japgwabyung, japgwapyun, japgwajumbyung, japgwago, and japgwadanja. The names of japgwatteoks, classified with recipes, were Jjjin-tteoks, Chin-ttoks, and Salmeun-tteoks. The main ingredients used for japgwabyung were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and buckwheat. The subsidiary ingredients were fruits, spices, seeds, and sweeteners. This study classified the names of japgwabyung, depending on the recipes, as japgwabyung, japgwapyun, japgwadanja, and japgwainjulmi.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recipes, depending on names, as steamed rice cakes made of sedimentary rice, steamed valley rice cake, steamed rice ]cakes with stuffs filled in and with bean powder dredged after striking, and steamed or struck rice cake with bean powder dredged. The main ingredients were glutinous rice and nonglutinous rice. The subsidiary ingredients were chestnuts, jujubes and dried persimmons, with other fruits being added according to taste.

서양인의 조선여행 기록문을 통한 근대 식생활사(食生活史) 연구 (Study on Modern Food Culture History through Records from Foreigners' Chosun Dynasty Travel in the Enlightenment Period)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1-399
    • /
    • 2016
  • The study presented attempts to analyze and categorize Chosun's food ingredients and culture through a Western perspective based on 32 representative Western documents pertaining to old Korea. Before modernization, Westerners visited Chosun during their visits to old China or Japan. Westerners were most active in Chosun from the open port period to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occupation. They were teachers, missionaries, diplomats, and doctors visiting Chosun with personal goals. In 31 book traveler's journal, it records Chosen's mainly produced ingredients, such as grains, spices, fruits, cabbage, chicken, and chestnuts; foods from Chosen include kimchi, soup, and tofu. Foreigners especially liked foods made of eggs and chicken, but they did not enjoy Chosun's lack of sugar and dairy. Thirty-one book foreigners' records describe Chosun's Ondol, kitchen, crock, fermented foods, low dining tables, and chopsticks. Chosun people liked dog meat, unrestrained drinking culture, sungnyung, and tea culture. Foreign documentation on Chosun's food culture allows modern scholars to learn about Chosun people's lifestyles, as if their lives were a vivid picture.

경주 지역 대학생의 황남빵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향 (The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the Hwangnamppang Available to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ju Area)

  • 이종숙;정인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99-90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need for improvement of the Hwangnamppang provided to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ju area of Korea. To accomplish this, we surveyed 195 university students by questionnaire. The consumption frequency rate revealed that 49.7% of students consumed Hwangnamppang $1{\sim}2$ times a year, while 32.8% consumed it $2{\sim}3$ times per six months and 16.4% consumed it $1{\sim}3$ times a month.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ed that 45.6% of the students purchased Hwangnamppang to give as a present. Moreover, 55%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Hwangnamppang was a suitable gift, but that it was too expensive. In addition, 47.7%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re were not enough varieties of the product and 26.7% for factor that do not increase Hwangnamppang's consumption respond. Finally, 90%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re was a need to diversify the red-bean paste used in Hwangnamppang, and felt that the best pieces contained chestnuts (3.66/5 score) or sweet potato (3.62/5 score).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Hwangnamppang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to increase the varieties available and improve the overall accep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