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 hul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도토리와 밤 외피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Activitie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 차배천;이혜원;임태진
    • 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2-217
    • /
    • 2003
  • We have carried ou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nuts species for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From our previous report, EtOAc and n-BuOH extract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were found to have a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in various antioxidant experiment. In the continuous study, we isolated several compounds from EtOAc and n-BuOH extract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by fractionation using column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atechin, naringenin and ellagic acid on the basis of their spectroscopic properties and by comparison of their physical and spectra data with published valu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techin, naringenin and ellagic acid were measured by DPPH, ferric-thiocyanate and Rancimat method.

Nut류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 이혜원;최무영;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4
    • /
    • 1998
  • It has been known that diseases related with aging or cancer result, at least in part, from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may reduce or prevent the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ree radical formation via its scavenging action.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ut speci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kinds of nuts such as chestnut, groundnut, walnut and acorn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The extracts from chestnut hull and acorn barnyard mille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among 10 samples tested. Because of their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0 sample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from chestnut hull and acorn barnyard millet, were further examined by DPPH method. EtOAc and BuOH extracts exhibited antioxidative activities similar to those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xidants, BHA. These findings demonstrates that major fraction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stnut hull or acorn barnyard millet was th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was relatively weak.

  • PDF

밤 가공 부산물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in vitro 반추위 배양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 of chestnut hull for ruminant animals us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 정신용;조현선;박기수;강길남;조남철;서성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35-340
    • /
    • 2012
  • 밤의 가공과정에서 임업 부산물로 생산되는 율피(밤껍질)는 밤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사료비 저감을 위한 반추동물의 사료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밤의 가공 부산물인 1, 2차 율피의 반추동물용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와 반추위 발효 특성을 분석하기 하기 위해 1, 2차 율피의 영양소를 분석하고, 48시간 동안 in vitro 반추위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율피의 첨가 수준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 및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의 기본 사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산양 TMR을 이용했으며, 기본 사료와 1차 율피 및 2차 율피의 비율을 달리하여 13개의 처리구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2차 율피 100%, 1차 율피 100%, 2차 율피와 1차 율피의 1:1 혼합구, TMR 100% 및 TMR을 2차 율피, 1차 율피 또는 1, 2차 율피 혼합으로 각각 5%, 10%, 15% 대체한 처리구이다. 율피의 일반 성분분석에서 1차 율피는 2차 율피에 비해 섬유소(NDF, ADF, 리그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비섬유소탄수 화물의 함량은 낮으나, 그 외의 영양소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71.97%)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42.80%)가 가장 낮았다. 2차 율피의 첨가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건물소화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1차 율피의 첨가에 따라서는 소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 발생량은 2차 율피 처리구에서 48시간 가스 발생량 및 발생 속도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TMR을 율피로 15%까지 대체하였을 때 가스 발생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H 또한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6.33)에서 가장 낮았고, 1차 율피(6.5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2차 율피는 반추동물의 사료 자원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며, 1차 율피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료가치가 떨어지나 조사료를 일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율피의 사료 가치를 보다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 소화, 성장 및 기호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공정에서 리그닌의 제거특성 (Characteristics of Lignin Removal in 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Process)

  • 이유나;이승범;이재동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77-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볏짚, 톱밥, 밤껍질, 땅콩껍질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전처리과정으로 산처리과정을 진행한 후 리그닌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을 해석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리그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밤껍질 < 볏짚 < 톱밥 < 땅콩껍질 순으로 리그닌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은 땅콩껍질 < 톱밥 < 볏짚 < 밤껍질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산처리과정으로 리그닌의 제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처리과정에서 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그닌 함량이 감소하여 셀룰로오스 에탄올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최적 황산의 농도는 20 wt%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