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coa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시호(Bupleurum falcatum)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폐활성탄의 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and Yield in Bupleurum falcatum)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0-133
    • /
    • 2003
  • 폐활성탄을 토양개량제로 활용하기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시호의 포트시험을 실시한 결과 시호의 생장은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가 첨가되었을 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분얼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다. 근의 생장과 비대는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 첨가되 었을때 주근장과 근직경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시호를 재배할 경우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addition and medium autoclaving on plant tissue growth

  • 정미영;정귀택;우제창;황백;박돈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37-338
    • /
    • 2002
  • Activated charcoal(AC) is generally used in plant tissue culture. Its addition to plant tissue culture was known to man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 investigate that sucrose hydrolysis, which by autoclaving with or without activated charcoal on different intitial pH and sucrose concentration and that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plant tissue culture.

  • PDF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활용한 오염지하수 내 우라늄 제거 (The Uranium Removal in Groundwater by Using the Bamboo Charcoal as the Adsorbent)

  • 이진균;김태형;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6호
    • /
    • pp.531-542
    • /
    • 2018
  •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두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사용하여 다양한 우라늄 농도를 가지는 인공오염수를 대상으로 활성탄 투입량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공오염수의 다양한 pH, 온도, 흡착 시간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반복하여, 최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는 대나무 활성탄의 적용 조건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인공오염수에 대한 대나무 활성탄의 우라늄 제거효율은 70 ~ 97 %를 나타내었으며, 우라늄 농도가 0.14 mg/L인 실제 우라늄 오염지하수에 대한 제거효율도 84 %로 매우 높았다. 오염수의 온도의 경우 $10{\sim}20^{\circ}C$ 범위, pH는 5 ~ 9 범위에서 우라늄 제거효율 변화가 크지 않아,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 처리 없이 오염지하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실험 결과로부터 대표적인 흡착등온선을 도시한 결과, 우라늄에 대하여 대나무 활성탄은 Langmuir 흡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 type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각각 200.0 mg/g와 16.9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오염수 100 mL에 대나무 활성탄 2 g(2 wt%)을 첨가한 경우, 초기 우라늄 농도가 0.04 ~ 10.8 mg/L 범위에서 분리상수 값(separation factor: $R_L$)과 표면흡착률 값(surface coverage: ${\theta}$)이 1 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다양한 우라늄 농도 범위를 가지는 오염지하수에 대하여 적은 양의 대나무 활성탄으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란(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활성탄의 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최성규;박영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7
    • /
    • 2002
  •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구황작물인 토란을 활성탄(Activate Charcoal)을 시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탄시용에 따른 토란의 생장은 활성탄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엽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10%∼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지하부의 생장에서도 활성탄10%∼20%처리가 주당 괴경수가 많고 괴경중이 무거워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괴경(槐莖)의 수량과 부산물인 엽병(葉柄)의 수량은 활성탄 10%∼20%처리가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토란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의 효과가 인정되어 앞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coal Tube에 의(依)한 작업환경중(作業環境中) Toluene 함량(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Toluene Determination in Workplace by Charcoal Tube Method)

  • 김형석;구도서;박양원;이정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93-198
    • /
    • 1983
  • In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solvents in workplaces direct reading tube method have been used in Korea for decades. But this method is less accurate and couldn't measure TWA(Time Weighted Average) for 8 hours. Authors tried to detect Toluene concentration in S factory by using charcoal tube according to NIOSH method. The concentration was 158.8ppm. We propose this charcoal tube method should be substituted to get accurate results and to protect employee in workplaces related with solvents.

  • PDF

목탄 처리에 의한 당화액 내 5-hydroxymethylfurfural 및 푸르푸랄 제거 (Removal of 5-hydroxymethylfurfural and Furfural in Sugar Hydrolysate by Wood Charcoal Treatment)

  • 정한섭;김용식;이재정;채광석;안병준;이수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05-7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처리 후 얻어진 당화액 내 발효저해물질인 퓨란계 화합물(5-hydroxymethylfurfural (5-HMF), 푸르푸랄)을 제거하기 위한 목탄 처리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사 당화액을 제조하고 목탄 투입량 및 처리 시간에 따른 당 및 퓨란계 화합물의 제거율을 계산해 활성탄의 경우와 비교분석하였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5-HMF, 푸르푸랄이 포함된 유사 당화액에 목탄 또는 활성탄을 0.5, 1, 2, 4, 8, 12% (w/v) 농도로 투입하여 1, 3, 6, 12,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결과, 목탄 투입량 및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5-HMF 및 푸르푸랄 제거율이 점차 증가하여 목탄 투입량 8%, 처리 시간 3시간 이상에서는 5-HMF, 푸르푸랄 모두 95% 이상 제거되었으며, 동시에 당의 손실(< 2%)은 거의 없었다. 반면, 활성탄을 처리하였을 경우, 목탄보다 온화한 조건(활성탄 투입량: 8%, 처리 시간: 1시간)에서도 5-HMF 및 푸르푸랄 제거율이 95% 이상이었으나, 글루코오스 및 자일로오스 또한 각각 10% 이상이 제거되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당 생산 및 추가적인 당 활용 공정을 고려할 때, 목탄을 이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당화액의 퓨란계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당 수율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숯가마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특성에 관한 현장조사 연구 (A Field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Emission from Commercial Charcoal Kiln)

  • 박성규;최상진;김진윤;박건진;황의현;이정주;김태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01-614
    • /
    • 2013
  • The commercial charcoal kiln was projected the largest source of biomass burning sector in Korea. Commercial charcoal kiln was operated to emit air pollutants into the air without any air pollution prevention equipment. The object of this field survey wa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and emission factors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ective processor from oak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As result of field survey, TSP,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 from charcoal kiln were 400~37,000 $mg/m^3$. These values were over the 100 $mg/m^3$ in TSP, this value was effluent quality standard of Clean Air Conservation Ac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O, $SO_2$ and TVOC were 2~5%. 0~110 ppm and 820~10,000 ppm respectively. The emission factors were 42.4 g-PM/kg-oak in TSP, 40.3 g-PM/kg-oak in $PM_{10}$, 38.2 g-PM/kg-oak in $PM_{2.5}$, 182.5 g-CO/kg-oak, 1.0 g-NO/kg-oak, $SO_2$ 0.2 g-$SO_2/kg$-oak and 104.4 g-TVOC/kg-oak. The part of commercial charcoal kiln had air pollution prevention equipment but it was difficult to work properly. Much wood tar excreted in exhaust emissions from oak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This wood tar was cause of many troubles sticking in the air pollutant prevention equipment. For handling particulate matters and gaseous air pollutants from oak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in biomass burning, air pollutant prevention equipment design and management needs preprocessor for removal wood tar.

면직물의 복합가공(II) - 키토산과 숯 - (Bicomponent Finishing of Cotton Fabrics(II) - Chitosan and Charcoal -)

  • 배기현;이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748-7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the dyeing of cotton fabric using charcoal as colorants. Particle size of charcoal, dyeability(K/S), SEM morphology of dyed fabrics and color fastnes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epichlorohydrin in the presence of chitosan to provide the cotton fabrics the dyeing properties of natural dye by the chemical linking of chitosan to the cellulose struct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Mean average diameter of charcoal was 1.44 ${\mu}m$.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the dyeing effects of 1% chitosan treatment on the dyeing of cotton fabrics using charcoal were the highest with 10%(owb) of charcoal at $90^{\circ}C$ for 120minutes and non-treatment of cotton fabrics were the highest with 15%(owb) of charcoal at $90^{\circ}C$ for 150minutes. Overall, K/S value of 1% chitosan treatment of cotton fabrics on the natural dyeing using charcoal was higher than non-treatment of cotton fabrics. It was observed the surfaces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 were adsorbed with charcoal powders of particle size more than a non-treated chitosan fabric by SEM. The cotton fabrics were dyed with blackish gray color by charcoal gradually according to treating chitosan. The K/S value, that is indicative of dye affinity, became higher as the increase of treated chitosan concentration. The color fastness of charcoal, washing and light fastness was excellent as 4-5 grade.

숯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제거기술 (Removal of Air Pollutants from Charcoal Production Process Exhaust)

  • 박성규;최상진;김대근;황의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0-361
    • /
    • 2014
  • Exhaust gas containing wood tar of high concentration is discharged from charcoal production kilns. The large amount of emissions are often found by operational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an integrated treatment system in treating charcoal production exhaust. The system, which combined a tar collection device and a post-combustion unit, was proposed to remove moisture, wood tar, particulate matter, and other gas-phase pollutants (CO, $CH_4$, total hydrogen carbons) from exhaust gases. Heat recovery units were also applied in the system to utilize waste heat.

오염수계 내 세슘 제거를 위한 대나무 활성탄의 흡착효율 규명 (Sorption Efficiency of the Bamboo Charcoal to Remove the Cesium in the Contaminated Water System)

  • 안정필;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2호
    • /
    • pp.87-97
    • /
    • 2018
  • 세슘은 물속에서 고상보다는 이온이나 착염 등 용존 형태로 존재하는 특성이 강하여, 오염 수계로부터 세슘 제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수계 내에서 세슘의 제거효율이 높은 흡착제를 개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수계 내에 존재하는 세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용액으로부터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효율을 측정하고, 최적의 세슘 제거능을 가지는 흡착 조건을 도출하고자 다양한 조건에서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의 표면 특성을 SEM-EDS와 XRD 분석으로 규명하였으며, 이 중에서 비표면적이 큰 3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대상으로 세슘 제거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초기 세슘 농도를 가지는 인공수(0.01~10 mg/L 범위)를 대상으로 대나무 활성탄에 의한 수용액 내 세슘 제거량을 측정하여 제거효율을 계산하였고, 두 종류의 흡착 등온식들을 흡착 배치실험 결과에 대응시켜 흡착 상수값을 결정함으로서,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흡착 특성을 규명하였다. FE-SEM 분석 결과, 대나무 활성탄은 표면이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대나무의 섬유질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는 입자들로 구성되어, 이들 섬유질 조직 내 다양한 형태의 기공들과 엽상조직 표면들이 주요 세슘 흡착공간인 것으로 밝혀졌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세슘 제거효율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수용액의 세슘 초기 농도가 1.0 mg/L 이하인 경우에도 75 % 이상(최고 82 %)을 나타내어, 원전사고 등에 의해 오염된 현장 지하수나 지표수(해수 포함)의 세슘농도가 대부분 1.0 mg/L 이하임을 고려하면, 실제 오염수 정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밝혀졌다. 수용액의 온도는 $5-15^{\circ}C$ 범위, pH는 3-11 범위에서 높은 세슘 제거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오염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는 Langmuir 흡착모델과 유사하였으며,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63.4 mg/g으로 기존의 상용화된 흡착제 값보다 높았고, 수용액의 초기 세슘 농도가 1.0 mg/L이하인 경우 표면흡착률(surface coverage) 값도 낮게 유지되어, 적은 양의 세슘으로 오염된 수계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