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수열 단원에 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 분석: 인지적 난이도 관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presented in sequ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cognitive demands)

  • 오영석;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57-26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인지적 난이도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3종을 대상으로 수열 단원에 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 개방형 과제는 이전의 과제 또는 해당 과제 내에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에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개방형 과제는 구하고자 하는 것에 접근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건을 능동적으로 탐구하거나 판단 근거를 요구하는 과제 또는 다양한 표상을 수열의 개념과 연결 짓거나 다양한 해답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 교육과정 측면에서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구체화하였을 뿐 아니라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 개발에 그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등 수학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 김남균;김수지;송동현;오민영;이현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1-10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을 분석하는 틀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학생들의 해법 공간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검토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개방형 과제의 해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틀로 결과 공간(Outcome spaces), 방법 공간(Method spaces), 표현 공간(Representation spaces)의 하위 공간으로 조직화한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개발하였다. 약수와 배수 주제의 개방형 과제 유형 중 역 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81명에게 과제를 해결하게 하였다. 해법 공간 분석 틀(OMR-framework)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해법 공간을 분석한 결과, 해법 공간과 방법 공간에서 역과제와 구성활동적 과제에 대한 학생의 약수와 배수 개념 이해의 특성과 문제해결에서 사용되는 가역적인 사고 및 조작과 구성의 사고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표현 공간에서 형식적인 수학적 표현 외에 학생들이 구성한 비형식적인 다양한 표현 방식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해결한 것을 결과, 방법, 표현의 관점에서 해결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법 공간을 이루는 결과 공간, 방법 공간, 표현 공간 사이의 연결성도 탐색할 수 있었다.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using open-ended tasks)

  • 남인혜;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57-78
    • /
    • 2023
  • 학생의 수업 참여는 수업의 방향과 성과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 및 후속 학습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지닌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드러내는 수업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교사의 발문에 자발적으로 답하거나 어려움을 참고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는 행동적 참여, 박수를 치거나 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즐거움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정서적 참여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 실생활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과제 해결에 사전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인지적 참여 양상을 보였고, 친구의 의견을 물어 공동의 아이디어를 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거나 모둠 활동에서 친구와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등의 사회적 참여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실행하는 데 교사의 지지와 긍정적인 피드백, 모둠 활동 및 소집단 토론으로 구성된 수업 방법, 놀이 및 게임 활동에 기반한 과제 제시 방식 등이 갖는 잠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수학 과제의 유형 (Mathematical Task Types to Enhance Creativity)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17-13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이 가능한 수학 과제의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이 풍부한 과제의 제시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제의 특성과 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그 동안 창의성과 관련하여 연구되어 온 논문과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조지아대학의 GIL과 국내의 논문 탐색을 통하여 창의성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과제를 창의성의 요소인 독창성,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 민감성의 5가지의 속성을 포함하는 4가지 표현 방식에 16과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과제 유형과 함께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을 하였다.

옷입기 양식을 통해 본 속옷문화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Underclothes Culture by Patterns of Wearing)

  • 김미영;박부진;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11-125
    • /
    • 1998
  • What human beings wear is closely related to how they conceptualize their bodies and how they classify the group they belong to and the way they wear their cloth s an important cultural element that shows wearers' awareness and social relationship. Especially, underclothes reflect unrevealed cultural inside of the society more abundantly than outer wear do. Through such characteristics of underclothes, we are able to better understand inherent order of culture. This study si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Korean culture by reviewing the convention of underclothes wearing that takes important role in clothing without being explicitly reveal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o biblical review of under clothes of traditional societies, a total of 301 college students aging from 19 to 28, who are the most open to accepting new cultures and changes, residing in Seoul area were participant. Questionnaire consists of open-ended questions of underclothes terms, kinds, why they wear, items of wearing, how they obtained, how they take care of, etc. In conclusion, changes in cultural meaning of underclothes analyzed through convention of underclothes wearing are as follows; 1) changes in wearing pattern implies changes in functions of underclothes and changes in members' roles and values in a society; 2) changes in recognition of underclothes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awareness of sex; 3) consumer behaviour of underclothes represents a part of information culture; 4) changes in the pattern of maintaining underclothes show that differentiation of sex role in household tasks is decreased.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Job Train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Healthcare)

  • 오은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3-95
    • /
    • 2017
  •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job train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major in healthcare. Methods: For the analysis, 11 fourth-year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job training at healthcare-related agencies were interview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2016 to June 2016 for 3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analys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The main reasons for the job training stress for students fell into two personal and environmental domains. And the domains were analyzed by 12 categories in-depth. Students felt stress by tasks, personal relationship, and burden of duties. Conclusions: To deal with job training stress, students took emotional and behavioral treatments such as posi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d so o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agencies and training programs to lighten the stress for students.

  • PDF

TIMSS 2019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in Problem Solving and Inquiry Tasks of Korean Fourth Graders in TIMSS 2019)

  • 권점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31-46
    • /
    • 2024
  • 이 연구는 TIMSS 2019에서 도입된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PSIs)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TIMSS 2019에서는 기존의 지필 평가와 더불어 컴퓨터 기반 평가를 실시하였는 데,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는 컴퓨터 기반 평가에만 포함되어 있어 컴퓨터 기반 평가에 참여한 30개국의 평가 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PSIs)는 여러 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문항군으로, 내용 영역과 인지 영역을 통합하여 문항을 구성하고, 선다형보다는 구성형 문항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분석 결과,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PSIs) 포함 여부에 따라 국가별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우리나라는 학업성취도 평균이 1점 하락하였다. 아울러 개별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고, 다수 문항에 대해 여학생의 정답률이 남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문항별 분석 결과를 보면, 영국이나 핀란드 등의 정답률이 기존의 학업성취도 상위국(싱가포르, 대만, 우리나라)보다 높게 나타나는 문항이 있었다. 융합교육이 강조되는 최근 실정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에서도 평가에 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Social Representations on Children, Adults and Adolescents: With Focus on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 정태연;최상진;김효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51-76
    • /
    • 2002
  • 본 연구는 개방형 질문을 이용한 두 개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아동(혹은 아이), 어른(혹은 성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사회적 표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1은 한국대학생 97명(남: 28명, 여: 69명)을 대상으로 아동과 어른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른다운) 어른과 대비되는 아이의 특성은 대부분 성격적인 측면과 관련되었으며, 특히 아이는 어른에 비해 외향성이 높은 반면, 호감성, 성실성 및 교양에서의 수준은 낮았다. 또한, 아이와 어른 모두 그들의 행복과 불행은 거의 대부분 대인관계적 특성과 건강, 가정의 경제적 환경이나 사회적 성취수준에 의해 결정되었다. 반면, 좋은 아이는 성격적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나 독립성 등 높은 호감성과 성실성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규정되었는데, 이러한 특성은 아이다운 아이의 특성보다는 어른다운 어른의 특성과 매우 유사했다. 연구 2에서는 한국대학생 57명(남: 16명, 여: 4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청소년은 성격이나 자아개념, 신체적 및 과업적 특성에서 아이와 어른의 중간 단계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행복하거나 불행한 청소년은 아이 및 어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계적 특성과 과업적 특성 혹은 환경적 특성에 의해 크게 결정되었다. 그러나, 좋은 혹은 나쁜 청소년은 아이의 경우와는 달리 성격에서의 호감성과 성실성 이외에도 자아 관련 특성, 관계적 특성 및 과업적 특성에 의해서도 규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 및 인간발달의 입장에서 논의하였다.

  • PDF

복막투석환자의 감염예방과 관련된 자가간호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 Care Compliance Related to Infection Management for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이은영;김정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3-323
    • /
    • 1998
  •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on the level of self-care available to contin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D patient') related to the specific area of infection management. The method employ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was a modified instrument of the self-care survey essentially based on Young Sook Choi's instrument. The relevant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1996 to september 30, 1996. The subjects were provided with an open-ended question regarding the reasons behind why they did not seek self-care. The answers provided about self-care compliance were analyzed by SPSS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Reasons for non-compliance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percentage of patients engaging in self-care were according to the following self performed tasks : preparation of dialysis : 30.58 points Dialysate exchange procedures : 49.40 points - Two bag type : 50.50 points - Spike type : 48.80 points - Neo type : 48.90 points Catheter exit site care : 25.13 points More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preparation of dialysis as referred to above, those patients engaging in self care was relatively high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of the dialysis before use and for the preservation of peritosol. However, in dialysate exchange procedures, data revealed that those patients engaging in self-care are relatively low with respect to putting on a mask during the performance of peritosol exchange. Similary in peritosol exchange procedure and catheter exit care, low levels of self-care performance were found in the area of putting on a mask during the peritosol exchange procedures and catheter line testing procedures, respectively. 2.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ppeared to be no distinction in self-care compliance among CAPD patients. 3. The main reasons for non-compliance were based in the following factor : intellectual, attitude, enviromental surrounding and physical. As a result of the foregoing finding, nurses should provide adequate assistance to promote self-care compliance by CAPD patients by checking the preparation of dialysis, dialysate exchange procedure, and catheter exit site care which recieved low point in this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