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s due to COVID-19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3초

COVID-19가 성인의 작업수행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rea of Adults)

  • 하성규;이혜식;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37-344
    • /
    • 2021
  • COVID-19로 인한 장기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가 성인의 작업수행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20년 1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2개월 동안 전국에 분포한 20대부터 60대의 성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기반으로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270명이었고 조사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로 하였다. 분석결과 작업수행영역의 9개영역 45가지 항목중 33가지(75%) 항목에서 COVID-19 전후로 작업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대별 수행도와 만족도는 건강관리, 사회참여, 여가, 일영역에서 모든 연령대가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특히 20대는 사회참여영역의 수행도와 여가영역의 만족도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30대에서 60대에서는 여가영역의 수행도와 만족도에서 모두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설문대상자들은 COVID-19 이전보다 낮아진 작업수행도와 만족도가 스스로 문제라고 인식했고 개선의지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OVID-19는 아직 대유행하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로 변화된 작업수행영역별, 연령별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각 영역별 전문가의 개입과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규범의 전환과 사회문제: 코로나를 중심으로 (The Transformation of Norms and Social Problems: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 이장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513-527
    • /
    • 2022
  • 본 연구는 2020년을 전후하여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가 끼친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규범의 전환과 사회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펜데믹의 대표적인 사례인 14세기 유럽 흑사병이 미친 사회문화적 규범의 변화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번 코로나를 분석하였다. 흑사병은 기존의 종교 권위와 봉건제도의 권력을 기반으로 한 사회규범을 계몽주의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인구감소와 노동력 부족 현상은 상업화와 기계화를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확산된 인쇄술은 지식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사고의 수준이 높아지고 획기적인 과학적 발전을 이끌어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었다. 최근의 코로나는 흑사병처럼 사회적 규범의 변화를 촉발하였다. 가상과 현실이 혼합된 메타버스라는 기술적 환경은 개인의 정체성을 단일하게 구성되고 유지되어야 한다는 규범에서 벗어나 부캐를 통해 다양한 잠재력을 발휘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정체성으로 성격을 변화시켰다. 또한 메타버스 상에서 자신과 동일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이들과 친근하게 지내는 밈(meme)은 비대면 상황에서 고립감을 약화시켜주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동안 발전된 인공지능(AI)은 인간을 보조해주는 기능을 넘어 창조적 활동에 이용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바뀐 사회규범이 만들어 낸 새로운 사회문제는 어떤 것이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Adaptation Strategy of Tourism Industry Stakehold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in Indonesia

  • KRISTIANA, Yustisia;PRAMONO, Rudy;BRIAN, Reag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213-223
    • /
    • 202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describe the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that have occurred due to COVID-19; (2) explain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tourism industry stakeholders to maintain the resilience of Tanjung Puting tourism destin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3) explain the government's strategy in supporting tourism industry stakeholders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anjung Puting tourism destin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is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ion of published documents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njung Puting tourism destination. The data analysis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was interac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he COVID-19 pandemic caused the tourism industry to experience dormancy, tourism stakeholders who lost income, switched to other sectors and looked for other alternative jobs. Tourism workers are currently doing jobs outside the tourism sector to survive, but when tourism is running normally, will return to their main jobs. The strategy undertaken by the government is to build resilience at the meso level, focusing on tourism destin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urism industry players are required to be creative and innovative in facing this pandemic.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생 어머니의 변화된 양육 경험 (The Changed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 문설화;오은미;유선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2-17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d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kids living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outbreak in Korea. Methods: From July to August in 2020, 10 mothers paren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COVID-19 were interviewed in depth. For data analys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suggested by Colaizzi was us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xperiences of mothers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the 'pain from the uncontrollable COVID-19', 'the problem of family relatio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standing firm against the drastic changes', and 'accepting the world changed by the COVID-19'.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vividly represent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s the pandemic persists, mothers paren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el complex emotions and experience exhaustion, but in the process, they found family members growing positively and trying to adjust to each other to overcome the crisis. To support positive adaptation to catastrophic situations, an institutional and political foundation is needed to develop a systematic crisis management program customized for mothers and famil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so that mothers paren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tter adapt to and overcome crisis situations.

COVID-19 팬데믹이 BTC 변동성과 거래량의 관계구조에 미친 영향 분석: CRQ 접근법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Volatility and Trading Volume in the BTC Market: A CRQ approach)

  • 박범조
    • 경제분석
    • /
    • 제27권1호
    • /
    • pp.67-90
    • /
    • 2021
  • 본 연구는 투자자의 거래행태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비트코인(BTC) 시장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COVID-19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과 후에 변동성과 거래량의 비선형 관계가 바뀌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COVID-19 팬데믹 이전의 안정적 시장 상태에서는 정보 유입 패러다임에 근거한 이론처럼 두 변수의 관계가 양(+)으로 나타났지만 COVID-19 팬데믹 기간에 발생한 극단적 시장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두 변수의 의존관계 구조가 달라지고 심지어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행태경제학적 관점에서 COVID-19 팬데믹 기간의 시장 스트레스 증가가 투자자의 거래 행태(behavior)를 변화시켜 자산시장에 구조변화를 일으켰으며, 변동성과 거래량의 비선형 의존관계(특히, 극단적 분위수(quantiles)의 의존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유입 외에 시장 스트레스로 인한 행태적 편의나 군집행동(herding)과 같은 심리현상이 두 변수의 의존관계 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이를 검정해보았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Ross (2015)의 구조변화 탐지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하는(i.i.d.) 임의변수 가정 없이 비선형 관계구조와 분포 꼬리 부분의 비대칭적 의존관계를 면밀히 파악할 수 있는 Copula 회귀분위수(CRQ)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Causal Impact 분석 기법을 접목한 COVID-19 팬데믹 전·후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 리뷰의 토픽 변화 분석 (Analysis of Topic Changes in Metaverse Application Review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Causal Impact Analysis Techniques)

  • 이소원;노미진;한무명초;김양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36-44
    • /
    • 2024
  • 가상환경 기술의 발전과 COVID-19 팬데믹으로 언택트 문화가 부상함에 따라 메타버스(Metaverse)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메타버스 서비스로 주목받는 "제페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뷰를 분석하여, COVID-19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대한 요구사항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2023년 3월까지 구글플레이스토어에 작성된 "제페토" 애플리케이션 리뷰 109,662건을 수집하였으며,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토픽을 추출하고, COVID-19 팬데믹이 선언된 "2020년 3월 11일"을 기준으로 전·후로 토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Causal Impact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플리케이션 기능적 문제(토픽1), 보안 문제(토픽2), 애플리케이션 내 가상화폐(Zem)에 대한 불만 사항(토픽3), 애플리케이션 성능(토픽4), 개인정보 관련 문제(토픽5) 등 5가지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중 보안 문제(토픽2)가 COVID-19 팬데믹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음이 확인하였다.

COVID-19 상황에서 나타나는 재택근무자 테크노스트레스 모델에 관한 연구 (Confirmatory Study on Telecommuters TechnoStress Model Under COVID-19)

  • 김수형;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5-71
    • /
    • 2021
  • Technostress management is increasingly getting important as ICT advances and infiltrates every job and task.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COVID-19, workers had to switch to teleworking utilizing ICT extensive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explaining antecedents and their impacts on technostress in telecommuting context, especially under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echno-complexity, techno-invasion, and techno-overload are the dominant factors that affect the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s in the COVID-19 situation. Among them, we found that techno-overload maintai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t is due to the lack of instant feedback on workload allocations in telework and the lack of adjustment period with the sudden shift to telecommuting. In the case of techno-complexity, employees seem to experience difficulty acquiring new technical skills. Finally, the techno-invasion came out significant, signifying the infiltration of working space by home-related activities. Th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d a moderating effect. In contrast, th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had no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an appropriate emotional coping strategy is more important for workers undergoing extreme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Subsequent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네트워크 기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세계화 분석 (Analysis of Globalization After COVID-19 Based on Network)

  • 유제운;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70
    • /
    • 2021
  •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전 세계가 혼돈 속에서 보낸 한 해였다. 14세기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를 무너뜨린 흑사병(페스트), 17세기 스페인에 의해 잉카제국의 멸망을 이끈 천연두, 제1차 세계대전을 조기 종식시킨 스페인독감처럼 팬데믹은 역사 전환의 기점에 있었다. 코로나 19이후 다가올 대변환을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으나 전환에 대한 이해와 방향이 모호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세계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다시 말해 세계화에 대한 미래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핵심용어를 도출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계화, 반세계화, 코로나19 이후 세계화와 디지털화에 관한 네트워크 및 4종류를 통합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로부터 허브 용어, 응집중심성 용어, K-코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단순화 네트워크로 부터 핵심용어를 추출하여 코로나19 이후 세계화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핵심용어를 도출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VID-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동안 나타나는 서울시 지하철 통행 변화와 역 배후지역의 지리적 특성 (Changes in Subway Traffic in Seoul during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G 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Behind the Station)

  • 이금숙;박소현;함유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7-142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지역 COVID-19 확진자의 증가와 지하철 통행의 감소 변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추출한 주성분을 바탕으로 지하철역을 군집 분류하고 군집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COVID-19 확산 이전인 2019년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된 2020년까지 서울 지하철역별 시간대별, 주별, 월별 지하철 통행의 변화 패턴을 살펴보고, 통행 증가형과 감소형 역으로 구분한 후 감소형 중 상위 10분 위에 해당하는 역, 하위 10분위에 해당하는 역의 인구 및 토지이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확진과 지하철 통행은 서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하철 통행과 역 배후지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서울 지하철체계를 구성하는 역들은 6개 유형으로 군집화되었다. 통행 감소 상위 10분위에 속하는 역은 낮 시간대 선택 통행의 분포가 높고, 역 배후지는 상업용 및 문화, 교육과 사회활동 관련 토지이용이 상대적으로 높아 향후 전염병 종료에 따른 지역 회복성도 매우 탄력적으로 반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조사를 통한 코로나19 시대 안전보건교육의 혁신방안에 대한 연구 (Innovation Plan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by a survey)

  • 안용로;방윤수;윤영근;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543-550
    • /
    • 2022
  • 코로나 19 시대에서 국내 건설현장 또한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장 방역·위생관리 강화, 인원 간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안전보건교육 운영상에 있어 교육 인원 규모 축소 등 많은 변화가 있으며 안전보건교육 소홀로 인한 재해 발생 증가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의 안전보건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사고감축에 기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