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of land use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22초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의 공간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Change Prediction of Future Forestland Area by Transition of Land Use Types in South Korea)

  • 곽두안;박소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9-112
    • /
    • 2021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수행된 전국 단위의 정량적 산지면적 변화량을 공간적으로 배분하여 광역시도별 산지면적 변화를 추정함으로써 지역산림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지를 산지, 농지, 도시 및 기타지로 구분하고 토지이용 형태별 변화 여부를 종속변수로, 지형요소, 이용 제한요소, 사회·경제적 요소, 개발 인프라를 독립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전체를 30m×30m 격자로 분할하여 각 Cell에 해당하는 독립변수 자료를 구축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각 토지이용 형태가 타 유형으로 변화하는 확률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토지이용 변화확률을 기반으로 변화순위 지도를 구축하였고,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량을 변화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분함으로써 토지이용 변화의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경사도와 지자체별 개발 가능한 경사도 기준이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될 확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경사도와 개발 가능한 경사도 기준이 낮을수록, 토지가격과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될 확률이 높아졌다. 그 결과 2027년까지 수도권과 대도시의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하여 산지면적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8년 이후 2050년까지 서울, 경기,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지면적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지방 소도시의 급격한 인구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변화하는 산지면적에 대응하기 위해 산지관리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고, 지자체 단위에서는 인구의 감소 정책과 그에 따른 산지를 포함한 토지의 효율적 보전 및 이용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

  • Lee, Geun-Sang;Chae, Hyo-Sok;Lee, Hyun-Seok;Hwang, Eui-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64-767
    • /
    • 2006
  • It can be important framework data to monitor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in design and management of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Gab- and Yudeung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s. To do this, we carried out radia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 and estimated land-use changes in inland and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inland, the ratio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educational and public area, that is urbanized element, increases, but that of agricultural area shows a decline on the basis of 1990. Also, Minimum Distance Method, which is a kind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water-body and sand bar layer in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land-use, the ratio of level-upped riverside land and water-body increases, but that of sand bar decreases. These time-series land use information can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valuate the urbanization of river boundary, and especially it gives us goodness in river development project such as the composition of ecological habitat.

  • PDF

기후변화 시나리오 (A1B)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미래 토지피복변화 예측 및 논 면적 변화 특성 분석 (Prediction of Land-cover Changes and Analysis of Paddy Fields Change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A1B) in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 오윤경;유승환;이상현;박나영;최진용;윤동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77-86
    • /
    • 2012
  • This study was aim to predict future land-cover changes and to analyze regional land-cover changes in irrigation areas and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To simulate the future land-cover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 A1B of the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Dyna-CLUE (Conversion of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was applied for modeling of competition among land-use types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and biophysical driving factors. For the study areas, 8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selected from 8 different provinces covering all around nation. The simulation results from 2010 to 2100 suggested future land-cover changes under the scenario conditions. For Madun reservoir in Gyeonggi-do, total decrease amount of paddy area was a similar amount of 'Base demand scenario' of Water Vision 2020 published by MLTM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hile the decrease amounts of paddy areas in other sites were less than the amount of 'High demand scenario' of Water Vision 2020. Under A1B scenario, all the land-cover results showed only slight changes in irrigation areas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most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will be increased continuously for forest areas. This approach could be useful for evaluating and simula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relation to land-use changes.

사회경제 경로 시나리오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Land Use Change by Storylines of Shared Socio-Economic Reference Pathways)

  • 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
    • /
    • 2016
  • 본 연구는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에 활용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회경제 발전 경로(SSP)에 대한 스토리라인을 개발하고 시나리오별 토지이용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셀룰라 오토마타(CA) 모델링을 수행한 후 기준년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이규칙을 도출하였다. 둘째, SSP에 대한 토지이용 변화 가정을 수립하여 세 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SSP1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로 압축도시로의 발전을, SSP2는 현재 상황을 유지하는 중도의 발전을, SSP3는 분열된 사회로 난개발을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CA 모델링에 SSP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권역별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SSP 시나리오별로 살펴보면 SSP1은 2020년, SSP2는 2030년까지 도시 면적 비율이 소폭 증가하다가 더 이상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낮은 수준의 도시계획을 가정한 SSP3에서는 도시 면적 비율이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결과는 합리적 기후정책의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공간적 상세화로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는 취약성 평가에 일괄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 적응 정책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Renewal of Urban Central District in Daegu)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92-607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시 도심의 토지이용 변화와 재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고, 도심 공간의 쇠퇴가 토지이용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1980년대이래 우리나라의 대도시가 겪는 공통의 현상으로서 도심의 쇠퇴는 인구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도심의 공동화 현상과 관련하여 도심에서 토지이용을 크게 용도지역과 실제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중심상업지구와 주거지역에서 변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심상업지역은 중심상점가에서 상업적인 기능이 강화되고, 업무적 기능은 정체 혹은 쇠퇴로 나타나는데 비해 주거용 토지이용은 다른 용도지역과 혼합되어 나타나지만 실제 개발은 필지 규모의 제약 때문에 도심 공간의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아울러 건축물에 기초한 토지이용 전환의 정도에 의해서 주거용도의 변화정도를 뒷받침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서 도심재개발 사업을 살펴보고, 현재의 문제점과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 PDF

시설재배를 고려한 미래 농지이용 변화와 기후변화가 관개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Future Agricultural Land Use and Climate Change Impacts o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Considering Greenhouse Cultivation)

  • 손무빈;한대영;김진욱;신형진;이용관;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20-13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LUE-s(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와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및 8.5 HadGEM3-RA(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al Model version 3 Regional Atmosphere)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미래 농지이용 변화와 기후변화가 관개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논산시(55,517.9ha)의 농지이용 항목으로 논, 밭, 시설재배지를 고려하고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을 이용해 탑정저수지 수혜구역(5,713.3ha)에 대한 관개 필요수량(Irrigation Water Requirement, IWR)을 추정하였다. CLUE-s를 이용한 미래 농지이용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환경부의 2007년, 2013년, 2019년의 토지피복도 6개 항목(수역, 시가지, 논, 밭, 산림, 시설재배지)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2100년은 2013년에 비해 논과 밭이 5.0%, 7.6% 감소했으며, 시설재배지는 24.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미래의 농지이용과 기후변화를 모두 고려한 경우의 RCP 4.5 및 RCP 8.5 모두 2090s(2090~2099) IWR은 미래 기후변화만 고려한 경우에 비해 논과 밭에서는 각각 2.1%, 1.0% 감소하고 시설재배지에서는 11.4%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Dyna-CLUE 모델을 이용한 양평·여주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및 평가 (Analyzing the Future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for the Region of Yangpyeong-gun and Yeoju-gun in Korea with the Dyna-CLUE Model)

  • 이동근;류대호;김호걸;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9-130
    • /
    • 2011
  • Land-use changes have made considerable impacts on humans and nature such as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t is recognized as important elements for land use planning and regional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to identify the major causes of land use changes and to predict a process of changes and effects. This study, by using a spatially explicit Dyna-CLUE model,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driving factors, quantifie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and use type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examined future land use changes and its effects in Yangpyeong and Yeoju region. We expected land use changes based on the three scenarios with different future land demands and simulated future changes for spatial variations of land use for the 20 years. The outcomes shows that larger change was found in agricultural areas than forest areas, based on the change in built-up areas. The changes in forest areas, which were mainly occurred in edge area, were expected to affect a large impact on its ecotone. It was found to be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forest edge and the necessity of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conserve na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에서 상권 활성화에 따른 프랜차이즈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삼청동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y Commercial Vitalizations in the Gentrification Area - Focused on Samcheongdong area, Seoul -)

  • 김창호;김환용;나인수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11
    • /
    • 2018
  • Gentrification is appearing in various areas. Especially commercial gentrification, the value of property is rising and it means the change of commercial sphere in revitalizing the underdeveloped commercial. In this study, Identify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franchise rate, which is changing gradually in commercial areas. We analyze prior studies on gentrification and franchise. Identify changing of land use distribution in Samcheong-dong area and analyze franchise change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ing of land use in Samcheong-dong area, the number of houses and other uses has continued to decrease. In the case of franchises, it increased sharply and in the case of general commercial, it steadily decreased. Looking at analyzing the franchise change process in Samcheong-dong area, In the franchise change process, there is very little change in land use from residential and other uses to general commercial. Representative spaces that show the process of franchise change are around the three-way streets, around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around the police station.

비균질한 해남 농경지의 탄소교환에 미치는 토지사용 및 피복변화의 영향에 대한 미기상학 자료의 활용에 관하여 (Using Tower Flux Data to Assess the Impact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on Carbon Exchange in Heterogeneous Haenam Cropland)

  • ;강민석;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0-31
    • /
    • 2013
  •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LULCC) due to human activities directly affects natural systems and contributes to changes in carbon exchange and climate through a range of feedbacks. How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affect carbon exchanges can be assessed using multiyear measurement data from micrometeorological flux tower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ssess the impact of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on carbon exchange in a heterogeneous cropland area. The heterogeneous cropland area in Haenam, South Korea is also subjected to a land conversion due to rural development. Therefore, the impact of the change in land utilization in this area on carbon exchange should be assessed to monitor the cycle of energy, water, and carbon dioxide between this key agricultural ecosystem and the atmosphere. We are currently conducting the research based on 10 years flux measurement data from Haenam Koflux site and examining the LULCC patterns in the same temporal scale to evaluate whether the LULCC in the surrounding site and the resulting heterogeneity (or divers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bon exchange. Haenam cropland is located near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land cover types consisting of scattered rice paddies and various croplands (seasonally cultivated crops). The LULCC will b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and t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ULCC and flux footprint of $CO_2$ from tower flux measurement. We plan to calculate annual flux footprint climatology map from 2003 to 2012 from the 10 years flux observation database. Eventually,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quantify how the system's effective performance and reserve capacity contribute to moving the system towards more sustainable configuration. Broade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evolution of the Haenam agricultural ecosystem and its societal counterpart which are assumed to be self-organizing hierarchical open systems.

  • PDF

산지촌의 농업토지이용 변화와 특성 -경북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 지역을 사례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Agricultural Land Use for the Mountainous Village - The Case Study on Yowon-Village, Gyeongbuk Province -)

  • 오남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3-11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 영양군 요원리를 사례로 경지개간과 연계한 토지이용 변화와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나타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지개간은 대부분 19세기후기가지와 1960년대에 이루어졌다. 논의 개간은 물을 구할 수 있는 계곡에서, 밭의 개간은 1960년 이전에는 취락과 가까운 지점에서 그 이후로는 경사도가 낮고 넓은 구릉지를 중심으로 개간하였다. 둘째, 상업적 농업 이전인 19n년대의 토지이용은 감자. 조, 콩 등의 잡곡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로는 고추. 담배, 고랭지 채소 등의 상업적 작물로 대체하였다. 셋째, 토지이용 변화(작물선택)의 주도적인 세력은 산지주민들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경지개간과 연계하여 토지이용변화 및 특성을 설명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소규모 마을을 대상으로 미시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