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in transfer to monom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Based on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Yoon, Kee-Jong;Woo, Jong-Hyung;Seo, Young-Sam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82-187
    • /
    • 2003
  • Low molecular weight copolymers of maleic anhydride and vinyl acetate were prepared to develop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Since lower molecular weight is favorable for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finishing agent into the cotton fibers in the padd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the initiator, chain transfer agent and the monomer ratios were varied to obtain copolymers of low molecular weights. The prepar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GPC, $^1{H-NMR}$, FTIR, DSC and TGA. Copolymers of molecular weights of 2 000 to 10 000 were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was by varying the monomer ratios.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did not dissolve in water, but the maleic anhydride residue hydrolyzed within a few minutes to form poly(maleic acid-co-vinyl acetate) and dissolved in water. However, the maleic acid units undergo dehydration to form anhydride groups on heating above ${160}^{\circ}C$ to some extent even in the absence of cataly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polymers as durable press finishing agent for cotton fabric was investigated. Lower molecular weight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more efficient in introducing crease resistance,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more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to cotton fabrics. The wrinkle recovery angles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treated with DMDHEU and were higher when higher curing temperatures or higher concentrations of copolymer were used, and when catalyst, $NaH_2$$PO_2$, was added. The strength retention of the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treated cotton fabrics was excellent.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ridium-Containing Green Phosphorescent Polymers for PLEDs

  • Xu, Fei;Kim, Hee Un;Mi, Dongbo;Lim, Jong Min;Hwang, Ju Hyun;Cho, Nam Sung;Lee, Jeong-Ik;Hwang, Do-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2호
    • /
    • pp.399-405
    • /
    • 2013
  • Two series of new green phosphorescent polymers bearing a bis(2-phenyl-pyridine)iridium(III)(dibenzoylmethane) [$(ppy)_2Irdbm$] complex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Poly-carbazole (PCbz) derivative or polyfluorene with pendant carbazole groups (PFCbz) were employed as host polymers for the iridium complex. The iridium complex monomer was copolymerized with the host monomers using varying monomer ratios via a Yamamoto coupling reaction. Efficient energy transfer from host to dopant unit was observed b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iridium guest in the copolymers.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the configuration ITO/PEDOT:PSS/polymer/BmPyPB/LiF/Al wer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The phosphorescent polymers composed of the iridium complex guest and polyfluorene with carbazole pendants as a host performed better than the polymers composed of the same guest and the main chain polycarbazole host. A maximum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0.73%, a luminous efficiency of 1.21 cd/A, and a maximum luminance of 372 $cd/m^2$ were obtained from a device fabricated using one of the synthesized copolymers.

콘택트렌즈 재료의 합성과 응용에 관한 연구 (Polymerization and Application of Contact Lens Materials)

  • 송경석;이종헌;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9-134
    • /
    • 2003
  • 불포화 비닐 유도체의 다양한 반응성은 자유 라디칼의 사슬 중합반응을 거쳐 유도되어질 수 있으며, 열역학적으로 실행 가능한 고분자 중합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주어진 반응조건 항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는 적당한 속도에 의존한다. 따라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속도조건을 만들기 위해 중합 개시제와 촉진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빛의 흡수도는 Methyl Methacrylate(MMA)를 포함한 단지 몇 종류의 불포화 비닐 단량체들만이 가장 편리한 250nm~500nm 파장범위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광학적, 전기적으로 독특한 성질을 가진 polysilanes은 세라믹의 전구물질, UV 광전저항, 광전도체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hydrosilation 반응은 실리콘을 포함한 여러 가지 흥미로운 고분자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콘텍트렌즈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를 광 화학적 개시제의 작용을 통하여 공중합체와 단일 중합체로 합성하여 그 수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개시제들은 비닐 유도체들의 중하반응에서 경쟁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슬 개시와 사슬 전이제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식품연포장용 라미네이트 수성 감압점착제의 친환경적 적용에 대한 연구 (Design and Properties of Laminating Waterborne PSA for Eco-friendly Flexible Food Packaging)

  • 이진경;심명식;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2호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는 식품연포장 적층 라미네이트에 주로 사용되는 유성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해 아크릴 수성화방법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성 점착제를 설계하였다. 방법으로는 음이온/비이온 그리고 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들의 조합과 분자량조절제(chain transfer agent, CTA)의 양을 달리하고, 기능성단량체(functional monomer)의 종류를 달리하였다. 합성된 점착제의 가교 정도와 분자량의 영향을 각각 실험군 8종으로 점착제를 설계 합성하고 조사하였다. 그리고 별도로 분자량이 서로 다른 styrene/alpha-methyl styrene/acrylic acid (SAA) semipolymer 분산제(Mw = 13,000과 Mw = 8,600)를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대신하여 사용해 감압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10종의 감압점착제가 유연포장용 기본 물성 규격에 적합한지를 DSC, 입자크기, adhesion, 분자량의 물성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계면활성제는 음이온/비이온 조합으로, CTA는 0.2%로 기능성 단량체는 HEA, GMA를 사용한 점착제 2개의 실험군에서 유연포장에 적용 가능한 분자량과 유연성, 낮은 접착력, 작은 입자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 왁스와 무수 말레인산의 그라프팅 중합 반응에서 용매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vent on the Grafting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Wax with Maleic anhydride)

  • 유시원;최중소;나재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1호
    • /
    • pp.48-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대상으로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트 반응 시킬 때, 반응 용매가 가지는 성질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자일렌이 톨루엔보다 우수한 모노머 용해성, 팽윤성, 혼화성을 가지며, 그라프트 반응을 더욱 촉진함을 알 수 있었고, 반응 용매의 함량에 따라서는 0 ~ 200% v/w영역에서 200% v/w 조건이 최대의 그라프트 율을 보이고, 그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경우에는 그라프트 율이 다시 감소하다가 일정해짐을 확인하였다. 가교도 함량 값은 용매 존재 하에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용매가 용매분자로 사슬이동반응 시켜 가교반응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40^{\circ}C$에서 측정된 용융 점도 값은 폴리에틸렌 왁스에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된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