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caria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해산 복족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연구 1, Cercaria yamagutii, Cercaria isoninae 및 Cercaria pseudogranifera에 대하여 (The Trematode Parasitized on the Marine Gastropod I. On the Cercaria yamagutii, Cercaria isoninae and Cercaria pseudogranifera)

  • 김영길;김종연;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3-548
    • /
    • 1984
  •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1982년 5월부터1983년 4월까지 해산복족류인 큰구슬우렁이. 갯우렁이, 피뿔고둥의 생식소를 조사한바 다음 3종의 cercaria를 검출 하였다. 1, Cercaria yamagutii는 큰구슬우렁이 및 갯우렁이에서 검출되었으며, 기생률은 각각 $12.32\%,\;30.24\%$의 높은 기생률을 나타낸다. 2. Cercaria isoninae는 큰구슬우렁이에서 검출되었고, 기생률은 $0.19\%$ 이었다. 3. Cercaria pseudogranifera는 피뿔고둥에서 검출되 었고, 기생률은 $0.83\%$이었다. 4. 큰구슬우렁이, 갯우렁이는 Cercaria yamagutii 및 Cercaria isoninae, 피뿔고둥은Cercaria pseudogranifera의 중간숙주로 새로히 추가 된다.

  • PDF

Studies on cercariae from the Kuwait Bay. VI. Description and surface topography of Cercaria kuwaitae VI sp. n. (Trematoda: Haplosplanchnidae)

  • Jasem ABDUL-SALAM;Bhaskaran Nair Saralamma SREELATH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47-154
    • /
    • 1995
  • A new haplosplanchnid cercaria, Cercaria kuwaitae VI sp. n., was found in the prosobranch snail Cerithidea cincingulata in the Kuwait Bay Details are presented on the morphology and behavior of the cercaria and the encystment process. The new cercaria is a biocellate, distome, with a prominent single sac-like intestinal cecum extending well posterior to the ventral sucker and develops in simple sporocysts. It differs from known haplosplanchnid cercariae in the absence of finger-like processes on the tail, and the presence of V-shaped excretory vesicle extending beyond ventral sucker and the presence of cervical glands. The surface topography of the cercaria and its sporocyst i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is is the first haplosplanchnid cercaria to be described from a Cerithidea species.

  • PDF

해산복족류, Batillaria cumingii CROSSE 에 기생한 흡충류의 유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ercaria of Trematodes Parasitized in the Marine Gastropods, Batillaria cumingii CROSSE)

  • 김영길;최지성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4
    • /
    • 2005
  • 우리나라산 해산 복족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유미자충의 종류를 조사하여 기생종별 형태적 특징과 분류 list를 작성 할 목적으로 2004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2개월마다 1회씩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해산 권패류인 댕가리를 채집하여 조사한 바, Pygidiopsis summus의 cercaria와 Cercaria pseudogranifera가 검출되었다.검출된 Pygidiopsis summus의 cercaria는 한국 미기록 종으로 기생률은 0.67-20.67%로 8월에 가장 높았고, 10월에 가장 낮았으며, 12월에는 기생패를 검출 할 수 없었다. 반면에 Cercaria pseudogranifera는 기생률이 9.3-74.0%로 간석지 온도가 16$^{\circ}C$인 12월에 가장 높았다.양종의 cercaria가 기생된 댕가리는 이들 기생흡충류의 중간숙주로 새로이 추가된다.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Korean molluscs as auxiliary hosts for parasites: A study of implications for pathogen transmission in a changing climate)

  • 박갑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 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 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 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 Cercaria tapidis,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 변동 (Studies on parasitic trematodes in bivalves -Variation of infection rate of Cercaria tapidis and Cercaria harengulae-)

  • 김영길;이근광;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0
    • /
    • 1995
  • 1980~1982 년에 서해안 금강 하구산 바지락과 맛조개의 생식소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유충인 Cercaria tapidis 와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을 보고 한 후 동지역에서 13~14 년이 경과한 1994~1995 년 1 월까지 바지락과 맛조개에서 흡충류 유충의 기생율 변동 상황을 조사하였다. 먼저 바지락에 기생한 Cercaria tapidis 는 년평균 기생율이 1981 년의 5.7% 보다 2.4 배가 많은 14.0% 로 증가하였고,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 월의 32.0% 로 1981 년 12 월의 23.3% 보다 훨씬 높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또 바지락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0 년의 5.0% 보다 감소한 2.3% 이었으며, 월 기생율이 가장 높았던 1994 년 5 월의 6.7% 는 1980 년 3 월의 19.0% 보다 훨씬 감소된 기생율이었다. 맛조개에서의 Cercaria harengulae 의 년평균 기생율은 1981~1982 년의 10.2% 보다 감소된 6.9% 이었고, 월 최고 기생율도 1981 년에는 8 월에 23.4% 이었으나, 1994 년에는 4 월의 13.3% 로 감소 되었다. 또 Cercaria tapidis 는 1980 년 조사시와 같이 크기가 클수록 기생율이 높았으나, Cercaria harengulae 는 오히려 각장이 작을수록 기생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유에 관한 연구 III. 바지락 Tapes philipinarum에 기생한 Gymnophallid cercaria의 1 신종, Cercaria tapes n. sp.에 대하여 (Studies on a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III. On a New Gymnophallid cercaria, Cercaria tapes n. sp., (Trematoda) from a short-necked clam, Tapes philippinarum)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4-159
    • /
    • 1983
  • 1980년 9월 2일부터 1981년 8월 2일까지 금강 하구역인 충남 서천군 서면 솔리산 바지락의 생식소를 조사한 바. Gymnophallidae에 속하는 신종의 cercaria를 발견하여 Cercaria tapes n. sp.로 기재하였다. sporocyst의 크기는 $380-650{\times}130-160{\mu}m$이고, 전단에 분출구와 인두가 있으며, 안쪽에는 30여개의 cercara 및 배세포가 들어 있다. cercaria는 긴 타원형으로 각부의 크기는 충체 $160-187{\times}62-77{\mu}m$, 꼬리 $47-52{\times}17{\mu}m$, 갈라진 꼬리부분 $67-72{\times}12-15{\mu}m$이다. 배설낭은 Y형이고, flame cell식 은 2[(1)+(1)]=4이다. 바지락 2,086개중 42개가 기생되어 연평균 $2.01\%$의 기생률을 나타냈고, 기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3월의 $5.74\%$, 가장 낮은 시기는 1월의 $0.4\%$이었고, 5,6월에는 기생패가 검출되지 않았다. 각장 2.1-3.0 cm가 $0.38\%$, 3.1-4.0cm가 $1.53\%$, 4.1-5.0cm가 $0.09\%$의 기생률을 나타냈고 2.0cm이하의 치패에는 기생되지 않았다.

  • PDF

조개류에 기생하는 Bacciger속 흡충류에 관한 연구 (A TREMATODE GENUS BACCIGER PARASITIC IN BIVALVES)

  • 전세규;김영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3-178
    • /
    • 1980
  • 1980년 1월부터 동반 10월까지 군산 근교 미면 내초도에서 채집한 백합Meretrix lusoria, 바지락 Tapes japonica, 맞조개 Seten strictus을 조사하여 흡충류의 유충인 Bacciger harengulae의 cercaria의 높은 기생율을 보았다. 이 cercaria는 S자형으로 활발히 운동한다. 꼬리에는 양쪽에 27쌍의 강모(seta)을 가지며, 1개의 강모(setae)는 6개의 가락(조)으로 되어 있다. 체내에는 구흡반, 맹장, 흡복반과 2개의 정소가 뚜렷히 보이고, 큰 V자형의 관상 배설낭내에는 작고 큰 과립이 충만되고, 염세포식은 2[(3+3)+(3+3)]=24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유사한 ceraria를 비교하니 Cercaria pectinata와 같았다. 제2중간숙주를 거쳐 결숙주에 성충을 얻었으므로, Bacciger harengulae의 cercaria라 동정하였다. 내초도에서 채집한 패류중 맛조개, 바지락, 백합의 순으로 이 기생법의 기생률이 높았으나, 이들 조개류는 모두 2-3년생인큰 것이 많이 기생되어 있었다.

  • PDF

바지락에 기생하는 Cercaria tapidis Fujita에 대하여 (A Trematode, Cercaria tapidis Parasitic in the Natural Stock of Tapes philippinarum)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7-220
    • /
    • 1981
  • 1980년 9월부터 1981년 8월까지 충남 서천군 서면솔리 해역의 바지락에서 검은 1상의 안점과 염세포가 명백하여 꼬리가 긴 Cercaria tapidis의 기생률과 기생된 바지락의 크기와 충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Sporocyst의 크기는 $75\sim1550\times210\sim320{\mu}m$ 이고. 그 내부에 60여 개의 배세포와 발육중인 cercaria가 충만되어 있었다. cercaria의 충체부는 $245\sim320\times105\sim130{\mu}m$으로 타원형이고 꼬리늘 $1225\sim1650\times40\sim50{\mu}m$로 가늘고길며 충체부의 5배나 되었다. Cercaria의 flame cell 식은 [(2+3+2)+(3+3)]=30 이다. 총 2086개체의 바지락을 조사한 결과 120개체($5.75\%$)에서 기생된 Cercaria tapidis 검출하었다. 가장 높은 기생률은 12월로서 $23.27\%$였고, 가장 낮은 계절은 5월로서 $0.85\%$였다. 바지락의 각장별기생률을 보면 $3.1\sim4.0cm$의 3년생에서 $3.78\%$로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1\sim3.0cm$ 크기에서 $1.34\%$, $4.1\sim5.0cm$에서 $0.52\%$로 낮은 기생률이었다.

  • PDF

Cercaria caribbea LVIII Cable, 1963 (Digenea: Cyathocotylida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Surface Ultrastructure

  • Han, Eun-Taek;Park, Jeong-Hyun;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77-180
    • /
    • 2012
  • Cercaria caribbea LVIII Cable, 1963 (Digenea: Cyathocotylidae) was detected from a brackish water gastropod species (Cerithideopsilla cingulata) in a coatal area of Shinan-gun, Jeollanam-do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surface ultrastructure was studi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ercariae were found freely swimming or enveloped within daughter sporocysts when the snail host was mechanically broken. They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 linguiform and ventrally concave body, a long and bifurcated tail, and the presence of a holdfast (=tribocytic) organ posterior to the ventral sucker. On the whole ventral and dorsal surfaces, peg-like tegumental spines were densely distributed. Around the oral sucker, several sensory papillae, each with a short cilium, were distributed, and on the tail, sensory papillae, each with an extensively long cilium, were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cord describing a cyathocotylid cercaria from a brackish water gastropod in the Republic of Korea.

경상남도 남강유역의 의용패류 분포 및 흡충류 유충 감염실태 조사 (Distribution of medically important freshwater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around the Jinyang Lake in Kyongsang-Nam-Do, Korea)

  • 조해창;정평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93-204
    • /
    • 1983
  • The Jinyang Lake is dammed up Nam River, and surrounded by Jinju city and four counties; Jinyang, Sanchong, Hading, and Sachon in kyongsang-Nam-Bo, Korea. The areas around this man-made lake have been known as an endemic focus of clonorchiasi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first aimed to know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mollusks including medically important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shed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In addition to above studies, water analyses in each snail habita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a part of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is malaco-ecological survey was done at the sirs areas around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lake for 4 months, August-November, 1983. Total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study: 4 species of gastropods: Semisulcospira libertina, Cipangopaludina chinensis,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Radin auricularia, and 5 species of bit.alves; Unio dcuglasiae, Ancdonta woodiana, Lamprotula gottschei, Corbicula yuminea and Limncperma lucustris. Out of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three species of gastropods; S. Zibertina,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edically important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of digenetic trematodes to humans.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ainly collected from the shallow ponds and the irrigation channels with the muddy basin, but S. libertine and the bivalves were only collected from the stream of Nam River where the gravels and rocks were dominant. The levels of dissolved oxygen (D.O.)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of the water specimens sampled from the study areas ranged from 6.0 to 9.6 ppm and from 0.4 to 1.6 ppm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water system around the Jinyang Lake might be relatively clean without any heavy pollution of aquatic microorganisms and organic materials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eight metalic constituents from the water samples were also assayed, and all metalic ions detected were remarkably low below the legal criteria. However, calcium ion in the water samples from the habitats of P. manchouricu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s. Infection rat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the snails were 6.9% in P. manchouricus and 4.8% in S. libertine, respectively. P. manchouricus snails harboring with thc 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were only 0.14% among the snails examined, and other trematode cercariae except cercaria of C. sinensis were: furcocercus cercariae, cercaria of Loxogenes liberum type I and II. S. libertine snails parasitized with the cercariae of Metagonimus yokogawai were 1, 5% out of the snails examined, and no cercaria of Paragonimus westermani was found in S. libertine snails in the present study. Digenetic trematode cercariae other than M. yokogawai observed in S. libertina snails were: Cercaria yoshidae (B type) , Cercaria cristata, Cercaria innominatum, Cercaria of Centrocestus formosanus and Cercaria nipponen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