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ic diatom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VI. The List of Phytoplankton and Periphyton

  • Lee, Kyung;Yoon, Sook-Kyung
    • ALGAE
    • /
    • 제18권4호
    • /
    • pp.263-272
    • /
    • 2003
  •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periphyton community in Togyo reservoir was investigated. A total of phytoplankton was composed of 150 taxa, belonging to 6 phyla, 8 classes, 15 orders, 5 suborders, 31 families, 71 genera, 106 species, 14 varieties, 1 form and 29 unidentified species. The observed number of diatoms and green algae were much higher than others. Within diatoms the pennate diatoms appeared more than centric diatoms and solitary forms or colonial forms appeared more than filamentous forms in green algae. A total of epipelic algae was composed of 125 taxa, belonging to 3 phyla, 3 classes, 6 orders, 3 suborders, 13 families, 30 genera, 87 species, 29 varieties, 2 forms and 7 unidentified species. The diatoms appeared much more than others. Among those, the pennate diatoms dominated the centric diatoms in species number observed. A total of epilithic algae was composed of 114 taxa, belonging to 4 phyla, 4 classes, 11 orders, 3 suborders, 22 families, 38 genera, 79 species, 8 varieties, 1 form and 26 unidentified species. The observed number of diatoms and green algae were much higher than others. Within diatoms the pennate diatoms dominated the centric diatoms in species number observed. The dominance of pennate diatoms of the diatom community in the epipelic algal community and the epilithic algal community could be assumed that was due to the presence of raphe structure of pennate diatoms.

Comparative Molecular Analysis of Freshwater Centric Diatom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Nuclear Ribosomal DNA of Stephanodiscus (Bacillariophyceae)

  • Ki, Jang-Seu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29-138
    • /
    • 2009
  • DNA-based discrimination of species is a powerful way for morphologically otherwise similar species, like centric diatoms. Here, the author sequenced long-range nuclear ribosomal DNAs, spanning from the 18S to the D5 region of the 28S rDNA, of Stephanodiscus, particularly including a Korean isolate. By comparisons, high DNA similarities were detected from the rDNAs of nine Stephanodiscus (>99.4% in 18S rDNA, >98.0% in 28S rDNA). Their genetic distances, howev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Kruskal-Wallis test, p < 0.01) compared to two related genera, namely Cyclotella and Discostella. In addition, genetic distances of 18S rDN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udent’s t-test, p = 0.000) against those of the 28S rDNAs according to individual genera (Cyclotella, Discostella, and Stephanodiscus). Phylogenetic analyses showed that Stephanodiscus and Discostella showed a sister taxon relationship, and their clade was separated from a cluster of Cyclotella (1.00 PP, 100% BP). This suggests that Stephanodiscus has highly conserved sequences of both 18S and 28S rDNA; however, Stephanodiscus is well-separated from other freshwater centric diatoms, such as Cyclotella and Discostella, at the generic level.

錦江河口 潮間帶 低土의 物理化學的 特性, 低生硅藻의 種組成 및 生物量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Benthic Diatoma in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 Kim, Joon-Ho;Kyung-Je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21-29
    • /
    • 1985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benthic diatom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from July 1983 to May 1984. Sandflat sediment was more oligotrophic than mudflat one. The diatom composition was primarily associated with sediment grain size. The dominant epipelic diatoms belonged to the centric diatoms such as Paralia sulcata and Thalassiosira spp., while the epipsammic diatoms consisted mainly of Achnanthes haukiana and Amphora sabyii. Diatom flora of sandflat was more significantly diverse than that of mudflat. Mean yearly crop of sandflat diatoms was 2.8 times greater than that of mudflat diatoms and peaked at March reflecting the greater availability of ammonia.

  • PDF

해수에 잠긴 인공기질 표면에서 미세조류의 부착과 성장: I. 부착 및 천이 (The Microalgal Attachment and its Growth on the Artificial Surfaces Immersed in Seawater: I. Attachment and Micro-succession)

  • 심재형;강정훈;조병철;김웅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249-260
    • /
    • 1998
  • 해수에 잠긴 인공기질 표면에서 미세조류의 부착과 후속적으로 나타나는 성장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규조류의 부착과 주변수의 종 급원(species pool)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995년 7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인천항 내에서 아크릴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규조류의 부착에 관해 연구하였고, 주변 해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생물막 초기형성 과정에서 노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부착미세조류 군집의 종조성과 수도의 변화를 유리, 아크릴, 티타늄, 구리 및 생물오손방지 페인트로 도포된 슬라이드 등 다양한 인공기질 표면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아크릴 슬라이드에서 규조류의 이입률은 주변수의 저서규조류의 수도변화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2$=0.78, p<0.01, n=42), 이는 주변수의 저서규조류의 수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지시한다. 아크릴 슬라이드에서 봄철에 단배선 형태 규조류의 부착능력(이입계수)이 복배선 형태에 비해 5 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착점유율은 단배선 형태가 복배선 형태에 비해 3 배 낮게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중심형 규조류의 부착능력이 다른 형태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부착점유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규조류의 부착이 주변해수에 출현한 저서 규조류의 수도 및 부착능력에 의한 결과임을 지시한다. 우상형 규조류가 연구기간동안 모든 인공기질 표면에 대부분 부착 출현하였고, 겨울철에는 중심형 규조류가 모든 인공기질 표면에 우정 부착하였다. 생물오손방지 페인트로 처리된 표면에서는 독성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는 Hantzschia virgata, Licmophora abbreviata, Melosira nummuloides가 우점하여 부착하였다.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규조류의 수도는 유리, 티타늄, 아크릴 슬라이드에서 지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최대수도는 유리 ${\geq}$ 아크릴 > 티타늄 > 구리 ${\geq}$ 페인트처리 슬라이드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인공기질 표면에서 부착규조류의 성장률은 $2{\sim}3^{\circ}C$에서 보다 $24{\sim}25^{\circ}C$의 수온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리 슬라이드에서 다른 표면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해수 중에서 노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관찰된 우점종은 납작한 형태인 Amphora coffeaeformis, 부채꼴 형태인 Synedra tabulata, stalk 형태인 Licmophora paradoxa 그리고 사슬형태인 M. nummuloides로 나타났고, 부착미세조류 군집에서 미소천이(micro-succession)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우점종 조성은 미세조류 생물막이 발달하여 서식공간이 제한됨에 따라 나타난 종 적응의 결과로 보인다.

  • PDF

벌교 조간대에 서식하는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in the Intertidal Zone of Beolgyo, Korea)

  • 최대업;김종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7-92
    • /
    • 2016
  • 본 연구는 2014년 4월~2015년 3월까지 순천시 벌교읍 호동리의 개펄 조간대에서 출현하는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198개체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하였다. 짱뚱어의 전장은 6.5~18.7 cm의 범위를 보였다. 짱뚱어는 규조류를 주로 섭식하는 초식성이었다. 와편모조류, 선형동물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적었다. 짱뚱어는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규조류 (주로 Pleurosigma spp., Navicula spp., Nitzschia spp., Gyrosigma spp.)를 많이 섭식하였다.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I.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reeding Ground in the Kogum-sudo,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 윤양호;고남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8
    • /
    • 1995
  • 거금수도의 양식어장환경 특성 중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특성을 억제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1993년 2월, 4월, 8월 및 10월 사계절에 거쳐 25개 관측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거금수도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은 총 40속 65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중심목 규조류의 출현이 16속 32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약$50\%$를 차지하고 있었다. 종의 다양성은 고수온기에 높고, 저수온기에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우점종의 계절변화는 겨울에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에 의해, 봄에는 Th. nitzschioides와 Asterionella kariana가, 여름에는 S. costatum과 Chaetoceros diadema에 의해, 가을에는 Rhizosolenia alata와 Bacillaria paxillifer 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여, 연중 규조류에 의한 우점현상이 보여지고 있으며, 계절에 따른 우점좀의 천이도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본 해역에 출현하는 적조생물은 주로 여름철에 보여지고 있으나, 출현량으로서는 아직 적조발생이 이루는 밀도의 수준은 아니나, 가두리 양식장 설치 등 인위적 오염부하량의 변동에 의해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존량의 변화는 시간적으로는 년간 $8.8\times10^3$ cells/l 범위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간적인 변화는 겨울인 2월이 $12.2\times10^4\pm5.9\times10^4$ cells/l, 봄이 $3.3\times10^4\pm1.4\times10^4$ cells/l, 여름이 $48.4\times10^4\pm40.0\times10^4$ cells/l 및 가을이 $3.6\times10^4\pm1.9\times10^4$ cells/l로 변동하여 겨울과 여름이 봄과 가을에 비해 한 단위 더 높은 변화 양상을 나타내어, 지금까지의 온대해역에서는 봄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낸다는 내용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해역의 낮은 수심과 큰 조석차에 의한 해수의 조석혼합 등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쉽게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 PDF

영산강 동계 조류 대발생 기간의 규조류 Stephanodiscus spp. 출현양상과 형태적 분류 (Temporal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Centric Diatom, Stephanodiscus spp. during Winter-spring Blooms in the Yeongsan River)

  • 정병관;김용재;정승원;이학영;신용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73-281
    • /
    • 2014
  • 영산강에서 동계 대증식을 유발하는 Stephanodiscus속의 출현기간과 종 분류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 년 4월까지 주 단위로 21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동계 영산강에서는 규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집을 보였으며, 규조강 중 원형규조 Aulacoseira, Cyclotella, Stephanodiscus속이 주요 출현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Stephanodiscus spp.는 극우점 규조류로서 12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월에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고, 3월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녹조강, 남조강, 은편모조강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우점종은 거의 모든 조사시기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 (S. hantzschii)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동정되었으며, 3월 말과 4월 중에는 남조강인 Anabaena sp.와 은편모조강인 Cryptomonas sp.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출현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종 천이가 관찰되었다. 조사시기에 출현한 원형 중심목 규조류의 명확한 종 분류를 위해 전자현미경을 통해 동정한 결과, Stephanodiscus속 내의 S. hantzschii가 극우점한 가운데 부분적으로 S. minutulus와 S. parvus 동정되었으며, 그밖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에는 Cyclostephanos속의 C. invisitatus와 Cyclotella속의 C. meneghiniana, Discostella속의 D. pseudostelligera, D. woltereckii가 동정되었다.

해산지각류의 먹이에 관한 보고 (Note on the Prey Items of Marine Cladocerans)

  • 김세화;윤양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1
    • /
    • 1993
  • 지금 까지 자연상태에서 해산지각류의 먹이로서는 주로 중심목 규조류가 섭식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들의 장내용물질들은 재검사한 결과, 이들 규조류 외에 편모조유들 역시 해산지각류의 먹이로서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Prorocentrum micans, Protoperidinium sp.등과 미동정된 편모조류 등도 해산지각류의 중요한 먹이로서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 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Haechang Bay, Southern Korea)

  • 윤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50
    • /
    • 2000
  • 남해 중앙부에 위치하는 해창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비교적 다양한 생물종에 의해 군집을 이루고 있으나, 출현 세포 밀도는 매우 낮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계절적으로는 여름과 가을에 높은 세포 밀도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봄에 낮은 세포 밀도를 나타내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중 중심목 규조류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 그러나, Chl-a량의 분포와 관련하여,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해창만의 기초생물 잠재생산력은 연중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미소 또는 극미소 플랑크톤에 대한 점유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2018년 금강 하구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및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Geum river estuary, West Sea of Korea in 2018)

  • 김혜선;김하련;양동우;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54-270
    • /
    • 2020
  • 금강 하구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및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2월, 5월, 8월 및 11월, 4계절에 거쳐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은 58속 116종으로 겨울과 봄에 단순하였고, 여름과 가을에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현존량은 가을에 10 cells mL-1에서 겨울에 2,904.0 cells mL-1까지 큰 변동 폭으로 평균 577.2 cells mL-1의 높은 현존량을 보였으며, 출현 종과는 달리 봄과 가을에 낮고, 여름과 겨울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연중 규조류 점유율이 높았으며, 겨울은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Cerataulina bergonii, Skeletonema costatum-ls 및 Coscinodiscus angustelineata, 봄은 S. costatum-ls 및 C. bergonii, 여름은 Eucampia zodiacus 및 Th. nordenskioeldii, 그리고 가을 하구역은 Aulacoseira cf. granulata, 혼합해역은 S. costatum-ls 및 외해역은 Lingulodinium polyedra가 우점하였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 의하면 금강 하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간 금강하굿둑을 통해 유입되는 높은 영양염을 포함하는 담수의 유입량과 확장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하굿둑을 통한 직접적인 담수 영향은 금란도 주변까지의 영역에 한정되었고, 그 외 해역은 해수와 담수가 강하게 혼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