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ar distribution of cadmiu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혐기적 조건하에서 젖산균의 cadmium 축적 (Accumulation of Cadmium in Lactic Acid Bacteria under the Anaerobic Conition)

  • 신용서;김성효;김동한;이갑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2-358
    • /
    • 1995
  • In this study, authors investigated the cadmium tolerance, the accumulation of cadmium, and the cellular distribution of accumlated cadmium in lactic acid bacteria under the anaerobic condition. Lactic acid bacteria grew fairly well in modified EG medium containing 10 ppm of cadmium but could hardly grow at 50 ppm of cadmium. Tolerance to cadmium of genus Lactobacillu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us Streptococcu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showed the higest cadmium tolerance amomg the bacteria tested. The capacity of cadmium accumlation (9.304-12.428 mg/g wet cell) of lactic acid bacteria was higher than that (6.775 mg/g wet cell) of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casei of them took up the largest amount of cadmium. The cadmium elimination amount (28.46-29.25%)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modified EG medium containing cadmium were also higher than that (14.43%) of Escherichia coli. Accumulated cadmium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was distributed by 42.41% at cell wall, 28.97% at cytoplasm, and 28.62% at plasma membrane, respectively.

  • PDF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세포성 면역 반응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Cadmium Chloride)

  • 박경일;최민순;박성우;박관하;최상훈;윤종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43
    • /
    • 2009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우리나라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며 잘 발달된 생체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모니터링 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이다. 본 연구는 산업활동으로 해양환경에서 그 농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생물체에 강한 독성을 가진 카드뮴이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바지락의 면역 기작을 이해하고 환경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을 위하여 바지락은 $50\;{\mu}g/l$의 카드뮴에 8일간 노출되었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혈구의 미분화 세포의 구성비율, DNA 손상도, 혈구괴사율, 혈구 apoptosis 비율 및 혈구사망율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카드뮴에 노출된 바지락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분화세포, DNA 손상도, 세포괴사율, 세 apoptosis 비율 및 세포 사망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apoptosis 비율은 세포괴사율보다 높게 증가함에 따라 바지락 혈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카드뮴의 농도는 세포괴사보다는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더 효과적인 농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금속 오염에 대한 바지락의 세포성 면역반응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하였으며, 세포성 면역반응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카드뮴내성(耐性) Staphylococcus aureus내(內) 카드뮴분포(分布) (Distribution of Cadmium in a Strain of Staphylococcus aureus Resistant Against the Metal)

  • 현은민;박찬성;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3-106
    • /
    • 1981
  • 전보(前報)에서 분획(分劃)한 카드뮴내성(耐性) S. aureus의 각(各) 획분중(劃分中)에 함유(含有)된 카드뮴을 원자흡광법(原子吸光法)으로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균체(菌體) g 당(當) $690.9{\mu}g$의 카드뮴이 함유(含有)되었다. 2. 동(同) 카드뮴 중 39.9%에 상당(相當)하는 량(量)은 TCA로 용이(容易)하게 추출(抽出)되었으나 52.2%의 카드뮴은 TCA 추출(抽出) 후(後) Ethanol-Ether, Perchloric acid, Ammonia수(水)로 순차적(順次的)으로 추출(抽出)하여 추출(抽出)되지 아니하고 잔사중(殘渣中)에 잔유(殘有)하였다. 3. 균체부위별(菌體部位別)로는 원형질획분(原形質劃分)에 26.8%, 원형질막획분(原形質膜劃分)에 59.1%, 세포벽획분(細胞壁劃分)에 14.1%가 함유(含有)되었고, 4. 세포벽(細胞壁에) 함유(含有)된 카드뮴 중 90% 이상(以上)이 Lipopolyeaccharide 획분(劃分)에서 검출(檢出)되었다.

  • PDF

만성 카드뮴 처치 쥐에서 골조직 장애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영향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Bone Disorder in Long-Term Cadmium Treated Rats)

  • 최정화;김용진;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53-1259
    • /
    • 2001
  • 만성 카드뮴 중독 흰쥐에서의 골조직의 변화와 이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해독기전을 관찰하고져 하였다. 실험동물은 100g 내외의 sprague-Dawly종 흰쥐를 대상으로 카드뮴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과 카드뮴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카드뮴 투여군은 다시 식이 내 catechin 공급 수준에 따라 Cd-0C 군(catechin 비공급군), Cd-0.25C군(catechin 2.5 g/kg of diet), Cd-0.5C군(catechin 5 g/kg of diet)으로 나누어 10 및 20주간씩 자유섭식시켰다. 카드뮴은 50 ppm C$d^{2+}$ 농도의 식수로 자유로이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은 각기간별로 사육후 뼈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20주째 조직학적 변화 및 골밀도를 관찰하여 만성 카드뮴 중독으로 인한 골조직 장애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경골과 대퇴골에서의 카드뮴 함량은 10주에서는 catechin 비공급군인 Cd-0C군에 비하여 catechin 공급군에서 감소하였으며 catechin공급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0주에는 Cd-0C군에 비하여 Cd-0.25C군과 Cd-0.5C군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골과 대퇴골 두 뼈조직의 무게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모두 10주, 20주에서 정상군에 비해 카드뮴 투여군 모두가 다소 감소되었으며 실험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뼈조직의 길이를 관찰한 결과 대퇴골, 경골 모두에서 10주, 20주 모두 카드뮴 투여군에서 감소되었으나 catechin을 투여한 군에서는 길이 감소가 다소 완화되었다. Cd-0C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였다. 경골에서의 골밀도를 관찰한 결과 골밀도는 정상군에 비하여 Cd-0C군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catechin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의 골밀도를 관찰하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 정 상군에 비해 Cd-0C군은 낮았으나 Cd-0.25C군과 Cd-0.5C군은 Cd-0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 보여지는 소견은 카드뮴 투여군에서도 잘 유지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 보여지는 소견은 카드뮴 투여군에서 도 잘 유지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녹차 catechin은 만성 카드뮴 중독 흰쥐에서 경골과 대퇴골에서의 카드뮴 축적을 감소시켰으며 골밀도를 정상화시킴으로서 골조직의 변화를 완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카드뮴이 BALB/c 마우스의 면역반응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2. 체액성 면역반응 (Effect of cadmium on immune responses and enzyme activities in BALB/c mouse 2. Humoral immune responses)

  • 윤창용;조정곤;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39-844
    • /
    • 1996
  • 카드뮴이 마우스의 체액성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BALB/c 마우스를 대상으로 0, 25, 50, 100 및 200ppm의 카드뮴이 첨가된 음료를 6~7주간 자유급식시킨 후 면양적혈구로 면역시켜 마우스의 항체생산능에 대한 카드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 1차 면역동물 비장세포중 용혈반형성 세포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그러나 2차 면역동물 비장세포중 용혈반형성 세포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2. 2차 면역반응에서의 SRBC에 대한 총항체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gG 항체반응은 50ppm 투여군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조금씩 증가하였다. 3. 혈청내 $IgG_1$ 및 IgE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IgG_1$의 증가가 지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전보와 연계시켜 보면 카드뮴이 농도에 따라서는 생체내의 세포성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와 T세포 아군의 기능 또는 분포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항체생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CN9 Reg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s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 Jeong, Jae Hoon;Kim, Jeeyoung;Kim, Jeongwoon;Heo, Hye-Ryeon;Jeong, Jin Seon;Ryu, Young-Joon;Hong, Yoonki;Han, Seon-Sook;Hong, Seok-Ho;Lee, Seung-Joon;Kim, Woo J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3호
    • /
    • pp.247-254
    • /
    • 2017
  • Background: Airway epithelial cells are the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pathogens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lungs. Cellular stress by cadmium (Cd), resulting in airway inflammation, is assumed to be directly involved in tissue injur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lung cancer,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We had earlier shown that ACN9 (chromosome 7q21), is a potential candidate gene for COPD, and identifie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smoking, based on genetic studies. However, the role of ACN9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airway cells, has not yet been reported. Methods: We first checked the anatomical distribution of ACN9 in lung tissues, using mRNA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BEAS-2B), was performed, after silencing ACN9. We further tested the roles of ACN9, in the intracellular mechanism, leading to Cd-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BEAS-2B. Results: ACN9 was localized in lymphoid, and epithelial cells, of human lung tissues. ACN9 silencing, led to differential expression of 216 genes. Pathways of sensory perception to chemical stimuli, and cell surface receptor-linked signal transduction, were significantly enriched. ACN9 silencing, further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BEAS-2B after Cd exposure.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CN9 may have a role,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airway.

카드뮴이 BALB/c 마우스의 면역반응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1. 세포성 면역반응 (Effect of cadmium on immune responses and enzyme activities of BALB/c mice 1. Cellular immune responses)

  • 윤창용;김태중;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3-552
    • /
    • 1995
  • 카드뮴이 BALC/c 마우스의 세포성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여러 농도의 카드뮴이 첨가된 음료를 장기간 동안 자유급식하고, 비장내 T helper 및 T suppressor cell의 분포도,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 및 시험관내에서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세포의 증식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군의 6주간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이 27.0%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의 체중증가율은 각각 28.54%, 28.31%, 20.49% 및 18.04%로 나타났다. 2. 체중당 비장무게(mg/g)는 대조군이 $4.34{\pm}0.23$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4.20{\pm}0.54$, $4.80{\pm}0.87$, $4.25{\pm}0.32$$4.40{\pm}0.32$이었다. 또한 총비장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24.29{\pm}5.98$)에 비해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에서 각각 14.1%, 35.7%, 16.6% 및 22.0%증가하였다. 3. 총 $CD_4{^+}$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9.15{\pm}2.24$,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10.40{\pm}2.04$, $12.04{\pm}3.08$, $10.20{\pm}3.16$$10.80{\pm}1.48$ 이었으며, 총 $CD_8{^+}$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2.32{\pm}0.56$, 각 실험군의 총세포수는 $2.54{\pm}0.27$, $3.12{\pm}0.80$, $2.25{\pm}0.70$$2.24{\pm}0.28$ 이었다. 한편, $CD_4{^+}/CD_8{^+}$ 비율은 50ppm 투여군($3.88{\pm}0.01$)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3.97{\pm}0.02$)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4. 카드뮴 처리군의 SRBC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은 25 및 5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및 p<0.01), 100 및 20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5. 시험관에서의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림프구 증식반응은 LPS의 경우 카드뮴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으나 Con-A에 대한 증식반응은 저농도($10^{-7}-10^{-6}M$)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6. $CdCl_2$에 대한 비장세포의 세독독성은 $10^{-4}M$에서 특히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카드뮴이 세포성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세포 아군의 분포도를 변화시키므로써 면역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