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it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9초

사과농축액에 대한 갈변억제제 처리효과 (The Effect of Antibrowning Agents on Enzymatic Reaction in Apple Concentrate)

  • 김현위;배수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4-458
    • /
    • 2002
  • 과실가공품에서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과농축액에 갈변억제제 즉, PVPP (polyvinylpolypyrrolidone), bentonite,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첨가하여 여과한 후 갈변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PVPP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L값(lightness)이 8.16으로 대조구와 다른 농축액에 비해 갈변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탁도(660 nm에서의 흡광도)는 대조구 0.05인데 비해, PVPP,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함유한 사과농축액은 각각 0.003, 0.038, 0.038, 0.018, 0.022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여 부유물 등의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PVPP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또한, PVPP 처리된 사과농축액 중의 PPO(polyphenoloxidase)활성과 폴리페놀화합물(catechol, catech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등) 함량에서도 현저하게 감소하여 효소적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VPP가 사과농축액의 색상, 탁도, PPO활성 및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등 효소적 갈변특성을 개선시키는 우수한 갈변억제제임을 확인하였다.

Aprotinin을 투여한 개심술 환자에서 Kaolin과 Celite Activator를 이용한 Activated Coagulation Time(ACT) 측정의 비교 (Monitoring of Activated Coagulation Time with Kaolin vs. Celite Activator in Cardiac Surgical Patients with Aprotinin)

  • 김정택;선경;이춘수;백완기;조상록;김현태;김혜숙;박현희;김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73-876
    • /
    • 1998
  • 개심수술에서 Aprotinin에 의한 ACT가 연장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서로 다른 표면 촉매제인 kaolin (K-ACT)과 celite(C-ACT)를 이용하여 동시에 측정 비교하였다. 개심수술을 받은 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Hemocron 8000 system을 이용하여 동시에 ACT를 측정 하였는데 aprotinin과 heparin 투여 전(Phase I), Aprotinin투여 후 heparin 투여 전(Phase II), heparin투여 5분 후(Phase III), haparin투여 30분 후(Phase IV), heparin투여 60분 후(Phase V), heparin투여 90분 후(Phase VI), protamin투여 30분 후(Phase VII)에 각각 측정하였다. Phase I, II, III에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heparin투여 30분 후에는 C-ACT가 928$\pm$400초 K-ACT가 572$\pm$159초였고 60분 후에는 C-ACT가 888$\pm$254초 K-ACT가 535$\pm$186초 90분 후에는 C-ACT가 686$\pm$141초 K-ACT가 484$\pm$54초로 K-ACT에 비해 C-ACT가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rotamin투여 후에는 C-ACT가 137$\pm$26초 K-ACT가 139$\pm$28초로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protinin투여 후 ACT는 연장이 되는 것이 아니라 activator로 celite를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aprotinin을 투여한 개심수술에서 정확한 ACT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celite activator보다 kaolin activator를 사용해야 하며 heparin은 보통용량을 투입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화첨가반응의 수득률에 미치는 용매효과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f Solvent Effect on Yield of Oxidative Addition Reaction)

  • 이철재;김병소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86-5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3-dicarbonyl 화합물과 올레핀 화합물의 산화첨가반응에서 $Ag_2CO_3$/celite (SC)를 촉매로 하여 1,3-cycleohexandion (1,3-CHD)과 ethyl vinyl ether (EVE)를 acetonitrile (AN), dimethyl sulfoxide (DMSO), benzene (BZ), heptane (HT)을 각각 용매로 하여 반응을 진행시켜 보았다. 그 결과 수득률이 78, 40, 15,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용매의 효과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이퍼캠의 반경험적 방법으로 PM3와 ZINDO/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론적 고찰을 해 보았다.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초임계 유체 추출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Strawberry)

  • 이해창;서혜영;신동빈;박용곤;김윤숙;지중룡;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15-621
    • /
    • 2009
  • SFE법을 이용하여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시료의 적정 전처리 및 SFE 작동조건을 검토하였으며, SD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과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을 비교하였다. 딸기 생시료, 동결건조시료, 그리고 생시료에 celite를 30, 70%를 혼합하여 제조한 시료를 이용하여 SFE 처리후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생시료에 celite를 70% 첨가하는 방법이 향기성분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40, $55^{\circ}C$)와 압력(3,000, 6,000 psi)을 달리하여 SFE 처리한 결과, 3000 psi, $55^{\circ}C$ 조건에서 alcohol류와 acid류의 추출효율이 증가하였으며, $\gamma$-dodecalactone의 함량도 3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DE법, SF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별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SF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는 적지만 추출량이 비슷하면서 열분해 및 열변성이 발생하지 않아 딸기 고유의 향기에 가까운 향기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기호적으로 우수한 acid류가 다량 함유된 향기성분을 추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 단백질 가수분해를 위한 효소 고정화 공정 개발

  • 이상욱;강병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3-616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가수분해효소인 Orientase 22BF를 5가지 당체에 흡착법을 사용해서 고정시키고 충전층반응기에 넣어 흡수도를 비교함으로써 고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적 담체는 Celite IT 640, Duolite A568, 그리고 Silicagel 60이었으며, 담체의 최적조건은 pH 5.0, 온도 $50^{\circ}C$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peptide solution을 얻기 위하여 난황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Cholesterol Removal Conditions from Homogenized Milk by Treatment with Saponin

  • Chang, E.J.;Oh, H.I.;Kwak,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844-84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cholesterol removal from homogenized milk by treatment with saponin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ffects of temperature, reaction time, and amounts of celite or saponin added on cholesterol removal from milk were investigated. The level of cholesterol removal from milk increased with saponin concentration and varied from 57.4 to 73.3%. The optimum reaction time, amount of celite addition determined by a partial differentiation of the model equation, and amount of saponin addition were 30min, 0.95% and 1.5%, respectively.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edicted cholesterol removal by RSM was estimated to be 73.4%. The experimental removal value was 73.7%. Thus, there was no appreciabl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based on RSM.

Biodegradation of Toluene using Biofilms in a Bubble Column Bioreactor

  • Choi, Yong-Bok;Lee, Jang-Young;Kim, Hak-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41-47
    • /
    • 1995
  • Biodegradation of toluene in liquid effluent stream was carried out using biofilms of Pseudomonas putida formed on celite particles in the bubble column bioreactor. Silicon rubber tubing wa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ioreactor and liquid toluene was circulated within the tubing. Toluene diffused out of the tube wall and was transferred into the culture broth where degradation by biofilms occurred. The oper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formation of biofihns on celit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in the bubble column bioreactor, and it was found that formation of bifilm is favored by high dilution rate and supply rate of carbon source which stimulate the growth of initially attached cells. Continuous biodegradation of toluene using biofilms was stablely conducted in the bioreactor for more than one month without any significant fluctuation, showing a removal efficiency higher than 95% at the toluene transfer rate of 1.2 g/L/h.

  • PDF

Study on the Adsorption of Pharmaceuticals by Filter aids -Adsorption of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and thiamine hydrochloride by Celite 545 and Dawsonite-

  • Hyun, Yona-Woo;Min, Shin-Hong;Rhee, Shang-Hi;Kim, Yong-Ba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권4호
    • /
    • pp.39-43
    • /
    • 1973
  • 완충액(緩衝液)에서의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thiamine hydrochloride의 여과조제(濾過助劑)에 의(依)한 흡착(吸着)현상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한 vitamin 류(類)의 흡착(吸着)은 Langmvir 흡착식(吸着式)의 pattern 에 따랐으며 caffeine 은 거의 흡착(吸着)되지 않았다. 여과조제중(濾過助劑中) Dawsonite는 Celite 545 보다 큰 흡착(吸着)현상을 나타냈으며 pH변화(變化)에 따른 영향(影響)은 niacinamide가 가장 예민하였고 pH의 증가(增加)는 흡착량(吸着量)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 PDF

전기비저항과 투수계수 측정을 통한 celite가 가미된 필터의 투과 성능 모니터링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celite-based filter by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permeability measurements)

  • 김규원;권태혁;조계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673-676
    • /
    • 2009
  • Non-point pollutants, which mainly originate from high traffic roads and rural areas, contaminate the environment by flowing into various rivers and lakes and thus are of interest as an environmental issue.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to design and maintain efficient filter systems for the control of the non-point pollutants. Meanwhile, clay-type materials are widely used for the absorption of chemicals included in pollutants and the absorption performances of various clay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u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non-destructive monitoring method for the performance of a clay-type filte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A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is performed on celite-based particulate filters with infiltrat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pollutants on high traffic roads. Each test measures permeability, resistivity of the filter materials and resistivity of the filtrated water. As the particulate filter materials filtrate pollutants and absorb heavy chemicals (e.g., $Cr^{6+}$, lead, nickel, among others), ionic concentration increases resulting as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 When the filter systems approach the end of their lifetim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filter material converges to a very low value due to lowered filter absorption efficiency. Henc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filtrated water also converges to a low value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The permeability converges to a very low value because of significantly reduced porosity due to clogging and absorption of pollutants on the filter materi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of filter materials is a promising approach to estimation of filter performance and its life expectancy.

  • PDF